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불교사 : 고대 (양장)

한국 불교사 : 고대 (양장)

$39.48
Description
44명의 연구자가 6년에 걸쳐
62개 주제로 완성한
한국 불교사 개설서!
유교와 함께 한국의 전통문화를 대표하는 불교를 빼놓고는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설명할 수 없다. 불교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다루어지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하나의 학문으로 온전히 자리 잡지는 못했다. 불교사는 그 중요성에 비해 여전히 연구자들의 관심 밖에 놓여 있거나 소외된 연구 영역으로 남아 있는 것이다.
이런 현실을 직시하며 불교사학회 결성과, 시대를 아우르는 개설서 출간을 고민해 온 신라대학교 역사문화학과 조명제 교수는 2019년 불교사학회를 결성했다.
불교사학회에서는 고대, 고려, 조선·근대 세 권으로 불교사 개설서를 만드는 데에 뜻을 모으고, 2023년 11월 『한국 불교사: 고려』를 시작으로 2024년 6월 『한국 불교사: 조선·근대』에 이어 2025년 3월 『한국 불교사: 고대』를 출간하게 되었다. 44명에 이르는 각 분야 전문가들이 6년에 걸쳐 완성한 『한국 불교사』가 불교사학의 발전에 새로운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처음으로 학계의 역량을 집약한 한국불교 통사 완간!

『한국 불교사: 고대』는 불교사학회(회장: 조명제)에서 기획한 ‘한국 불교사 개설서 3부작’ 중 마지막 책이다.
통념과 달리 불교(Buddhism)는 19세기에 서구인의 상상력에 의해 구축된 개념이다. 문헌학적 근대 학문으로 구축되어 아시아로 전해진 것이다. 19세기 동아시아에서는 제국주의에 대항하며 국민국가 형성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근대문명을 수용하면서 문화·사상의 전통을 기반으로 독자적인 사상세계를 구축했는데, 그러한 과정에서 불교가 새롭게 주목을 받았다.
이 책은 트렌드에 따라 사상사의 흐름을 도외시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일국사의 틀에서 벗어나 동아시아 불교사의 흐름을 읽어내려는 학제적 경향을 반영했다. ‘시기별 불교사의 흐름과 불교계의 동향’, ‘사상과 문화’, ‘사회와 불교’ 등 세 가지 주제로 큰 틀을 잡고, 나머지 글을 보론으로 묶는 체재를 채택해, 인물의 사상 체계를 중심으로 연구하는 ‘불교학’과는 다른 ‘불교사학’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접근하기 어려운 불교사를
일반 독자들도 읽기 쉽게 기술한 책!

불교사는 한국사를 전공하는 이들에게 필수적인 분야이지만, 본격적으로 공부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무수한 한자와 생소한 용어, 복잡해 보이는 사상과 계보, 수많은 인물 등이 큰 벽으로 작용한다. 게다가 각 주제를 대표하는 전문가들이 사료에 입각해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책을 찾기도 어려웠다.
『한국 불교사』는 논문식의 복잡한 형식을 배제하고, 주제별 서술 방식을 택해 전공자뿐 아니라 일반 독자들도 불교사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했다.



삼국·통일신라·발해·가야의 불교 수용에서
고대 불교 사상 및 신앙의 전개와 문화적 기여까지!

한국 역사상 불교를 최초로 수용한 국가는 고구려이다. 그러나 지리적·사료적 한계와 희소한 유적·유물로 고구려나 발해 불교의 전개상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기가 어려웠다. 그럼에도 학계의 부단한 연구와 고고학적 성과를 통해 고구려 및 발해 불교사의 퍼즐이 조금씩 맞춰지고 있다.

1부 ‘고대 불교사의 동향’에서는 이러한 고구려 불교의 흐름과 문화적 영향을 시작으로 백제의 불교 수용을 비롯해 한성·웅진·사비 시기의 불교와 사원, 신라의 불교 전래와 중고기의 시작, 불교와 토착신앙과의 관계, 계율의 시대에서 반야 지혜로 시대로 변모한 신라 중대의 전제왕권과 불교의 관계, 신라 하대 역사적 전환기의 사상으로 출발한 선종과 그에 대한 교종의 대응 등을 다뤘다.

2부 ‘고대의 불교 사상과 신앙’에서는 불교와 대립하던 토착종교가 불교에 수용되는 과정, 원효와 의상, 비의상계 화엄학의 동향, 모든 것이 마음에 의존한다는 동아시아 유식사상의 형성과 한국 유식사상과 전개, 교학불교의 사상적 한계를 타개하고자 수용된 선의 흐름과 선문의 형성, 미륵이 주재하는 도솔천과 아미타가 주재하는 극락으로 대표되는 정토신앙, 즉 미륵신앙과 아미타정토신앙의 확산과 불교의 대중화, 모든 중생의 구제를 특징으로 하는 관음신앙 전개와 신행을 기술했다.

3부 ‘고대 문화와 불교’에서는 고대 불상을 비롯해 석조미술(석탑, 승탑과 탑비,석등, 당간지주, 수조), 고대 사원 등을 풍부한 사진 자료와 배치도를 통해 설명하고, 계세적 내세관과 조상숭배가 내세관(윤회와 연화장 세계)의 도입으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살펴본다.

보론에서는 3부를 통해 미처 다루지 못한 고대 승관제도와 승정기구의 양상과 특징, 사리신앙의 기원과 삼국·통일신라·발해의 사리장엄 사례, 문두루법으로 알려진 밀교의 시기별 양상과 학승의 활동, 금관가야·대가야 및 기타 가야의 불교 수용을 사료 비판적 시각으로 다룬다. 마지막으로 고구려 불교를 계승한 발해 불교와 승려들의 활동, 불교 유적의 특징을 조명한다.

저자

불교사학회

엮음:불교사학회

목차

1부고대불교사의동향
1장고구려불교사의흐름과문화_조우연
2장백제불교사의흐름과영향_이장웅
3장신라중고기의불교와왕권_신선혜
4장신라중대불교의확산과기능_곽승훈
5장신라하대의사회변화와불교계의동향_김윤지

2부고대의불교사상과신앙
6장불교수용과토착종교_채미하
7장화엄사상의수용과전개_석길암
8장유식사상의수용과전개_이수미
9장선의수용과선문의형성_조명제
10장미륵신앙의수용과전개_정미숙
11장아미타정토신앙의확산과불교대중화_정미숙
12장관음신앙의수용과확산_배금란

3부고대문화와불교
13장고대의불상_서지민
14장석조미술_엄기표
15장고대인의생사관과불교_채미하
16장고고학으로본고대의불교사원_이병호

보론
1.고대승정의양상과특징_신선혜
2.사리신앙_주경미
3.밀교의수용과전개_김연민
4.가야불교를둘러싼논쟁_박미선
5.고구려불교를계승한발해불교_박미선

출판사 서평

44명의연구자가6년에걸쳐
62개주제로완성한
한국불교사개설서!

유교와함께한국의전통문화를대표하는불교를빼놓고는한국의역사와문화를설명할수없다.불교는다양한학문분야에서다루어지고있지만,아직까지도하나의학문으로온전히자리잡지는못했다.불교사는그중요성에비해여전히연구자들의관심밖에놓여있거나소외된연구영역으로남아있는것이다.
이런현실을직시하며불교사학회결성과,시대를아우르는개설서출간을고민해온신라대학교역사문화학과조명제교수는2019년불교사학회를결성했다.
불교사학회에서는고대,고려,조선·근대세권으로불교사개설서를만드는데에뜻을모으고,2023년11월『한국불교사:고려』를시작으로2024년6월『한국불교사:조선·근대』에이어2025년3월『한국불교사:고대』를출간하게되었다.44명에이르는각분야전문가들이6년에걸쳐완성한『한국불교사』가불교사학의발전에새로운출발점이되기를기대한다.

처음으로학계의역량을집약한한국불교통사완간!

『한국불교사:고대』는불교사학회(회장:조명제)에서기획한‘한국불교사개설서3부작’중마지막책이다.
통념과달리불교(Buddhism)는19세기에서구인의상상력에의해구축된개념이다.문헌학적근대학문으로구축되어아시아로전해진것이다.19세기동아시아에서는제국주의에대항하며국민국가형성이라는시대적과제를이루기위해근대문명을수용하면서문화·사상의전통을기반으로독자적인사상세계를구축했는데,그러한과정에서불교가새롭게주목을받았다.
이책은트렌드에따라사상사의흐름을도외시한기존연구의한계를극복하고,일국사의틀에서벗어나동아시아불교사의흐름을읽어내려는학제적경향을반영했다.‘시기별불교사의흐름과불교계의동향’,‘사상과문화’,‘사회와불교’등세가지주제로큰틀을잡고,나머지글을보론으로묶는체재를채택해,인물의사상체계를중심으로연구하는‘불교학’과는다른‘불교사학’의방향을제시하고자했다.

접근하기어려운불교사를
일반독자들도읽기쉽게기술한책!

불교사는한국사를전공하는이들에게필수적인분야이지만,본격적으로공부하기에는어려움이많다.무수한한자와생소한용어,복잡해보이는사상과계보,수많은인물등이큰벽으로작용한다.게다가각주제를대표하는전문가들이사료에입각해정확한정보를전달하는책을찾기도어려웠다.
『한국불교사』는논문식의복잡한형식을배제하고,주제별서술방식을택해전공자뿐아니라일반독자들도불교사에관심을가질수있도록구성했다.

삼국·통일신라·발해·가야의불교수용에서
고대불교사상및신앙의전개와문화적기여까지!

한국역사상불교를최초로수용한국가는고구려이다.그러나지리적·사료적한계와희소한유적·유물로고구려나발해불교의전개상을체계적으로정리하기가어려웠다.그럼에도학계의부단한연구와고고학적성과를통해고구려및발해불교사의퍼즐이조금씩맞춰지고있다.

1부‘고대불교사의동향’에서는이러한고구려불교의흐름과문화적영향을시작으로백제의불교수용을비롯해한성·웅진·사비시기의불교와사원,신라의불교전래와중고기의시작,불교와토착신앙과의관계,계율의시대에서반야지혜로시대로변모한신라중대의전제왕권과불교의관계,신라하대역사적전환기의사상으로출발한선종과그에대한교종의대응등을다뤘다.

2부‘고대의불교사상과신앙’에서는불교와대립하던토착종교가불교에수용되는과정,원효와의상,비의상계화엄학의동향,모든것이마음에의존한다는동아시아유식사상의형성과한국유식사상과전개,교학불교의사상적한계를타개하고자수용된선의흐름과선문의형성,미륵이주재하는도솔천과아미타가주재하는극락으로대표되는정토신앙,즉미륵신앙과아미타정토신앙의확산과불교의대중화,모든중생의구제를특징으로하는관음신앙전개와신행을기술했다.

3부‘고대문화와불교’에서는고대불상을비롯해석조미술(석탑,승탑과탑비,석등,당간지주,수조),고대사원등을풍부한사진자료와배치도를통해설명하고,계세적내세관과조상숭배가내세관(윤회와연화장세계)의도입으로어떻게변화되었는지를살펴본다.

보론에서는3부를통해미처다루지못한고대승관제도와승정기구의양상과특징,사리신앙의기원과삼국·통일신라·발해의사리장엄사례,문두루법으로알려진밀교의시기별양상과학승의활동,금관가야·대가야및기타가야의불교수용을사료비판적시각으로다룬다.마지막으로고구려불교를계승한발해불교와승려들의활동,불교유적의특징을조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