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불교사, 고려 (양장)
Description
처음으로 학계의 역량을 집약한
한국 불교 개설서!
유교와 함께 한국의 전통문화를 대표하는 불교를 빼놓고는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설명할 수 없다. 불교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다루어지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하나의 학문으로 자리 잡지는 못했다. 불교사는 그 중요성에 비해 여전히 연구자들의 관심 밖에 놓여 있거나 소외된 연구 영역으로 남아 있다.
이런 현실을 직시하며 불교사학회 결성과, 시대를 아우르는 개설서 출간을 고민해 온 신라대학교 역사문화학과의 조명제 교수는 우연한 만남을 계기로 2019년 불교사학회를 결성했다.
불교사학회에서는 고대, 고려, 조선·근대 세 권으로 불교사 개설서를 만드는 데 뜻을 모으고, 1년간의 편집 회의를 통해 ‘불교계의 동향’, ‘사상과 문화’, ‘사회와 불교’라는 일관된 체재와 그 외 내용을 보론으로 묶는 편집 방침을 정했다.

우리 역사학계에 사상사로서 불교사학을 어떻게 자리매김할지 고민하는 불교사 연구자들이 새로운 역사상을 제시하기 위해 첫발을 내딛은 것이다.

저자

한기문,박용진,조명제,강호선,최연식,김수연,박윤진,이병희,구산우,김윤지,

저자:한기문
경북대학교사학과명예교수

저자:박용진
국민대학교교양대학교수

저자:조명제
성신여자대학교사학과교수

저자:강호선
신라대학교역사문화학과교수

저자:최연식
동국대학교사학과교수

저자:김수연
이화여자대학교사학과교수

저자:박윤진
고려대학교한국사학과강사

저자:이병희
한국교원대학교역사교육과명예교수

저자:구산우
창원대학교사학과교수

저자:김윤지
고려대학교인문융합연구원박사후연구원

저자:최연주
동의대학교문헌정보학과교수

저자:이승희
순천대학교남도문화연구소교수

저자:한지만
명지대학교건축학부교수

목차

1부고려불교사의흐름과불교계의동향
1장고려왕조의불교계정책과불교계의재편_한기문
2장고려전기불교계의동향과천태종개창_박용진
3장무신정권의등장과불교계의변화_조명제
4장고려말사상계와불교_강호선

2부고려시기불교사상과신앙
5장고려시대의화엄종과화엄학_최연식
6장공안선의수용과전개_조명제
7장정토신앙의성행_김수연
8장주자학의수용과불교_조명제

3부고려사회와불교
9장승정제도의구조와기능_박윤진
10장사원의경제기반과운영_이병희
11장향도의활동과사회적기능_구산우
12장고려의사회구조와불교_한기문183

보론
1.고려시대동아시아한문불교문화권의불교교류_박용진
2.불교사서의수용과편찬_김윤지
3.대장경의조성_최연주
4.고려불화와사경_이승희
5.고려시대의사원건축_한지만
6.밀교와다라니신앙_김수연

출판사 서평

한국불교사3부작의첫책!

불교사연구자들이한뜻으로개설서작업을한적이없는까닭에책의얼개를기획하고집필진을구성하는데어려움이많았다고한다.한국불교사의첫책이고대가아닌고려로결정된것은이와무관하지않다.2019년학회를결성해1년간의편집회의를거쳐체재와방침은정했으나원고청탁과집필이시작될무렵코로나팬데믹이시작된데다여러저자가함께하는책이다보니원고취합이녹록지않았다고한다.불교사학회에서는2020년부터이미집필이시작되어3년의시간이흘렀다는점을감안해시대순출간을고집하기보다편집이완료되는책부터출간하기로결정했다.이에따라고대편이아닌고려편부터선보이게되었다.
고려불교사연구는1970,1980년대에본격적으로시작되어적지않은성과가축적되었다.이책의저자들은각자의연구주제를새로운시각과방법론에입각해기존의연구성과뿐아니라최신의연구성과까지아울러좀더쉽게고려불교를소개하고자했다.

접근하기어려운불교사를
일반독자들도읽기쉽게풀어낸책!

한국사를전공하는이들에게필수적인분야가불교이지만,이를본격적으로공부하는데는무수한한자와생소한용어,복잡해보이는사상과계보,수많은인물등이큰벽으로작용한다.게다가그동안은각주제를대표하는전문가들이사료에입각해정확한정보를전달하는책을찾기어려웠다.
‘한국불교사’는논문식의복잡한형식을배제하고,주제별서술방식을택해각글을15쪽내외로서술했다.이는전공자뿐아니라일반독자들이관심있는주제에서시작해책전체로관심의범위를넓힐수있게하기위함이다.

다양한주제를새로운시각으로설명한,
고려불교입문서!

태조왕건은「훈유십조」에교선체제를통한불교치국의이념을천명했다.그후불교는고려왕조내내국교에준하는종교로서왕실과문벌귀족뿐만아니라백성에이르기까지사회구성원전체의삶과함께해왔다.이책은신라말불교가고려로들어와어떻게체계화되었는지를시작으로신라말다양한학제가종파로정착되고서로경쟁하는과정,천태종의개창,무신정권기불교계의변화,원간섭기임제간화선풍의영향등을다룬1부‘고려불교사의흐름과불교계의동향’,화엄학의부상과융성및균여와의천의화엄학,공안선의수용과문자선의풍토가간화선으로변화하는과정,정토신앙과파지옥의성행,주자학의수용과불교의영향을정리한2부‘고려시기불교사상과신앙’,불교를국가에서관리하기위한승정제도와사원경제,향도의활동과사회적기능및역사적의의,불교가고려의지배구조와생애의례에미친영향을기술한3부‘고려사회와불교’와함께동아시아에서의불교교류,불교사서의수용과<삼국유사>의발견,대장경의조성,불화와사경,사원건축,밀교와다라니경을흥미롭게풀어낸‘보론’을통해고려불교와관련된기본적인지식을충실히전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