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맞수 2 : 고구려 고국원왕과 백제 근초고왕 - 역사 속에 살아 있는 인간 탐구 43

역사의 맞수 2 : 고구려 고국원왕과 백제 근초고왕 - 역사 속에 살아 있는 인간 탐구 43

$20.98
Description
삼국 시대 각 국의 기틀을 다지고 전성기를 이끈
고구려와 백제의 두 왕이 평양성에서 맞붙는다
고구려의 고국원왕과 백제의 근초고왕.
이들은 6년이라는 짧지 않은 기간을 함께 하며 고구려와 백제에서 새로운 시대를 여는 시작점을 만들었다. 고국원왕은 남하 정책을 추진하며 고구려의 전성기를 열었고, 근초고왕은 선대 왕이 이루어 놓은 토대 위에서 백제의 중흥을 이끌었다. 이들이 고구려와 백제 역사상 후계 왕들로부터 칭송받고 존칭을 받은 이유이다.
이 과정에서 고구려는 남진을, 백제는 북진을 추진하였다. 이제 충돌은 피할 수 없게 되었다
평양성 전투는 한국고대사에서 일어난 최초의 북진과 남진의 충돌이었다. 고구려왕과 백제왕이 직접 전장戰場에서 맞붙은 처음이자 마지막 전투였다.
맞수의 대결은 고국원왕이 백제군의 화살에 맞아 전사함으로써 근초고왕의 승리로 끝났다. 그 결과 고구려의 남진에 제동이 걸리면서 백제는 고구려와 힘의 균형을 이루었다. 이후 두 나라는 한반도에서 진행되는 역학 관계의 중심축이 되었다.
맞수의 대결과 그 결과는 당시뿐만 아니라 그 이후의 역사 전개 과정에 큰 영향을 미쳤다. 백제는 한반도에서의 힘을 증명하고 해외로 영향력을 펼쳐 나갔다. 고구려에게 고국원왕의 전사는 위기였지만 소수림왕은 이 위기를 극복하고 체제를 정비하였다. 맞수의 시작과, 대결, 그리고 그 결과를 다룬 이 책은 4세기 전·후반의 고구려사와 백제사를 이해하는데 조그마한 디딤돌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노중국

저자:노중국
경북울진에서태어나계명대학교사학과를졸업하고,서울대학교대학원국사학과에서석사학위와박사학위를취득했다.계명대학교인문대학사학과교수(1979~2014)로재직했으며,인문대학학장을역임하였다.현재계명대학교사학과명예교수이다.한국고대사학회를창립하여1~4대회장을맡았고,대구사학회회장,백제학회회장을역임했다.제1기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위원,한성백제박물관건립추진단전시기획실무위원회위원장,문화재위원회사적분과위원장,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위원,백제역사유적지구세계유산등재추진위원회위원장,백제문화사대계(25권)편집위원장,신라천년의역사와문화연구총서ㆍ자료집(30권)편집위원장을지냈다.
저서로는《백제사회사상사》,《백제의대외교섭과교류》,《백제부흥운동사》,《백제정치사》,공저로는《개정증보역주삼국사기Ⅰ-Ⅴ》,《대가야의정신세계》,《한국고대의수리시설과농경》,《한류열풍의진앙지일본가와치》,《금석문으로백제를읽다》등이있다.

목차


제1부맞수의앞시대13
Ⅰ.고구려미천왕15
1.즉위과정15
2.왕권중심의정치운영22
3.정복활동:서안평점령과낙랑군대방군병합25
4.대외관계28
Ⅱ.백제비류왕35
1.출계와나이문제35
2.즉위과정37
3.정치적기반의확대와부체제의해체40
4.군사권장악과영역확대45
5.벽골지축조와경제기반의확대47
6.백제국이라는이름으로중국과교섭49

제2부맞수의등장53
Ⅰ.고구려고국원왕55
1.국가운영의기본방향55
2.체제정비60
3.‘태왕호’와‘연수’연호의사용과독자적천하관69
4.의관제의정비78
5.인재등용:동수등중국계인물의등용81
6.정치운영과귀족합좌제84
Ⅱ.백제근초고왕87
1.부여씨의왕위계승권확립87
2.중앙과지방통치조직의정비92
3.유교정치이념의확산과역사서편찬102
4.율령의반포와시행104
5.의관제의정비:금동관과관장식108
6.인재등용:박사고흥과박사왕인111
7.정치운영과대신회의114

제3부맞수의대결117
Ⅰ.고국원왕의서진좌절과남진정책119
1.고구려의전연에대한대비119
2.전연의공격과고구려의승리126
3.서진의좌절과남진추구138
Ⅱ.근초고왕의남방경략과북진추구150
1.남방경략의주체와시기150
2.신라와의관계:약위형제관계152
3.가야제국과의관계:부형-자제관계153
4.영산강유역신미국세력의병합과북진추구155
Ⅲ.평양성전투162
1.치양전투:1차전초전162
2.패하전투:2차전초전170
3.평양성전투와고국원왕의전사173
Ⅳ.맞수의능묘179
1.고국원왕릉:천추총179
2.근초고왕릉:석촌동3호분185

제4부맞수의대결이후191
Ⅰ.다시체제를정비한고구려소수림왕193
1.즉위와별칭소해주류왕193
2.체제정비196
3.대외교섭과교류204
4.소수림에묻힌소수림왕208
Ⅱ.전성기를구가한백제근초고왕209
1.고구려에대한대비209
2.국제적위상의고양213
3.독자적천하관표방219
Ⅲ.수성의군주,백제근구수왕222
1.진씨왕비222
2.국정운영의기본방향224
3.삼교포함사상225
4.동진및16국과의관계228
5.아름답지못한최후230
Ⅳ.다시불붙은공방전232
1.수곡성을둘러싼공방전232
2.백제북쪽경계에서의전투233
3.제2차평양성공방234
4.소강상태236

맺는글:평양성과평양성전투의역사적의미239
1.평양성에대한인식239
2.고구려의부도평양성240
3.평양성전투의역사적의미245
4.‘일통삼한’의식과평양248

후주254
찾아보기296

출판사 서평


삼국시대각국의기틀을다지고전성기를이끈
고구려와백제의두왕이평양성에서맞붙는다

고구려의고국원왕과백제의근초고왕.
이들은6년이라는짧지않은기간을함께하며고구려와백제에서새로운시대를여는시작점을만들었다.고국원왕은남하정책을추진하며고구려의전성기를열었고,근초고왕은선대왕이이루어놓은토대위에서백제의중흥을이끌었다.이들이고구려와백제역사상후계왕들로부터칭송받고존칭을받은이유이다.
이과정에서고구려는남진을,백제는북진을추진하였다.이제충돌은피할수없게되었다
평양성전투는한국고대사에서일어난최초의북진과남진의충돌이었다.고구려왕과백제왕이직접전장戰場에서맞붙은처음이자마지막전투였다.
맞수의대결은고국원왕이백제군의화살에맞아전사함으로써근초고왕의승리로끝났다.그결과고구려의남진에제동이걸리면서백제는고구려와힘의균형을이루었다.이후두나라는한반도에서진행되는역학관계의중심축이되었다.
맞수의대결과그결과는당시뿐만아니라그이후의역사전개과정에큰영향을미쳤다.백제는한반도에서의힘을증명하고해외로영향력을펼쳐나갔다.고구려에게고국원왕의전사는위기였지만소수림왕은이위기를극복하고체제를정비하였다.맞수의시작과,대결,그리고그결과를다룬이책은4세기전·후반의고구려사와백제사를이해하는데조그마한디딤돌의역할을할수있을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