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조 속 오례의, 그 정치성을 읽다 - 솔벗한국학총서 25 (양장)

국조 속 오례의, 그 정치성을 읽다 - 솔벗한국학총서 25 (양장)

$30.61
Description
영조대 의례서 편찬으로 들여다본 조선의 왕권과 예론
복잡한 의례논쟁부터 오례 분석까지 조선 중후기 의례정치사, 그 휘장을 걷어올리다
명민한 군주 영조는 《국조오례의》가 있음에도 왜 《국조속오례의》를 편찬했을까. 저자 박수정 연구원은 그 해답을 찾기 위해 15세기 복제 논의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붕당 추적에서 출발, 켜켜이 축적된 오례 일체로 탕평시대 예치 논리를 한 올 한 올 치밀하게 직조한다.
저자

박수정

저자:박수정
조선시대사전공으로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학대학원한국사학문학박사(2017)학위를받았다.한국고전번역원편찬실에근무(2003~2006)하였으며,한국학중앙연구원장서각근무및연구과제에참여(2007~2017)하였다.서울대학교규장각한국학연구원연구원(2017~2018)과한국학중앙연구원한양도성타임머신구축사업연구원(2020~2022)을지냈으며,현재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학정보화실전임연구원(2021~현재)으로활동하고있다.주요논저로는《17세기조선로열패밀리의결혼》공저(2021),《숙종과영조의일생의례》공역(2017),〈정조대《국조오례통편》편찬의정치적배경〉(2020),〈영조대《국조속오례의보》·《국조상례보편》의편찬배경과편찬자들〉(2018),〈영조대《國朝續五禮儀》편찬과정과편찬자들〉(2017),〈《국조오례의》의례시행과개정논의〉(2017),〈조선초기儀禮제정과犧尊·象尊의역사적의미〉(2012)등다수가있다.

목차

영조대《국조속오례의》와오례화보3
출간에즈음하여7
일러두기14

제1장논의에앞서

1.연구의방향16
2.책의조감도17

제2장《국조속오례의》편찬,그논란의배경

1.오례의의시행26
2.《오례의》개정의논란40
3.《속오례의》편찬의배경53

제3장《국조속오례의》와보완의례서의편찬

1.편찬의과정58
1)편찬의발단582)편찬의전개74

2.구성과내용83
1)길례842)가례1003)빈례1094)군례1115)흉례140

3.보완의례서의편찬152
1)《국조속오례의보》1522)《국조상례보편》161

제4장의주의시행시기와특징

1.《속오례의》의의주시행시기176
1)길례의주1772)가례의주2403)빈·군례의주2844)흉례의주297

2.《속오례의보》와《상례보편》의의주시행시기312
1)《속오례의보》의주3122)《상례보편》의주331

3.《속오례의》:화려한꽃인가,위엄서린칼날인가334
1)계술사업과왕실의위상강화3362)노론의리와주자가례의반영355

제5장갈무리

【부록】오례의항목비교378
참고문헌397
찾아보기407

출판사 서평

영조대의례서편찬으로들여다본조선의왕권과예론
복잡한의례논쟁부터오례분석까지조선중후기의례정치사,그휘장을걷어올리다

명민한군주영조는《국조오례의》가있음에도왜《국조속오례의》를편찬했을까.저자박수정연구원은그해답을찾기위해15세기복제논의까지거슬러올라간다.붕당추적에서출발,켜켜이축적된오례일체로탕평시대예치논리를한올한올치밀하게직조한다.

《속오례의》편찬의배경

솔벗총서(이온규이사장)의위상에걸맞게이책은근300년의역사를시야에담고있다.《오례의》개정논의의원인遠因이자배경으로서저자는우선15~17세기오례의와주자가례시행의논란을훑어본다.국조오례의파와고례파는복제·친영례·천릉의등국가례에주자가례를어느정도적용할것이냐를두고예학적으로대립해왔다.이후1·2차예송을겪으며왕조례가훼손된것과서인내의분열이《속오례의》편찬으로이어졌음을논증한다.곧《속오례의》는주자가례의적용을받은왕조례,정치와사상이결합된결과물이다.특히저자는《속오례의》의편찬의도가국가의례재정비라는기존연구를반박하고,왕권강화의정치적목적이었음을실증적논거로밝힌다.영조대시행된의주(의례의시행절차)만이아니라이전에시행된의례와시행시기가명시되어있지않은의례등을엄밀하게분석한것은학술적성과라고할수있다.

영조의편찬사업과국정운영

경신처분을통해왕위정통성시비를종결지은영조는‘탕평’의국면이확고하게자리잡게된중기,의례서와법전등을편찬한다.저자는의례서편찬자들의당색과분파를분석함으로써영조의의도를추적한다.1744년《속오례의》의편찬자들이노론정권에밀려있던소론이었다면,1751년《속오례의보》의편찬자들은노론이었고,1752년,1757년의《상례보편》편찬자들은노·소론,곧탕평정치운영의주역들이었다.이인사구성은,영조가《속오례의》로“숙종의과업을‘계술繼述’”하고《속오례의보》와《상례보편》으로“자신의정치를펼쳤음”을보여준다.의례사업에서도노·소론의균형을꾀했던것이다.

오례시행에나타난《속오례의》의특질

저자는제4장에서《속오례의》의주의시행시기를오례별로분석하고《오례의》와비교하여영조대의례의특수성과성격을밝힌다.《오례의》에도있는행릉의를《속오례의》에서다시부각시킨이유는“왕위계승초기에경종을위한의례를강조할수밖에없었던영조의처지를반영한것”이라고본다.종묘와영녕전의례의증보에서숙종의뜻을이은영조의계술사업이자노론의리의실천을추정하며,선로포의와영희전의례로영조가인조대에근거하여왕권의정통성회복을의도했음을간파한다.아울러영조는기로연·친행의례와기곡제·대사례등을현시함으로써여민동락하면서도황제의위엄을갖춘“중흥의군주”임을자임했다고평가한다.

조선왕실의의례연구서가운데영조대오례를집대성하여전후의례의흐름속에서비교·대조한탐구는이책이유일하다.따라서이책은왕조별의례·오례의정밀연구와정치사상사연구진작에크게기여할것이다.첫저서로의례정치사의큰그림을그리는역량이돋보이는만큼영조대법전이나편찬자들등저자의차기작도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