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의 위 아래 공사 : 앎의 지혜 (양장)

학문의 위 아래 공사 : 앎의 지혜 (양장)

$24.00
Description
삶과 앎을 아우르는 거장의 키 미지의 항로를 트다
대등론을 설파해 온 국문학자 조동일 교수가 지혜 시리즈로 독자들을 찾아간다. 어떻게 살 것인가, 학문을 어떻게 하는가에 대한 해답은 본연에 있다고 말한다. 새벽을 깨우는 농부의 타작소리는 경쾌하고 때로는 추상같다.

저자

조동일

저자:조동일
서울대학교에서국문학을전공해문학박사학위를받았으며,계명대학교,영남대학교,한국학대학원,서울대학교교수를거쳐,현재서울대학교명예교수,대한민국학술원회원이다.『한국문학통사』『하나이면서여럿인동아시아문학』『소설의사회사비교론』『탈춤의원리신명풀이』『의식각성의현장』『동아시아문명론』『한국학의진로』『해외여행비교문화』『서정시동서고금모두하나』『시조의넓이와깊이』『국문학의자각확대』『대등한화합』『대등의길』등을비롯해다방면의저서가있다.

목차


들머리4

제1장학문왜어떻게11

1왜학문을하려는가?13
1-1초발심13
1-2공부에서알기로16
1-3남의학문,나의학문19
1-4유학에의존하다니22
1-5괴롭지않고즐거워야26
1-6방황을청산하는각성29
1-7아는것과모르는것33
1-8학문전통의비교평가36

2어떻게다져야하는가?40
2-1세가지배움40
2-2세학문의품격과기여43
2-3작은마음큰마음47
2-4크나큰학문을이룩한선학들50
2-5민족을넘어서는학문53
2-6문제의식이있어야57
2-7예술창조와학문창조60
2-8정치비판과학문비판63

3왜일어서야하는가?66
3-1학문이지식자랑이라면66
3-2아는것은짐이다69
3-3용어를바로잡자73
3-4우리말로철학하기76
3-5학자의시간낭비79
3-6선승과학승,어느쪽인가?83
3-7학문의깨달음어렵지않다86
3-8깨달음은토론이어야89

4어떻게나아가는가?92
4-1학문의동심원확대92
4-2작은학문에서큰학문으로96
4-3농부와학자,농사와학문100
4-4실학이냐기학이냐103
4-5문제의식에서대발견까지106
4-6생애의단계와학문의진전110
4-7이론창조에서문명전환까지113
4-8산수노래와MW수학115

5왜어떻게대전환을이루는가?120
5-1선진과후진의역전120
5-2대실수의후유증123
5-3강자자멸의원리와유형127
5-4차등과대등이투쟁해온역사131
5-5정치사에서문화사로134
5-6동아시아연합의순서138
5-7유불문명이분발해야142
5-8대등예술의사명146

제2장이론만들기의사례와방법151
1서론153
1-1왜이론인가?153
1-2이론의단계156

2기본159
2-1용어159
2-2분류163
2-3논리166
2-4문장169

3율격172
3-1토막172
3-2줄175
3-3다섯줄과세줄178
3-4여섯토막181
3-5세토막184
3-6토막복합187
3-7한시율격에대응한방법190
3-8멀리서온충격193

4미의식197
4-1무엇이다른가?197
4-2다시무엇이다른가?199
4-3미의식과갈래202
4-4미의식의공존과상충205
4-5연극의원리,논란의내력208
4-6신명풀이의등장211
4-7세원리의상관관계213
4-8더해야하는말216

5갈래218
5-1교술과서정218
5-2서사와희곡221
5-3큰갈래와작은갈래225
5-4서정의축소지향228
5-5교술의확대지향231
5-6서사구조234
5-7신화·전설·민담·소설237
5-8신화에서소설까지240
5-9신화의변천243
5-10소설의위장전술246
5-11남성소설과여성소설249
5-12소설사의거시이론252

6역사255
6-1이론의차질255
6-2시대구분의어려움258
6-3입각점262
6-4구비문학와기록문학265
6-5공동문어문학과민족어문학268
6-6중심부·중간부·주변부271
6-7중세전기와중세후기274
6-8중세에서근대로의이행기277
6-9근대,다음시대280
6-10인간사를넘어서283

7총체이론286
7-1빗나간현장에서286
7-2생극론289
7-3변증법을넘어서서293
7-4역전론과대등론296

8방법총괄299
8-1자기말299
8-2동심원302
8-3거시305
8-4깨달음308

나가며312
문명의위기와인문학의사명314

출판사 서평


삶과앎을아우르는거장의키미지의항로를트다

대등론을설파해온국문학자조동일교수가지혜시리즈로독자들을찾아간다.어떻게살것인가,학문을어떻게하는가에대한해답은본연에있다고말한다.새벽을깨우는농부의타작소리는경쾌하고때로는추상같다.

‘창조주권론’

창조주권이란“창조하는본성을타고난주체가스스로창조하는권한이자능력”을말한다.저자는,천인합일의동아시아기학氣學(최한기)에바탕한창조주권이신과인간사이의차등을전제로한서구의천부인권과대조됨을보인다.이로써유럽문명의자연법관념을전복시키며,정치주권(국민주권),시민의식을창조주권과비교하여창조주권론으로탈근대의개벽을선언한다.천부인권이차등론의대안인평등론에근거한다면,창조주권론은귀천현우구별없이나와다름을인정하기에대등론에기초한다.나아가저자는공동체유대를다지는대등의식이대등사회를이룬다고전망한다.따라서창조주권론은생극론의사회이론적확장이자인류역사의단선적발전궤도를타파하는대전환이다.

어떻게창조주권이발현되는가

창조주권론은거대담론이면서도동시에소박하다.“누구나대등하게타고난창조성을발현시킬수있다”는긍정의존재론이라는점에서일상생활의모토가된다.저자는의식주를스스로마련하던예전과는다르지만오늘날에도저마다자신의일로창조주권을발현할수있다고본다.주부가정성들인밥상은곧베토벤의실내악에견줄정도의창조라는것이다.특히저자는창조주권이외부의학습보다는자연을스승으로삼고스스로깨우치는것으로발현된다고본다.자연의움직임에밀착한농부가정확하게기상을관측하는것이나학습하지않아도본원문법으로말을깨치는것처럼,예술,학문도가르쳐서가아니라자신의절실함으로부터출발된다는것이다.

학문이성립되는조건

두번째책은저자가창조주권을발휘하여내놓은결과물로서창조주권론을스스로입증한다.학문의위공사는학문에대한근본자세,학문의아래공사는이론만들기의방법론이다.저자는“자연을스승으로삼고천지만물의이치를깨달아창조하는”창조학과내학문적토양에서내공부를스스로찾아내는것이중요하다고말하며,학문의동심원을넓혀가는거시적안목을키워야한다고지적한다.내공부란저자가〈나가며〉에서말한본원학문이며,저자의연구가바로본원학문의본보기이다.문제의식과집중력을갖추어깨달음을얻는학문을보여주기위해저자는일반론과함께저자의문학사조망과문학이론을제시하여구체화한다.학문은교육과같이가는바,첫권의제4장〈고침〉에서는창조주권의발현으로서학문을뒷받침하는연구,교육을개선하는대안들을밝힌다.문제를발견하게하고,교과서를없애며,대등을알려주는문화사·문명사교육등고등교육과박사제도개선안,연구교수제,학술총괄원,공개강의제등대학교육과대학원교육을총망라한다.

소통의결실

유투브강연의모음집인이책은댓글이포함된공저이다.한강연인각절끝에댓글이달리는데,그댓글은강연을요약하거나새논의의실마리를던져주고저자가미처생각하지못한창발적아이디어를제시하기도한다.댓글과답글의소통은바로또다른창조를예기하고품는다.저자는“예술의본질이소통”이라고보았지만,학문또한소통으로이루어져있음을이두책으로증명한다.

탈춤의탈놀이에는서로대결하던놀이패들이춤대목에서한바탕춤추며어울린다.이러한생극生克에서나온대등론은갈등의한복판에서춤으로한판대동大同을펼쳐낸다.“한국인은각자의창조주권을사회적협동을위해발현하는데남다른열의가있다”고저자가말했듯이,적대와반목을뚫고‘상생’의대등의식이우리안에서다시발현되어야할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