고조선문명의 기원과 요하문명

고조선문명의 기원과 요하문명

$40.97
Description
한국 최초로 요하문명의 모든 것을 거시적으로 분석, 고조선문명의 시원을 추적하는 역작
유물에 나타난 고대사상과 과학 현상을 탐구하여 동북아 공동문화의 요람으로서 성격을 밝히다


한국 요하문명 연구의 선구자이자 권위자 우실하 교수가 요하문명과 고조선문명의 관계를 밝힌 역작(고조선문명총서3)을 선보인다. 2000년부터 요녕대학 교수로서 중국과 한국을 오가며 연구에 매진한 저자는 국내 유일무이한 요하문명의 입문서로 한국독자들을 안내한다. 각종 도판과 답사 사진 등으로 마치 만주 일대 유적 곳곳을 탐방한 듯한 현장감이 가득하며, 요하문명의 시기별 변천과정 및 고조선문명과의 관련성을 상세하면서도 논증적으로 해설한다.
저자

우실하

지은이:우실하
경북상주출생
연세대사회학과학사,석사,박사
동양사회사상,문화이론,한국문화론,한국문화/사상사
2018년현)한국항공대학교인문자연학부교수
현)동양사회사상학회부회장,단군학회부회장
현)세계NGO역사포럼기획위원
현)중국內蒙古紅山文化學會회원
전)중국遼寧大學韓國學科교수(요녕성심양시)
전)중국赤峰大學紅山文化硏究院방문교수(내몽고적봉시)
홈페이지www.gaonnuri.co.kr  

목차

여는글?5

제1부
요하문명의발견과자연-지리-기후적조건∥5

제1장서론?17

1.‘○○유지(=유적)’,‘○○문화’,‘○○문명’개념_17
2.요하문명과고조선문명의관계설정문제_19
3.요하문명에대한한·중·몽골의시각차이_21
4.요하문명관련국내에잘못알려진것_33
5.요하문명지역의각종고고학문화의연대측정에대한의구심에대하여_40

제2장요하문명에대한개괄적소개∥47
1.요하문명의발견과중국학계의충격_47
2.주요신석기-청동기시대고고학문화의편년과분포범위_49
3.요하문명과홍산문화의기본적인성격_55
4.요하문명지역의신석기-청동기시대유적분포_58

제3장‘요하문명’의발견과중국학계의발빠른대응∥63
1.우하량유적의발견_63
2.중원과는독자적인‘원시문명’혹은‘요서지역고문명’_64
3.곽대순에의해‘요하문명’으로명명되다_65
4.중국학계의발빠른대응1:요하문명의주도세력을황제족(黃帝族)으로_68
5.중국학계의발빠른대응2:국가주도의각종역사관련공정(=프로젝트)_78

제4장요하문명지역의자연-지리-기후적조건∥97
1.요하문명지역지형_97
2.요하문명지역의수계와유적분포_99
3.요하문명지역의사막_120
4.요하문명지역의과거1만년동안기후조건의변화_133
5.요하문명지역의화산_153

제2부
요하문명의주요고고학문화와한반도∥169

제5장소하서문화(小河西文化:BC7000?6500)와한반도∥171
1.소하서문화에대한개략적소개_171
2.소하서문화의발견과명명및같은유형의유적지발견_175
3.소하서문화의특징_181
4.소하서문화와흥륭와문화의계승관계에대하여_193
5.소하서문하소하서유지-유수산유지-서량유지답사자료_194
6.적봉대학박물관소장소하서문화빗살무늬토기자료소개_203
7.한반도빗살무늬토기와의비교_214

제6장흥륭와문화(興隆?文化:BC6200-5200)와한반도∥221
1.흥륭와문화소개_221
2.세계최초의옥귀걸이옥결(玉?)_225
3.세계최초의재배종기장〔黍〕과조〔粟〕_240
4.세계최초의치아수술흔적_252
5.동북아시아최초의환호취락(環濠聚落)_260
6.동북아시아최초의적석총과한반도_272
7.동북아시아최초의석인상(石人像)_290
제7장부하문화(富河文化:BC5200-5000)와한반도∥303
1.부하문화소개_303
2.최초의복골(卜骨)발견_305
3.골복문화(骨卜文化)와한반도_314

제8장조보구문화(趙寶溝文化:BC5000-4400)와한반도∥331
1.조보구문화소개_331
2.조보구문화존형기(尊型器)의놀라운제작기법_332
3.존형기(尊型器)의제작기법을이은최초의번개무늬토기_340
4.조보구문화토기와한반도,연해주지역토기비교_343

제9장홍산문화(紅山文化:BC4500-3000)와한반도∥359
1.홍산문화의발견과명명과정_359
2.홍산문화우하량유지의발견과발굴_379
3.홍산문화개괄_383
4.홍산문화의분포범위에대한재검토_386
5.적봉시홍산(紅山)과홍산유지군(紅山遺址群)_410
6.‘홍산문화의꽃’우하량(牛河梁)유지_425
7.2012년에발견된홍산문화도소남신상(陶塑男神像)_486
8.홍산문화의편두(偏頭)관습_494
9.일부일처제(一夫一妻制)의확립가능성_498
10.홍산문화의소멸원인에대하여_504

제10장홍산문화옥기의상징성과홍산인의사유체계∥515
1.홍산문화각종옥벽(玉璧)의상징적의미와샤먼의위계_515
2.홍산문화쌍수수황형기(雙獸首璜形器),옥저룡(玉猪龍)과무지개_535
3.홍산문화각종삼공기(三孔器)와3개의태양이뜨는‘환일(幻日)현상’_547
4.홍산문화와‘3수분화의세계관(1-3-9-81)’_555

제11장청동기시대하가점하층문화와하가점상층문화∥565
1.하가점하층문화와‘치(雉)를갖춘석성’_565
2.하가점상층문화와비파형동검_571

제3부
최근중국고고-역사학계의동향과고조선∥587

제12장최근중국고고-역사학계의동향∥589
1.문명단계,국가단계진입시기에대한중국학계의논의_589
2.‘최초의중국(中國)’논쟁_596
3.석묘(石?)유지의발견과황제족의활동영역논쟁_598
4.능가탄(凌家灘)유지의발견과홍산문화_603
5.홍산문화의주도권을둘러싼내몽고적봉시와요녕성조양시의경쟁_607

제13장요(堯)임금의도성평양(平陽)과단군조선∥613
1.중화문명탐원공정과도사유지_613
2.산서성임분시와요도(堯都)평양(平陽)_614
3.도사유지의발견과요순시대(堯舜時代)_627
4.도사유지,요임금,단군조선그리고요하문명_664

제14장한국학계의과제와동방르네상스∥675
1.요하문명과한반도_675
2.한국학계의과제_678
3.‘동방르네상스’를위하여_688

참고문헌∥691
찾아보기∥703

출판사 서평

한국최초로요하문명의모든것을거시적으로분석,고조선문명의시원을추적하는역작
유물에나타난고대사상과과학현상을탐구하여동북아공동문화의요람으로서성격을밝히다


한국요하문명연구의선구자이자권위자우실하교수가요하문명과고조선문명의관계를밝힌역작(고조선문명총서3)을선보인다.2000년부터요녕대학교수로서중국과한국을오가며연구에매진한저자는국내유일무이한요하문명의입문서로한국독자들을안내한다.각종도판과답사사진등으로마치만주일대유적곳곳을탐방한듯한현장감이가득하며,요하문명의시기별변천과정및고조선문명과의관련성을상세하면서도논증적으로해설한다.

요하문명탄생과소멸의조건

요하문명은신석기시대4대문화권이모두공존하는세계에서유일한지역으로서황하문명보다발달된문명이다.중국에서는요하문명=황제족의문명이라며대대적으로연구하고있는상황이지만,이주제를본격적으로연구하는한국학자는거의없다.이시점에서저자는요하문명탄생의조건과그소멸원인까지본격적으로상세하게탐구하고있어서더욱돋보인다.저자는요하문명지역의시대별상대고도를보면오래된유적지일수록상대위치와해수면이높은사실을들면서,해수면이최고조에이른홍산문화유적지들이그보다이른흥륭와문화,조보구문화유적들보다낮은위치에있는것은농경에유리한낮은지역이기때문이라고지적한다.또한요하문명이꽃피던신석기시대에해수면이평균적으로10m정도높은온난하고습한기후였다가홍산문화가종말을고하는BC3000년즈음에반습-반건조기후로바뀌는결정적인원인으로,홍산문화후기단층작용과함께백두산지역의화산폭발을들고있다.특히후자는홍산문화유적지들이요동지역과한반도북부지역에서거의발견되지않는것을설명해주기때문에더욱설득력이높다.

요하문명과고조선의상관성

저자는요하문명을시기별로여섯문화로구분하여소개하면서각문화의특징과한반도와의관련성을언급하고있다.예컨대소하서문화(小河西文化:BC7000-BC6500)의빗살무늬토기가한반도오산리(鰲山里)유적에서발굴됨을확인하여이유물이백두산지역을거쳐서동해안을타고한반도로내려왔음을입증하는증거물로제시하고있다.특히흥륭와문화(興隆?文化:BC6200-BC5200)의옥결이거의같은시기에한반도문암리(文岩里)유적에서거의똑같은것으로발견되는것에착안,한반도를통해일본으로연결되는새로운제3의옥결전파루트를설정하고있다.중국과홍콩학자들은제1,제2루트만을설정하고있어서저자의관점은기존의학설을수정하는신해석이라고할수있다.

홍산문화유물에나타난고대인의사유체계와상징

이책에서가장두드러지는백미는저자의탁월한안목과통찰력으로홍산문화유물을새롭게해석하는대목이다.특히환일현상과홍산문화의각종삼공기(三孔器)의연관성을유추해내는부분이독창적이다.환일현상은공기속에뜬얼음의결정에태양빛이반사?굴절했을때태양의좌우에2개의가짜태양이나타나마치3개의태양이떠있는것같은기상현상을말한다.신석기시대홍산인들에게신과같은태양이어느날갑자기3개로뜨는것은매우충격적인사실이었을것이므로,그현상을옥기로정교하게표현하여남겼음이자연스럽게추정된다.또한오한기흥륭구유지홍산문화유적지에서출토된도소삼인상(陶塑三人像)이‘하나이면서셋이고셋이면서하나’라는삼일(3.1)관념을바탕으로한‘3수분화의세계관(1-3-9-81)’이발현된것이라는설명도저자의고대사상에대한깊은이해에서부터비롯된빼어난해석의하나이다.

최신고고발굴소식을망라,열린연구의장마련

이책은2017년홍산문화발굴유적의수가늘어난것이나,해랍이하상류의합극유지에서홍산문화에서보이는특이한옥기들이많이발굴된것등요하문명과관련된새로운고고발굴소식까지알려준다.뿐만아니라홍산문화의옥기의기원이합극문화와연결될가능성을제시하는등연구자들에게필요한정보들로가득하다.따라서입문서로기획된이책은전문서로서도손색이없을만큼상세하고풍부한내용들로구성되어있다.저자의바램처럼이책이각분야에서요하문명과한반도의연관성을연구하는데길잡이로활용되어‘동북아공통의시원문명’으로서요하문명의정수가앞으로더욱새롭게밝혀지기를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