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놀이와 재미의 본질을 찾아서: 게임, 유희에 빠지는 현대인들을 위한 놀이학개론 결정판
바야흐로 놀이, 게임이 세계를 휩쓰는 이때 놀이의 본질을 꿰뚫은 흥미로운 저작이 나왔다. 동서양 사상을 종횡무진 누비는 황태연 교수는 인간 근원적 유희 본능과 재미의 속성을 공자의 중화론으로 파고든다. ‘놀기 위해 일하는’ 세상의 모든 “노는 자들”의 원초적 갈망이 명쾌하게 정의된다.
‘놀이하는 인간’이란
난장판놀이를 즐기는 아기부터 바둑 두는 할아버지까지. 사람들은 왜 놀이를 즐길까. 저자는 놀이가 “생명력과 심신능력의 자유로운 발휘, 표출”이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놀이의 범주에는 나홀로 놀이와 같이하는 놀이가 모두 포함된다. 나아가 목적론적 관점에서 볼 때 인간은 ‘호모 파베르(공작인)’가 아니라 놀기 위해 사는 ‘호모 루덴스’라고 규정한다. 이는 각종 게임에 열광하고 해외여행이 필수인 현대인들에게 딱 들어맞는 정의라고 할 수 있다.
중화론: 놀이와 재미의 본질
“놀기 위해 일하는” 호모 루덴스에게 재미는 곧 놀이의 궁극적 목표로서 매우 중요하다. 저자는 재미의 본질을 《중용》에 나오는 공자의 중화론中和論에서 찾는다. 질적인 균형〔中〕, 조화〔中節〕, 그리고 양적 중도中度가 재미를 좌우한다고 본다. 이 중화의 원리는 인간의 사회적 행위(공리, 유희, 예술, 도덕)를 규제한다. 유희적 행위를 판단하는 재미감각은 적절한 분량의 균형 잡힌 놀이에 재미를 느끼게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아담 스미스의 《도덕감정론》과 《대학》, 《예기》 등 동서고전을 넘나들며 사례별 인간의 감정과 공감을 설득력 있게 제시한다. 제3절에서는 아이들의 싸움놀이에서부터 유머, 만화, 게임, 도박에 이르기까지 놀이의 종류를 일목요연하게 다룬다.
유희를 보는 고금의 이론들
그다음으로, 저자의 유희론과 현대과학 연구, 고금의 유희철학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놀이론을 확장, 심화한다. 자악 팽크셉과 템플 그랜딘은 어린 포유류의 날뛰기놀이는 각각 뇌 안의 유희충동, 놀이신경체계에 따른다고 본다. 이러한 뇌과학적·행태학적 분석은 저자가 ‘생명력의 분출’로 본 유희본능을 과학적으로 뒷받침해 준다. 유희철학으로는 유희의 가치를 예술, 노동보다 낮게 평가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미메시스를 유희의 본질로 오인한 호이징거, 가다머 등 그 특징과 오류들을 낱낱이 파헤친다. 특히 ‘호모 루덴스’를 만든 호이징거 이론을 비판하는 대목에서는 저자의 놀이론이 얼마나 정교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책은 “유희는 노동보다 더 중요할 수 있다”고 말한다. 대담하지만 일리 있는 말이다. 무엇보다 지금은 오징어게임, BTS, 더 글로리 … 등 한국의 콘텐츠들이 세계 놀이문화를 좌우하고 있다. 그럼에도 놀이의 근원을 우리의 시각으로 보는 이론은 아직 거의 없다. 따라서 이 책은 K-한류의 이론적 지침서이자, 놀이가 일상이 된 MZ세대의 필독서이며, 놀이에 진심인 “노는 자들”을 위한 헌시라고 하겠다.
‘놀이하는 인간’이란
난장판놀이를 즐기는 아기부터 바둑 두는 할아버지까지. 사람들은 왜 놀이를 즐길까. 저자는 놀이가 “생명력과 심신능력의 자유로운 발휘, 표출”이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놀이의 범주에는 나홀로 놀이와 같이하는 놀이가 모두 포함된다. 나아가 목적론적 관점에서 볼 때 인간은 ‘호모 파베르(공작인)’가 아니라 놀기 위해 사는 ‘호모 루덴스’라고 규정한다. 이는 각종 게임에 열광하고 해외여행이 필수인 현대인들에게 딱 들어맞는 정의라고 할 수 있다.
중화론: 놀이와 재미의 본질
“놀기 위해 일하는” 호모 루덴스에게 재미는 곧 놀이의 궁극적 목표로서 매우 중요하다. 저자는 재미의 본질을 《중용》에 나오는 공자의 중화론中和論에서 찾는다. 질적인 균형〔中〕, 조화〔中節〕, 그리고 양적 중도中度가 재미를 좌우한다고 본다. 이 중화의 원리는 인간의 사회적 행위(공리, 유희, 예술, 도덕)를 규제한다. 유희적 행위를 판단하는 재미감각은 적절한 분량의 균형 잡힌 놀이에 재미를 느끼게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아담 스미스의 《도덕감정론》과 《대학》, 《예기》 등 동서고전을 넘나들며 사례별 인간의 감정과 공감을 설득력 있게 제시한다. 제3절에서는 아이들의 싸움놀이에서부터 유머, 만화, 게임, 도박에 이르기까지 놀이의 종류를 일목요연하게 다룬다.
유희를 보는 고금의 이론들
그다음으로, 저자의 유희론과 현대과학 연구, 고금의 유희철학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놀이론을 확장, 심화한다. 자악 팽크셉과 템플 그랜딘은 어린 포유류의 날뛰기놀이는 각각 뇌 안의 유희충동, 놀이신경체계에 따른다고 본다. 이러한 뇌과학적·행태학적 분석은 저자가 ‘생명력의 분출’로 본 유희본능을 과학적으로 뒷받침해 준다. 유희철학으로는 유희의 가치를 예술, 노동보다 낮게 평가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미메시스를 유희의 본질로 오인한 호이징거, 가다머 등 그 특징과 오류들을 낱낱이 파헤친다. 특히 ‘호모 루덴스’를 만든 호이징거 이론을 비판하는 대목에서는 저자의 놀이론이 얼마나 정교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책은 “유희는 노동보다 더 중요할 수 있다”고 말한다. 대담하지만 일리 있는 말이다. 무엇보다 지금은 오징어게임, BTS, 더 글로리 … 등 한국의 콘텐츠들이 세계 놀이문화를 좌우하고 있다. 그럼에도 놀이의 근원을 우리의 시각으로 보는 이론은 아직 거의 없다. 따라서 이 책은 K-한류의 이론적 지침서이자, 놀이가 일상이 된 MZ세대의 필독서이며, 놀이에 진심인 “노는 자들”을 위한 헌시라고 하겠다.
놀이하는 인간 : 100세 시대 나는 놈 위에 노는 호모루덴스의 철학
$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