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몽된 상식 : 비판적 실재론의 철학 (양장)

계몽된 상식 : 비판적 실재론의 철학 (양장)

$50.90
Description
비판적 실재론을 창시한 로이 바스카의 유고집
비판적 실재론의 정의와 인간과학들에서의 응용으로부터
변증법적 비판적 실재론 및 메타실재의 철학에 대한
설명에 이르기까지
1970년대 이래 비판적 실재론은 경제학, 철학, 과학, 종교를 포함한 광범위한 주제들을 다루며 발전해 왔고, 이제는 복잡하고 성숙한 철학이 되었다. 『계몽된 상식: 비판적 실재론의 철학』은 이러한 발전을 간결하고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고 있다. 2014년 작고한 로이 바스카는 비판적 실재론 철학의 창시자이자 대표자였다. 이 책에서 그는 평생의 경험을 바탕으로 영향력을 증대하고 있는 국제적이고 학제적인 접근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있다.

비판적 실재론의 핵심 요소는 존재론의 옹호와 존재론에 대한 이해의 심화에 있다. 지식과 실천에서 실재론적 존재론은 불가결하다고 주장하며 바스카는 이것을 새로운 계몽된 상식의 핵심으로 생각한다. 비판적 실재론의 정의와 인간과학들에서의 응용으로부터 변증법적 비판적 실재론 및 메타실재의 철학에 대한 설명에 이르기까지, 이 책은 비판적 실재론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필수적인 입문서이다.

“이 책은 이해하기 쉽고 명료하며 일관성 있는 설명을 제공함으로써
심오함을 희생하지 않으면서도 높은 수준의 명료성과 통찰성을 성취하고 있다”

바스카가 선도한 비판적 실재론 철학의 기획은 이론적/실천적 통찰의 과정을 거치며 대체로 다음의 다섯 국면으로 발전했다. 자연과학의 존재론과 인식론을 다루는 초월적 실재론(Transcendental Realism), 사회과학의 존재론과 방법론을 탐구하는 비판적 자연주의(Critical Naturalism), 헤겔과 마르크스의 변증법을 재평가하며 ‘실재하는 부재’를 포착하고 ‘부재화’의 개념을 매개로 과학이 해방의 실천윤리와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고찰하는 변증법(Dialectic), 비이원성의 관점에서 경험적인 세계 너머에 있는 실재를 탐구하며, 궁극적으로 인간과 세계의 초월적이고 영성적인 측면을 통합하려는 메타실재(MetaReality)의 국면들, 그리고 이 국면들의 통찰을 기초로 복잡하고 층화된 실재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학제성(Interdisciplinarity)의 추구가 그것들이다. 국면들 사이에 ‘변증법적 전환(dialectic turn)’과 ‘영성적 전환(spiritual turn)’이 있다고 분석되지만, 그리고 학제성의 추구에 대해서는 바스카 자신이 ‘구체적 전환(concrete turn)’이라고 부르지만, 국면들은 단절되는 것이 아니라 앞의 국면이 뒤따르는 국면의 기반이 되며 인간 해방의 주제가 전체를 일관하고 있다.

이 책 『계몽된 상식』은 이 다섯 국면들을 포괄적으로 정리하고 있어서 바스카의 철학 체계 전반을 이해하는 데 그 어느 책보다도 적합할 것이다. 2014년에 작고한 바스카의 유고를 정리한 이 책은 비판적 실재론에 대해, 편집자인 하트윅이 해설하듯, ‘이해하기 쉽고 명료하며 일관성 있는 설명을 제공함으로써 심오함을 희생하지 않으면서도 높은 수준의 명료성과 통찰성을 성취하고 있다’. 그동안 바스카가 전개한 논의들은 방대할 뿐 아니라 난해하다는 평판이 있을 만큼 복잡하고 접근하기가 쉽지는 않았다. 그러나 이 책은 그런 비난에서 자유로울 것이라고 확신한다.

이 책의 출간을 기념해 공역자들이 참여하고 경상국립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이 주최하는 ‘2024년 경상국립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학술 심포지엄’이 2024년 12월 30일에 경상국립대학교 사회과학관 글로벌룸에서 개최된다. 심포지엄의 주제는 ‘비판적 실재론과 계몽된 상식 - 학제간 지평’이다.


바스카 철학 전체를 한 권에 담다
“지식과 실천에서 실재론적 존재론은 불가결하다”
“세계 자체(존재의 영역)를 인간의 경험(인식의 영역)으로 대체하거나 환원할 수 없다”

비판적 실재론은 이제 철학, 인문학, 사회과학을 혁신하는 다학문적이고 국제적인 흐름으로 자리 잡았지만, 한국의 학계에서는 여전히 낯설 뿐만 아니라 부재하는 철학적 기획이다. 세계 자체(존재의 영역)를 인간의 경험(인식의 영역)으로 대체하거나 환원할 수 없다는 단순한 또는 ‘계몽된’ 진실에서 출발하는 비판적 실재론은 그것에 의해 논의의 중심을 인간으로부터 세계로, 즉 인식론으로부터 존재론으로 전환한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으로 볼 수 있다. 물론 철학에서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은 이미 칸트가, 인간의 정신이 단순히 외부 세계를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인식 주체로서 인간이 인식의 틀을 능동적으로 구성하여 적용함으로써 무질서한 감각 자료를 이해 가능한 경험으로 조직한다고 파악함으로써 수행했다. 하지만 그 이후 철학은 인식론으로 존재론을 대체함으로써 사실상 인류를 세계의 중심에 놓는 인류중심주의의 오류에 빠졌다. 이것을 지적하면서 바스카는 비판적 실재론의 전개를 ‘반(反)코페르니쿠스 혁명’으로 불렀다.

저자

로이바스카

저자:로이바스카
비판적실재론철학의창시자이며호평받고영향력있는다수저서를펴낸대표자이다.그의저작은『실재론적과학론(ARealistTheoryofScience)』,『자연주의의가능성(ThePossibilityofNaturalism)』,『과학적실재론과인간해방(ScientificRealismandHumanEmancipation)』,『변증법:자유의맥박(Dialectic:ThePulseofFreedom)』,『플라톤등(PlatoEtc.)』,『메타실재에대한고찰(ReflectionsonMetaReality)』,『과학에서해방으로(FromSciencetoEmancipation)』그리고(머빈하트윅과함께저술한)『비판적실재론의형성(TheFormationofCriticalRealism)』등이있다.그는『비판적실재론:핵심적읽을거리(CriticalRealism:EssentialReadings)』,『학제성과기후변화(InterdisciplinarityandClimateChange)』,『위기의세계에서생태철학(EcophilosophyinaWorldofCrisis)』의편집자이자주요필자이다.그는비판적실재론연구중심(CenterforCriticalRealism)의창립의장이었다.그는또한런던대학교교육연구소의비판적실재론국제연구중심(InternationalCentreofCriticalRealismattheUniversityofLondonInstituteofEducation)의소장이자세계학자(WorldScholar)였다.

엮음:머빈하트윅
≪비판적실재론학술지(JournalofCriticalRealism)≫의창립편집자이며,『비판적실재론사전(DictionaryofCriticalRealism)』의편집자이자주요저자이다.

역자:김명희
경상국립대학교사회학과교수.『통합적인간과학의가능성:맑스와뒤르케임의실재론적귀환』,『세월호이후의사회과학』(공저)등의저서와「뒤르케임의사회과학철학:반환원주의적통섭의가능성」,「과학의유기적연대는어떻게가능한가:과학과도덕의재통합」등의논문을발표했다.

역자:서덕희
조선대학교교육학과교수.『홈스쿨링을만나다』,『다문화사회와교육』,『내안의디아스포라』등의저서와「교육인류학의미래를위한철학적토대로서바스카의비판적실재론」,「“이게학교야?”:코로나팬데믹상황,온라인학교체험을통해본학교의의미」등의논문을발표했다.

역자:서민규
건양대학교인문융합학부교수.『마우리치오페라리스』,RealityandSelf-Realisation,CriticalRealismandSpirituality등의저서와「‘인간다움’에대한반인간주의적접근-포스트휴먼시대의실재론」,「반인간주의실재론의가능성:로이바스카의메타실재」등의논문을발표했다.

역자:이기홍
1992년부터강원대학교사회학과교수로근무하고있다.서울대학교사회학과에서공부했다.사회과학철학,사회과학방법론,사회이론을전공한다.“사회과학에서법칙과설명”(2016),“양적방법의지배와그결과:식민지근대화론의방법론적검토”(2016),“사회과학에서가치와객관성”(2015),“한국사회학에서마르크스와과학적방법”(2013),“양-질구분을다시생각한다”(2012),“양적방법의사회학”(2010),“과학과정치또는과학의정치화”(2008),“설명적사회학과글쓰기”(2006),“추상화-비판적실재론의해석”(2003),“사회현실과사회이론”(2003),“사회구조는무엇을가리키는가”(2002),“실재론적과학관과사회과학의연구방법”(1998),“행위,행위주체그리고구조”(1994),“철학의빈곤,과학의빈곤”(1988)등의논문을발표했다.번역서로『사회연구의방법론』(2015),『사회과학의철학』(2014),『비판적실재론:로이바스카의과학철학』(2010),『비판적실재론과해방의사회과학』(2007),『비판적자연주의와사회과학』(2005),『초월적실재론과과학』(2005),『새로운사회과학방법론:비판적실재론의접근』(2005),『사회연구의철학』(2000),『사회과학방법론:실재론적접근』(1999),『과학으로서의사회이론』(1997),『새로운사회과학철학』(1995),『마르크스의방법론』(1989,까치)등이있다.저서는『사회과학의철학적기초』(2015)가있다.

목차

약어
편집자서문
감사의말씀

제1장예측하는사람들과만나다
애널리스트들은왜존재하는가?│애널리스트와내러티브경제

Chapter1비판적실재론철학의전제가정들과기원들
1.1철학에대한비판적실재론접근의두드러진특징│1.2비판적실재론철학의기원,발전,차이그리고책의구성│1.3존재론의옹호가사회이론에대해갖는중요성│1.4앞으로나올주장을미리제시한다

Chapter2초월적실재론과과학철학
2.1이중의논증:존재론의옹호그리고새로운존재론의옹호│2.2존재론을옹호하는논증의함의│2.3새로운존재론을옹호하는논증의함의│2.4초월적실재론의결과를추적한다│2.5실재적인것의영역과현실적인것의영역사이의분리에관한주석│2.6초월적실재론을옹호하는논증을심화한다│2.7현실주의의난제들│2.8초월적실재론의내재적맥락과초월적필연성│2.9비판적실재론안에서존재론의추가발전│2.10비실재론적대안들과인류중심성에대한비판

Chapter3비판적자연주의와사회과학철학
3.1방법론적예비│3.2초월적실재론,사회과학철학과자연주의의문제│3.3거시이원론의초월과사회이론비판│3.4미시이원론의초월:의도적인과성과인간행위성의형성│3.6(주체적)행위와현실주의

Chapter4응용된비판적실재론과학제성
4.1일반적인응용된비판적실재론│4.2학제적연구│4.3응용된비판적실재론연구에서비판적실재론의추가적발전을활용하기

Chapter5윤리와언어:설명적비판과비판적담론분석
5.1설명적비판과윤리│5.2비판적담론분석과언어

Chapter6비판적실재론의전개I:변증법적비판적실재론
6.1존재론의발전│6.2부재와변화│6.3변증법과2E일반│6.41M비동일성│6.53L총체성│6.64D변형적실천│6.7자유의변증법│6.8변증법적비판적실재론의변증법적제시

Chapter7비판적실재론의전개II:메타실재의철학
7.1초월적변증법적비판적실재론과메타실재의철학:‘영성적전환’의두가지국면│7.2동일성과통일성의우위│7.3메타실재에대한기본적인논증│7.4메타실재의원리│7.5자유의논리의확장│7.6창의성,배움과교육,그리고담론적지성에대한비판│7.7사랑의순환│7.8영성│7.9평화와갈등해결

Chapter8근대성의철학적담론과서구철학적전통에대한비판
8.1근대성의철학적담론비판│8.2서구철학전통비판│8.3그래서어쩌다가이렇게되었는가?

Chapter9비판적실재론과좋은사회의존재론
9.1비판적실재론의변증법적발전과지식의아치전통의붕괴│9.2비판적실재론과좋은사회의존재론│9.3비판적실재론의장점

참고문헌
찾아보기
옮긴이의말

출판사 서평

비판적실재론을창시한로이바스카의유고집
비판적실재론의정의와인간과학들에서의응용으로부터
변증법적비판적실재론및메타실재의철학에대한
설명에이르기까지

1970년대이래비판적실재론은경제학,철학,과학,종교를포함한광범위한주제들을다루며발전해왔고,이제는복잡하고성숙한철학이되었다.『계몽된상식:비판적실재론의철학』은이러한발전을간결하고이해하기쉽게정리하고있다.2014년작고한로이바스카는비판적실재론철학의창시자이자대표자였다.이책에서그는평생의경험을바탕으로영향력을증대하고있는국제적이고학제적인접근을체계적으로정리하고있다.

비판적실재론의핵심요소는존재론의옹호와존재론에대한이해의심화에있다.지식과실천에서실재론적존재론은불가결하다고주장하며바스카는이것을새로운계몽된상식의핵심으로생각한다.비판적실재론의정의와인간과학들에서의응용으로부터변증법적비판적실재론및메타실재의철학에대한설명에이르기까지,이책은비판적실재론을공부하는사람들에게필수적인입문서이다.

“이책은이해하기쉽고명료하며일관성있는설명을제공함으로써심오함을희생하지않으면서도높은수준의명료성과통찰성을성취하고있다”

바스카가선도한비판적실재론철학의기획은이론적/실천적통찰의과정을거치며대체로다음의다섯국면으로발전했다.자연과학의존재론과인식론을다루는초월적실재론(TranscendentalRealism),사회과학의존재론과방법론을탐구하는비판적자연주의(CriticalNaturalism),헤겔과마르크스의변증법을재평가하며‘실재하는부재’를포착하고‘부재화’의개념을매개로과학이해방의실천윤리와어떻게관련되는지를고찰하는변증법(Dialectic),비이원성의관점에서경험적인세계너머에있는실재를탐구하며,궁극적으로인간과세계의초월적이고영성적인측면을통합하려는메타실재(MetaReality)의국면들,그리고이국면들의통찰을기초로복잡하고층화된실재를이해하기위해필요한학제성(Interdisciplinarity)의추구가그것들이다.국면들사이에‘변증법적전환(dialecticturn)’과‘영성적전환(spiritualturn)’이있다고분석되지만,그리고학제성의추구에대해서는바스카자신이‘구체적전환(concreteturn)’이라고부르지만,국면들은단절되는것이아니라앞의국면이뒤따르는국면의기반이되며인간해방의주제가전체를일관하고있다.

이책『계몽된상식』은이다섯국면들을포괄적으로정리하고있어서바스카의철학체계전반을이해하는데그어느책보다도적합할것이다.2014년에작고한바스카의유고를정리한이책은비판적실재론에대해,편집자인하트윅이해설하듯,‘이해하기쉽고명료하며일관성있는설명을제공함으로써심오함을희생하지않으면서도높은수준의명료성과통찰성을성취하고있다’.그동안바스카가전개한논의들은방대할뿐아니라난해하다는평판이있을만큼복잡하고접근하기가쉽지는않았다.그러나이책은그런비난에서자유로울것이라고확신한다.

이책의출간을기념해공역자들이참여하고경상국립대학교사회과학연구원이주최하는‘2024년경상국립대학교사회과학연구원학술심포지엄’이2024년12월30일에경상국립대학교사회과학관글로벌룸에서개최된다.심포지엄의주제는‘비판적실재론과계몽된상식-학제간지평’이다.

바스카철학전체를한권에담다“지식과실천에서실재론적존재론은불가결하다”“세계자체(존재의영역)를인간의경험(인식의영역)으로대체하거나환원할수없다”

비판적실재론은이제철학,인문학,사회과학을혁신하는다학문적이고국제적인흐름으로자리잡았지만,한국의학계에서는여전히낯설뿐만아니라부재하는철학적기획이다.세계자체(존재의영역)를인간의경험(인식의영역)으로대체하거나환원할수없다는단순한또는‘계몽된’진실에서출발하는비판적실재론은그것에의해논의의중심을인간으로부터세계로,즉인식론으로부터존재론으로전환한‘코페르니쿠스적혁명’으로볼수있다.물론철학에서코페르니쿠스적혁명은이미칸트가,인간의정신이단순히외부세계를수용하는것이아니라,인식주체로서인간이인식의틀을능동적으로구성하여적용함으로써무질서한감각자료를이해가능한경험으로조직한다고파악함으로써수행했다.하지만그이후철학은인식론으로존재론을대체함으로써사실상인류를세계의중심에놓는인류중심주의의오류에빠졌다.이것을지적하면서바스카는비판적실재론의전개를‘반(反)코페르니쿠스혁명’으로불렀다.

주요내용

1장은철학에대한비판적실재론적접근의몇가지독특한특징들을소개하는것으로시작한다.이어서비판적실재론철학의기원들을서술하고이책의구성이비판적실재론의후속발전에어떻게관련되는지설명한다.이절에서는또한상대적으로새로운것인비판적실재론의철학을그렇지않은그철학의실천과구별하고,그철학을몇몇같은이름의것들과구별한다.그런다음과학철학에서존재론적전환이사회학과사회이론에미치는영향의일부를간략하게살펴보고,마지막으로,이책에등장하는주장을주제별로그리고개괄적으로살펴본다.

2장은과학철학의영역에위치하며초월적실재론에대한간단한해설을제공하는것으로시작한다.2장은과학에대한비판적실재론적해명에서기본이되는기본적인존재론과인식론을명확히한다.이것의몇가지함의들을탐구하고경험주의적·신칸트주의적및초관념론적과학철학들의약점을입증하고,그것들이만들어내는(귀납의문제등과같은)난제들(aporias)에대한해결을개략적으로살펴본다.

3장은사회과학과자연과학사이의차이에대한고려로이동한다.인식론적·존재론적·관계적차이가나타난다.이장은또한2장에서확립한경험주의와신칸트주의(그리고과학에대한초관념론적이론들)에대한비판을해석학적·사회구성주의적(그리고후기구조주의적)사회과학철학으로확장한다.

4장에서관심은구체적인것의논리(thelogicoftheconcrete)로옮겨간다.이장은비판적실재론이전형적인연구기획역량을강화하고촉진할수있는방식을서술하고또한이방식이그것의탐구에서비판적실재론이제공하는자원을어떻게활용할수있는지보여주는것으로마친다.

5장은담론의비판성이어떻게모든사실적담론의평가적함의에대한기본논증을확립하는지를개관한다.이장에서는사회적삶의핵심적조건으로서언어의,즉인과적으로조건을부과하고인과적으로효력있는것으로서그리고사회적실재의언어를넘어서는(extra-linguistic)특징들―권력관계및자원의분배와같이모두가사회과학적분석의불가결한도구로서비판적담론분석에기초를제공하는―에대한진단적단서로서언어의성질을탐구한다.

이책을처음읽을때6~8장은원칙적으로건너뛸수있다.이장들은이책의앞부분에서개관한기본적비판적실재론과구별되는변증법적비판적실재론및메타실재의철학의주제들을전개한다.6장은부재에대한분석그리고파르메니데스(Parmenides)시대(기원전515~460년경)이래서구철학전통의특징인존재론적일가성(ontologicalmonovalence)에대한비판으로시작한다.

7장은성찰성과내면성의다섯번째수준에대한(그리고초월적변증법적비판적실재론을통한메타실재의철학으로의전환에대한)간략한논의로시작한다.그런다음재-마법화의여섯번째수준을논의하고,메타실재의철학을소개한다.

8장은근대성에대한철학적담론의5국면들을통한발전,즉고전적근대성담론,고도근대주의,근대화이론,탈근대주의,부르주아적승리주의를개관한다.그런다음이장은원자론적소유적개인주의(atomisticpossessiveindividualism)및물상화된추상적보편성의문제틀(problematic)이어떻게과학및사회과학에대한,우리가비판해오고있는,특징적인이론들을탄생시켰는지를제시한다.

9장에서는사회과학에필요한존재론의추가적인특징들을전개한다.이장에서는사회이론및철학이론에서의현대적흐름의일부,특히대륙철학의새로운사변적실재론자들과분석적과학철학의분석적인과적힘또는성향적실재론자들을비판적으로살펴본다.그런다음책의주요주제들을요약하고비판적실재론의장점들을간략하게개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