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타이완 침공 시나리오 - 타이완 해협을 둘러싼 미중 패권 경쟁

중국의 타이완 침공 시나리오 - 타이완 해협을 둘러싼 미중 패권 경쟁

$46.00
Description
“중국은 통일을 위해
타이완 공격을 감행할 것인가?“

“중국은 타이완 해협을 넘어
공격할 준비가 되어있는가?”

“중국은 어떤 상황에서
공격을 감행할 것인가?”
이 책은 이런 실제적인 문제에 대해 미국국방대학교 중국군사연구소(CSCMA), 랜드연구소(RAND Corporation), 중화민국고등정책연구협회(CAPS) 등, 미국과 타이완, 프랑스의 중국-타이완 문제 전문가들의 답이다.

오판하기 쉬운 중국인민해방군의 현재, 중국지도부의 계산, 중국의 타이완에 대한 다양한 군사작전 예상 시나리오와 타이완과 미국의 대응 전략을 중국인민해방군의 군사 데이터는 물론 역사적, 정치적, 지리적 배경을 비롯한 다양한 자료와 시각으로 분석했다. 부록으로 원서 출간 이후의 최신 관련 군사 자료를 추가하였다.

저자

조엘우드노,필립손더스외

저자:조엘우드노(JoelWuthnow)
미국국방대학교국가전략연구소(INSS)중국군사연구소(CSCMA)수석연구원이다.조지타운대학교왈시외교학교(EdmundA.WalshSchoolofForeignService)겸임교수,CNA(CenterforNavalAnalyses)중국분석원,프린스턴대학교에서중국및세계프로그램박사후연구원,브루킹스연구소(BrookingsInstitution)에서박사전연구원을역임했다.프린스턴대학교를공공사무/국제사무전공으로수석졸업하고옥스퍼드대학교에서현대중국학석사를,컬럼비아대학교에서정치학박사를취득했다.
저서:ChairmanXiRemakesthePLA:AssessingChineseMilitaryReforms(공편,2019),China’sOtherArmy:ThePeople’sArmedPoliceinanEraofReform(2019),SystemOverload:CanChina’sMilitaryBeDistractedinaWaroverTaiwan?(2020),PLABeyondBorders:ChineseMilitaryOperationsinRegionalandGlobalContext(공편,2021)외

저자:필립손더스(PhillipC.Saunders)
미국국방대학교중국군사연구소(CSCMA)소장,미국국방대학교국가전략연구소연구원이다.1999년부터2003년까지몬터레이국제문제연구소(MontereyInstituteofInternationalStudies)제임스마틴비확산연구센터(JamesMartinCenterforNonprolierationStudies)에서동아시아핵비확산프로그램주관했다,1989년부터1994년까지미국공군장교로근무했다.하버드칼리지를졸업,프린스턴대학교에서행정학석사및국제정치학박사를취득했다,중국의군사및안보이슈관련으로많은책을엮었다.
저서:TheParadoxofPower:Sino-AmericanStrategicRestraintinanEraofVulnerability(공저,2011)외

저자:앤드루스코벨(AndrewScobell)
미국평화연구소(UnitedStatesInstituteofPeace)중국분야연구원이다.미국랜드연구소수석연구원을역임했다.홍콩에서출생하여컬럼비아대학교에서정치학박사를취득했다.
저서:ChairmanXiRemakesthePLA:AssessingChineseMilitaryReforms(공저,2019),China’sGrandStrategy:Trends,Trajectories,Long-TermCompetition(공저,2020),CommandandControlinU.S.NavalCompetitionwithChina(공저,2020)외

저자:앤드루양(AndrewN.D.Yang,楊念祖)
중화민국고등정책연구협회(CAPS:ChineseCouncilofAdvancedPolicyStudies)이사장이다.타이완국방부부부장(차관)및장관을역임했다,타이완,미국,중국간의역동적인관계에대한연구에있어서국제적인권위자이다.CAPS는중화인민공화국의국내상황·국제정세의전략및안보측면,특히양안관계를기본적으로연구하고분석하고있다.1987년이후중국인민해방군에관한일련의국제회의를주관해왔으며,이를통해국방·안보관련학술분야에서국제적인명성과인정을받아왔다.

저자:조슈아아로스테기(JoshuaArostegui)
미국육군수석연구원으로10년동안중국의군사력을전문적으로분석했다.미국해군에서중국어통역관및암호전장교(cryptologicwarfareofficer)로서25년이상직무를수행했다.미국해병대지휘참모대학교를졸업하고살브레지나대학교에서국제관계학석사,네브래스카대학교에서역사학석사를취득했다,미국국방언어연구소(DefenseLanguageInstitute)초급및중급중국어과정수료하고,베이징경제관리직업대학교실용중국어프로그램이수했다.

저자:마이클케이시(MichaelCasey)
미국국방부분석원이다.인도-태평양지역,특히중국인민해방군의성장과진화,중국의타이완에대한위협증가에관한연구를수행하고있다.그의연구는중국인민해방군의새로운능력이어떻게그군사계획을형성하고있으며실제세계에서의전투에그러한능력이어떻게적용될수있을지에대해중점을두고있다.미시건대학교에서동아시아안보를전공졸업하고조지워싱턴대학교에서안보학석사를취득했다.

저자:제중(ChiehChung,揭仲)
타이완국가정책연구기금회(國家政策硏究基金會,NPF)연구원이다.1997년부터2015년까지타이완입법원의수석보좌진,2001년부터2015년까지의외교국방위원회등을중심으로활동했다.전문분야는중국인민해방군군사개혁,타이완의국방정책,타이완의남중국해정책및강압외교이다.

저자:마티유뒤샤텔(MathieuDuchatel)
프랑스몽테뉴연구소(InstitutMontaigne)아시아프로그램책임자이다.2015년부터2018년까지유럽대외관계위원회(EuropeanCouncilofForeignRelations)수석연구원및아시아·중국프로그램부책임자로,2011년부터2015년까지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tockholmInternationalPeaceResearchInstitute)수석연구원및베이징주재대표로,2004년부터2007년까지프랑스아시아센터타이베이주재연구원,2007년부터2011년까프랑스아시아센터연구원을역임했다.프랑스파리정치대학교에서정치학박사를취득했다,상하이의푸단대학교,타이완국립정치대학교,베이징에서9년동안근무했다.2011년부터2012년까지베이징대학교국제관계대학에서,2015년에는일본국제문제연구소,2020년에는타이완국방안전연구원(INDSR)에방문학자로있었다.

저자:알렉산더황(AlexanderChieh-chengHuang,黃介正)
타이완담강대학교국제관계·전략연구교수,타이완전략·워게임협회(CSWS)설립자이자회장이다.타이완대륙위원회부위원장을지냈다,미국조지타운대학교에서석사를,미국조지워싱턴대학교정치학과에서박사를취득했다.아시아및중국외교안보업무전문가로국제통신사및현지언론과많은인터뷰를했다.2011년부터타이완의《연합보(聯合報)》,《중국시보(中國時報)》등여러신문및온라인미디어에칼럼니스트로서기고해왔다.

저자:코너케네디(ConorKennedy)
미국해군전쟁대학교중국해양연구소(ChinaMaritimeStudiesInstitute)연구원이다.존스홉킨스대학교의존스홉킨스-난징대학교중국학·미국학연구소(JohnsHopkinsUniversity?NanjingUniversityCenterforChineseandAmericanStudies)에서석사를취득했다.해상민병대와수륙양용전투의발전을포함한중국해양사건및군사에중점을두고연구하고있다.

저자:로데릭리(RoderickLee)
미국공군대학교(AirUniversity)중국항공우주연구소(ChinaAerospaceStudiesInstitute)소장이다.중국의군사부문의우주항공력과민간부문의우주항공섹터및그것의군사분야와의관계에대한연구를주관하고있다.미국해군분석원으로서중국해군력을분석한바있다.조지워싱턴대학교엘리엇국제관계스쿨에서석사를취득했다.

저자:세일릴리(SaleLilly)
미국랜드연구소수석연구원으로중국군사,경제분석및워게임디자인을주로하고있다.미국해군장교와금융서비스회사의경영고문을역임했다,미국해군사관학교를경제학전공으로졸업하고옥스퍼드대학교에서중국학과경제사/사회사를복수전공석사를취득했다.

저자:드루톰슨(DrewThompson)
싱가포르국립대학교리콴유공공정책스쿨방문수석연구원,CNA수석연구원이다.2011년부터2018년까지국방부장관실중국?타이완?몽골지역책임자로있었다.CSIS(CenterforStrategicandInternationalStudies)와CNI(CenterfortheNationalInterest)에서재직한바가있다.호바트칼리지에서아시아학학사,존스홉킨스대학교의존스홉킨스-난징대학교중국학·미국학연구소에서석사를취득했다.

저자:데릭그로스먼(DerekGrossman)
미국랜드연구소수석연구원,남가주대학교겸임교수,퍼스USAsia센터(thePerthUSAsiaCentre)연구원이다.미시건대학교에서정치학/아시아학을전공하고조지타운대학교에서미국안보정책으로석사를취득했다.
저서:NorthKoreanDecisionmakingEconomicOpening,ConventionalDeterrenceBreakdown,andNuclearUse(공저,2020),TailoringDeterrenceforChinainSpace(공저,2021),SecurityCooperationinaStrategicCompetition(공저,2022)외

역자:이용빈
인도국방연구원(IDSA)객원연구원역임,미국하버드대학교HPAIR연례학술회의참석(안보분과),이스라엘크네세트(국회),미국국무부,미국해군사관학교,중국국민당초청방문,이스라엘히브리대학교,미국하와이대학교동서문제연구소(East-WestCenter),중국외교대학교,타이완국립정치대학교,홍콩중문대학교학술방문,홍콩국제문제연구소연구원
저서:EastbyMid-East(공저,2013)외
역서:『시진핑』(2011,2012년도아시아·태평양출판협회APPA출판상수상),『시리아』(2012),『중국근대해양방어사상사』(2013),『현대중국정치』(제3판,2013),『러시아의논리』(2013),『마오쩌둥과덩샤오핑의백년대계:중국군의핵·해양·우주전략을독해한다』(편역,2014),『이란과미국』(2014),『중국인민해방군의실력』(2015),『망국의일본안보정책』(2015),『현대중국의정치와관료제』(2016),『중국국경,격전의흔적을걷다』(2016),『이슬람의비극』(2017),『시진핑의중국』(2019),『푸틴과G8의종언』(2019),『미국의제재외교』(2021),『美中신냉전?:코로나19이후의국제관계』(2021),『현대중국의정치와외교』(2023),『벼랑끝에선타이완:미중경쟁과양안관계의국제정치』(공역,2023),『글로벌시대의미국』(2024)외

역자:이중구
한국국방연구원안보전략연구센터연구위원,(현)고려대학교정책대학원겸임교수,(전)미국국방대학교국가전략연구소방문학자,(전)서울대학교국제문제연구소선임연구원,(전)중국인민대학교국제관계학원방문학자
저서:『북한과국제정치』(공저,2018),『디지털안보의세계정치』(공저,2020),『린치핀코리아:한반도중심축국가건설로드맵』(공저,2020),『4차산업혁명과신흥군사안보』(공저,2020),『디지털안보의세계정치』(공저,2021),『12개렌즈로보는남북관계』(공저,2021)외
논문:?북한핵증강론의담론적기원과당론화과정?(2017),?중국의일본에대한적대적역사활용추이와강화요인:청일·중일전쟁을중심으로?(201

목차

서장해협을넘어서:중국인민해방군의현대화와타이완

제1부중국의의사결정계산
제1장중국의타이완정책의세가지논리:분석을위한틀
제2장중국의군사력사용에서관한계산:미래시나리오,비용,이익,리스크및목표

제2부타이완에대한중국인민해방군의작전과개념
제3장중국의타이완에대한무력압박선택지평가
제4장화력타격,봉쇄,상륙:양안충돌시중국인민해방군의군사작전
제5장도자기가게에서쥐잡기:타이완에대한군사작전에서중국인민해방군의시가전

제3부중국의군사력과군사개혁의영향
제6장군사개혁후중국인민해방군육군과해병대상륙부대
제7장타이완시나리오에서의중국인민해방군공수부대
제8장타이완도달까지:타이완침공시중국의군및민간해양수송
제9장타이완침공시중국인민해방군의보급및동원능력
제10장역할과분담:타이완시나리오에서의중국의지휘와통제

제4부타이완의방어능력강화
제11장타이완의정체방어구상에대한실체평가
제12장승리를위해:패배가용납되지않는타이완

부록

출판사 서평

심화하는중국-타이완문제
미국과중국(중국인민공화국)의전략적경쟁이심화되고있는기류속에서,타이완(중화민국)은두강대국간의전면전을촉발할수있는가장큰잠재적문제로떠오르고있다.중국은미군의군사적개입을상정한무력통일능력을확대하고있으며이문제는갈수록군사적문제화하고있다.특히타이완의민주화이후중국-타이완갈등은더욱복잡해지고있다.

변화하는군사균형
타이완은섬이라는지리적특성과미국의지지아래중국에대해기술적우위를누려왔지만,이제는열세에놓여있다.중국은1995~1996년의타이완해협위기이후타이완과의분쟁에는미국의개입이상수임을상정하고있으며,중국인민해방군의개혁및신속한현대화를통해군사력의비약적인발전을이루었다.랜드연구소는타이완위기와같은상황에서미국이중국에게1996년에는상당한우위를점했지만2017년에는3개범주에서만미국의확실한우위를점하고2개범주에서는중국이우위를점할것이라예측했다.

중국공산당과중국의민족주의자들에게타이완은단순한영토의문제가아니라‘주권과영토의온전성’과‘중국공산당의국민당에대한최종승리’라는목표와직결된사항이다.이를뒷받침하듯이중국공산당지도자들은필요할경우비평화적수단의사용을용인하는반국가분열법등으로타이완을위해서는무력도사용할수있다는의지를거듭드러내왔다.덧붙여중국은2017년2049년을목표로하는‘중화민족의위대한부흥’에타이완과의통일을연계시켜암묵적인데드라인을설정했다.

중국과중국인민해방군을심층분석
이책은미국국방대학교(NDU:NationalDefenseUniversity)의중국군사연구소(CSCMA:CenterfortheStudyofChineseMilitaryAffairs),랜드연구소(RANDCorporation),중화민국고등정책연구협회(CAPS:ChineseCouncilofAdvancedPolicyStudies)가해온연례국제학술회의에토대를둔중국의군사적위협에대한연구서이자공식적인최신분석으로,중국의의사결정계산,중국의군사능력및작전,타이완과미국의잠재적인정책대응이라는세가지주제를바탕으로,광범위한중국인민해방군내부문서에입각하여미국과타이완,프랑스의학자들과학계,싱크탱크전문가,정부기관분석가등의다양한관점의최신분석을담고있다.

단순히하드웨어차원을넘어중국의중국인민해방군의조직개혁이타이완및미국과대면하는작전수행능력에어떤영향을미칠지고찰하고,아울러중국인민해방군의시가전,병참및공수능력등과같이일부과소평가되었던영역을깊게파고들어가고있다.나아가중국의의사결정계산과군사력사용을위한선택지,중국인민해방군의전투수행능력,그리고타이완이자신의방어체제를강화하기위해무엇을할수있는지에초점을맞추면서중국과타이완관계의정치적·군사적맥락에대한구체적인분석을제공하고있다.

이책의저자들은중국인민해방군이타이완해협을넘으면벌어질충돌에대한준비에중대한진전을이룩했지만,어떤영역에서는지속적인도전과취약성에직면하고있다고결론내리고있다.또타이완과미국이타이완의방어체제를개선하고아울러타이완해협일대의안정을높이기위해어떻게서로협력할수있는지에대해일련의제안을제시한다.중국,타이완,인도·태평양지역에관심을두고있는학생들및정책실무자들에게일독을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