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건국의 개혁사상과 문명론 (양장)

조선 건국의 개혁사상과 문명론 (양장)

$43.00
Description
고려 말 혼돈 속 지식인들의 투쟁과 건국의 모색, 그 역정을 고찰하다
여말선초 격동기의 개혁론을 유학자 지식인 14인의 인물사로 엮은 역작이 나온다. 저자는 성리학의 수용과 확산 과정에 맞추어 유학자들의 고뇌에 찬 도전과 대응에 주안점을 둔다. 이로써 유교사회의 기틀을 정초한 개혁자들과 조선 건국의 전체상이 입체적으로 드러난다.
저자

도현철

저자:도현철
연세대학교사학과를졸업하고같은대학대학원에서수학하였다.연세대학교문과대학사학과교수이다.연세대국학연구원장과한국사상사학회회장,역사학회회장을역임했다.고려후기와조선초기의정치사상을주로연구하고있다.《고려말사대부의정치사상연구》(1999),《목은이색의정치사상연구》(2011),<조선전기정치사상사>《삼봉집》과《경제문감》의실증적분석을중심으로》(2013),〈조선건국기성리학지식인의네트워크와개혁사상〉(2018),〈조선건국과정에서역사기록의상이한평가와해석〉(2020),《이곡의개혁론과유교문명론》(2021),《고려와원,간섭속의항쟁과개혁그리고그유산》(2022)등한국중세사상사관련논저가다수있다.

목차

화보4
머리말8
차례11
제Ⅰ부들어가는말15
제Ⅱ부성리학수용을통한지식(인륜·수기론)의확산과계승21
제1장안향의성리학의수용과유교의확산22
1.머리말22
2.대원관계의정립과국학의진흥24
3.유교이념의강화와문치사회론39
4.맺음말50
제2장이제현의군신정치론과문치사회지향52
1.머리말52
2.사대관계의유지와정치운영론54
3.유교적개혁과문치사회지향64
4.맺음말73
제3장이곡의경중시의성리학과유학자관료등용론76
1.머리말76
2.경중시의성리학과군주수신론77
3.유학자관료의등용론과인성중시교화론87
4.맺음말102
제Ⅲ부구법존중과왕조유지론105
제1장이색의심성·수양중시의성리학과구법존중106
1.머리말106
2.경세의식과심성·수양중시의성리학108
3.구법존중과유교문명론123
4.맺음말132
보론1:염흥방의성리학이념확산과사상의변화135
1.머리말135
2.공민왕대개혁참여와좌주문생제의옹호138
3.우왕대권문적기반의확대와정치적좌절149
4.맺음말164
제2장정몽주의네트워크와왕조유지론167
1.머리말167
2.인적네트워크와외교활동168
3.유교사회지향과왕조유지론187
4.맺음말200
제3장이숭인의정치활동과성리학적예제인식203
1.머리말203
2.개혁세력의결집과정치활동204
3.성리학적예제인식과예론217
4.맺음말234
제Ⅳ부신법개혁과제도중시의체제개혁론237
제1장윤소종의경세의식의고양과정치개혁론238
1.머리말238
2.경세의식의고양과현실인식239
3.개혁세력의분화와정치개혁론249
4.맺음말267
제2장조준의정치활동과신왕조의기반마련269
1.머리말269
2.고려말정치활동과개혁상소271
3.조선초유교적체제정비와신왕조의기반마련279
4.맺음말291
제3장정도전의국가구상과정치운영론293
1.머리말293
2.성리학적정치이념과중앙집권적정치체제294
3.군주관과재상정치론304
4.맺음말315
보론2:고려말유학자의성장과재상정치론318
1.머리말318
2.고려말유학자의성장과정치변동319
3.군주성학론과이상적재상상의모색330
4.맺음말352
제Ⅴ부신·구법의절충과유교적체제정비론355
제1장이첨의인정치론과조선의체제정비356
1.머리말356
2.인적네트워크와공양왕옹립찬성358
3.천명론과조선의체제정비376
4.맺음말382
제2장권근의권도중시의출처론과정도전의구상실현참여385
1.머리말385
2.불교비판과권도와시의중시의출처관387
3.정도전과정치적결합과《삼봉집》완성에관여415
4.맺음말424
제3장하륜의실용적유학관과부국론427
1.머리말427
2.유학적실용주의와타협적외교론429
3.중앙집권체제강화와부국론438
4.맺음말452
제Ⅵ부성리학적정치사상의확대와유교문명론455
제1장정도전과김익정의군주관456
1.머리말456
2.김익정의생애와정도전의군주정치론458
3.성리학적군주의근면정치와군주성학론465
4.맺음말484
제2장정도전의문치사회지향과계승487
1.머리말487
2.문치사회지향과경학강조488
3.정도전사상의특징과사상계승503
4.맺음말521
제3장길재의충절론과문치이념의확산523
1.머리말523
2.충절론과유학의진흥525
3.문치이념의확산과길재의위상533
4.맺음말548
제Ⅶ부맺음말:유교문치,문명사회를지향하며551
논문출전558
표목차560
찾아보기561

출판사 서평

성리학수용과인적네트워크

원의간섭과왜구출몰,그리고민생파탄.내우외환의질고속에서뜻있는이들은성리학에서새활로를찾았다.저자는“역사속의인간은사회적,시대적조건속에서이해된다”는전제아래이들의동향과그때사회상을조응시킨다.13세기말안향이뚤르게로서성리학을수용한것은원에서한화정책을실시하고성리학이관학이되며원-고려가밀접한관계에들어선시기와맞물렸던것이다.안향을위시한1세대사대부들이이제현·이곡등에전한성리학은이색을거쳐서정몽주·정도전·이숭인·권근등으로전해졌다.저자는특히이색문하의3세대사대부들이성균관에서성리학을연구하고교류하면서인적유대가돈독해졌음을강조한다.성균관대사성역임자들을엮은표는과거제의좌주문생관계와성균관네트워크가어우러진유학자인맥의실상을한눈에보여준다.

현실과이상의충돌

성균관학맥으로맺어진사대부들은하나같이북원사신영접을반대했으나전제개혁이나요동정벌등대내외사안에는다른목소리를냈다.저자에따르면이들은“성리학적사유를견지하였으나현실인식과타개방법에서는차이를보였다.”예컨대이첨,권근,정도전,남은,최영등은요동정벌에찬성하였지만조준,하륜,이성계등은반대하였다.저자는이가운데성리학적이상과현실사이에서고뇌하는모습도포착한다.윤소종은정도전,조준과함께전제개혁을주장한개혁파사대부이면서도이색과좌주문생관계를잊지못하여이색사형의상소에서명하지않았던것이다.대의멸친의성리학적이념보다는현실정리에기울어진사례이다.

유학자들의구상,새왕조로실현되다

고려조정유지냐왕조교체냐를두고견해차가있었으나유학자들의미래구상은대개하나로수렴되었다.저자는그것을“문치사회”로명명한다.안향,이제현,이곡의군주수신론,이곡-이색-권근으로이어지는경중시의수양론,이제현-박상충-이색-권근의예제정비,정도전의재상정치론의궁극적도달점은덕치와예치로써학술진흥과문물을정비하는유교적이상향인것이다.정도전,권근,하륜,조준등개혁가들은육조직계제의중앙집권체제와법제정비,학교와과거제를통한유학이념의보급같은구체안을가지고조선시대문치의장을열어갔다.

이책은한국초기성리학의성격을파악할수있게해주며,실천이념으로서성리학이어떻게안착되어현실에적용되었는가를보여준다.동시에여러인물들의서사를통해조선건국의치열한과정도알려준다.조선왕조의기반정립과성리학의융성은이상과현실의차이,대결과갈등,시행착오속에서도문치를지향했던개혁자들의끊임없는의지에의해가능했던것임을증명한다.그들만큼이나쉼없이역사속인간과사상탐구에정진해온저자의이책은국사학계의큰결실이될것이다.

책속에서

뚤르게는역설적이기는하지만의관의자제들이신문물을접하는계기가되었다.충렬왕5년원세조의조서에따라의관의자제들을선발하여입시入侍케하였는데,박전지朴全之(1250-1325)또한이때참여하였다.그는원나라에체류하는동안중국의명사들과사귀면서고금의역사를상론하였고중국의산천과풍토를손바닥을들여다보듯이환하게알았으므로왕이이것을중히여겼다.안향역시뚤르게가되어원에서궁정생활을하며원의문화를접하고원의문사들과교류하여중국의선진문명을수용하였다.백이정(1247-1323)은1198년부터충선왕을수종하여숙위로서북경에서10년동안머물렀고다수의정주성리학관련서책을구하여돌아왔다.최성지(1265-1330)는이제현과함께충선왕을호종하였는데정주학을좋아하여선배들이모두그와교유하였다.최문도(1292-1345)는왕고를따라숙위하였는데집밖에서는화살과검을손에쥐고집에서는주렴계·이정자二程子·주자의성리학서를읽었다.이처럼초기원과밀접한관계에있었던의관의자제들이문화교류,특히성리학수용에큰역할을수행하였다.
-30-31쪽

여기서주목할만한사실은이숭인이시관이된근본적인동기가논란이되고있다는사실이다.즉모친상을치르는가운데시관으로서과거시험집행을‘불효’라고규정하는간관의비판이나,살아계신아버지의소망에따른것이었다고변호하는권근의주장모두이문제에관한한효관념을논거로제시하고있다는것이다.기복이라는형식적조건을충족했는가하는것이논의의초점이아니라,한편에서는어머니에대한효를다했는가하는것이문제가되고,다른한편에서는어머니에대해효를다하는것과아버지에대한효를다하는것사이에무엇을우선적으로고려할것인가하는것이중심이었던것이다.
그점에서보면정도전계열이든,이숭인과그를변호하는권근이든충을효관념의연장으로이해하고사적인부자의인륜을더우선시하는사고를읽을수있다.아울러효는,자신이소속된종宗에만적용되는사적인성격을가지는것이면서도국가의관점에서보면충의관념과함께국가구성원의기본적관계의식으로서사회규범의토대가되는공적성격을갖게되는데,《주자가례》의수용과실행이확산심화되면서예의윤리에부합하는처신이공적정치과정으로서의미를획득해가는양상을이논쟁은잘보여주고있다고하겠다.
-232~23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