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지식의 구조화’를 위하여
지식은 구조화를 거쳐 자원으로 거듭난다.
지식은 구조화를 거쳐 자원으로 거듭난다.
도서관, 박물관, 기록관은 역사적 또는 문화적 자료를 수집, 보존, 공개, 활용하는 점에서 많은 공통점이 있음에도, 여러 측면에서 단절되어 있었다. 하지만 디지털 시대가 열리며 새로운 지식과 문화가 형성되고, 그 흐름 속에서 이들에게 새로운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정보의 처리 및 축적능력의 확대로 방대하고 복잡 다양해진 정보 중에서 개인정보와 같은 보호할 정보와 공공이익을 위해 공개할 정보를 관리에는 고도의 능력과 식견이 필요하다.
이 책은 일본과 여러 나라의 도서관, 박물관, 기록관의 현황과 제도를 비롯하여 고구려 고분벽화 기록의 재정리 등 다양한 실제 예시를 들어가며 기록관과 도서관, 박물관의 유기적인 연계와 협력의 실례와 실무, 그 효용성과 잠재성을 설명한다. 또한 앞으로의 비전과 그를 위한 인재양성과 교육에 대해서도 논한다. 도서관, 박물관, 기록관 관계자 외에도 역사, 기록, 전시 등에 관심 있는 독자에게도 권할 만한 책이다.
□ 라키비움이란 무엇인가?
2008년 텍사스대학의 메건 윈젯 교수가 라이브러리, 아카이브, 뮤지엄을 합친 ‘라키비움’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라키비움은 이 책에 등장하는 MLA(Museum, Library, Archives)에 상응하는 용어로 다양한 매체의 정보자원을 집약적으로 사용하여 종합적으로 서비스하는 기관을 지칭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장소나 시설을 뜻하는 복합문화기관으로서의 개념으로 더 많이 사용되고 있는 듯하다. 다른 기능을 가진 시설을 단순히 같은 곳, 같은 건물에 물리적으로 위치시킨다고 융·복합화가 완성되는 것은 아니다. 각 시설이 가진 인력과 서비스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통합적으로 운영할 때 융·복합 또는 통합의 진정한 의미가 있는 것이다.
□ 디지털 시대가 요구하는 도서관, 박물관, 기록관의 새로운 모습
인쇄자료나 기록물, 유형·무형의 박물, 유물 등 다양한 지식정보자원의 디지털화 추세에 따라 도서관, 박물관, 기록관 간의 특색과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지금까지 이러한 기관은 도서, 사물, 미술품, 문서를 ‘자료’로 수집하고 조직화하여 공개이용의 기회를 제공해왔다. 그러나 최근 디지털 정보가 공통의 ‘자료’로 취급되기 시작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혹은 지식 데이터베이스로서 동일한 지식기반 속에서 인식되고 있다.
□ 지식의 구조화와 지식자원으로서의 재탄생
2004년 캐나다는 국가차원의 도서관과 기록관을 통합했고, 국제도서관협회연맹 등 국제기구에서도 도서관, 박물관, 기록관의 통합 또는 협력을 논의하기 시작한 지 오래다. 상호관련성이 높은 자료가 각지의 ‘기관’에 분산 소장된 경우, 자료의 소장위치를 한 곳에 모으는 것은 쉽지 않으나, 각 ‘기관’에서 구축한 디지털 아카이브의 연계를 통해 관련 자료에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도서관이 취급하는 문헌자료, 박물관이 취급하는 사물로서의 자료, 필름 아카이브 등이 취급하는 영상자료는 형태와 보존방법에 큰 차이가 있지만, 디지털 문화자료로서 통합 아카이브 구축을 구상할 수 있다. 디지털 기술은 지금까지 독자적으로 운영되어온 여러 ‘기관’을 하나로 묶고 연계시키는 큰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 연계와 협력을 위하여
이 책은 이러한 잠재력을 구현시켜 구체적인 연계를 위한 출발점으로 삼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성은 총론인 서장에 이어 크게 세 부분으로 이뤄져 있다. 제1부에서는 도서관, 박물관, 기록관의 현장을 역사적으로 개관하고 MLA 연계를 위해 각 ‘기관’의 과제를 규명했다. 제2부에서는 역사학, 정보학, 문헌정보학, 문화자원학 등 서로 다른 분야에서 역사자료의 디지털화와 MLA 연계에 관한 구체적인 사례를 소개했다. 제3부에서는 제1부와 제2부의 연구를 기반으로 MLA 연계를 위한 과제를 제언했다.
이 책은 일본과 여러 나라의 도서관, 박물관, 기록관의 현황과 제도를 비롯하여 고구려 고분벽화 기록의 재정리 등 다양한 실제 예시를 들어가며 기록관과 도서관, 박물관의 유기적인 연계와 협력의 실례와 실무, 그 효용성과 잠재성을 설명한다. 또한 앞으로의 비전과 그를 위한 인재양성과 교육에 대해서도 논한다. 도서관, 박물관, 기록관 관계자 외에도 역사, 기록, 전시 등에 관심 있는 독자에게도 권할 만한 책이다.
□ 라키비움이란 무엇인가?
2008년 텍사스대학의 메건 윈젯 교수가 라이브러리, 아카이브, 뮤지엄을 합친 ‘라키비움’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라키비움은 이 책에 등장하는 MLA(Museum, Library, Archives)에 상응하는 용어로 다양한 매체의 정보자원을 집약적으로 사용하여 종합적으로 서비스하는 기관을 지칭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장소나 시설을 뜻하는 복합문화기관으로서의 개념으로 더 많이 사용되고 있는 듯하다. 다른 기능을 가진 시설을 단순히 같은 곳, 같은 건물에 물리적으로 위치시킨다고 융·복합화가 완성되는 것은 아니다. 각 시설이 가진 인력과 서비스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통합적으로 운영할 때 융·복합 또는 통합의 진정한 의미가 있는 것이다.
□ 디지털 시대가 요구하는 도서관, 박물관, 기록관의 새로운 모습
인쇄자료나 기록물, 유형·무형의 박물, 유물 등 다양한 지식정보자원의 디지털화 추세에 따라 도서관, 박물관, 기록관 간의 특색과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지금까지 이러한 기관은 도서, 사물, 미술품, 문서를 ‘자료’로 수집하고 조직화하여 공개이용의 기회를 제공해왔다. 그러나 최근 디지털 정보가 공통의 ‘자료’로 취급되기 시작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혹은 지식 데이터베이스로서 동일한 지식기반 속에서 인식되고 있다.
□ 지식의 구조화와 지식자원으로서의 재탄생
2004년 캐나다는 국가차원의 도서관과 기록관을 통합했고, 국제도서관협회연맹 등 국제기구에서도 도서관, 박물관, 기록관의 통합 또는 협력을 논의하기 시작한 지 오래다. 상호관련성이 높은 자료가 각지의 ‘기관’에 분산 소장된 경우, 자료의 소장위치를 한 곳에 모으는 것은 쉽지 않으나, 각 ‘기관’에서 구축한 디지털 아카이브의 연계를 통해 관련 자료에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도서관이 취급하는 문헌자료, 박물관이 취급하는 사물로서의 자료, 필름 아카이브 등이 취급하는 영상자료는 형태와 보존방법에 큰 차이가 있지만, 디지털 문화자료로서 통합 아카이브 구축을 구상할 수 있다. 디지털 기술은 지금까지 독자적으로 운영되어온 여러 ‘기관’을 하나로 묶고 연계시키는 큰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 연계와 협력을 위하여
이 책은 이러한 잠재력을 구현시켜 구체적인 연계를 위한 출발점으로 삼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성은 총론인 서장에 이어 크게 세 부분으로 이뤄져 있다. 제1부에서는 도서관, 박물관, 기록관의 현장을 역사적으로 개관하고 MLA 연계를 위해 각 ‘기관’의 과제를 규명했다. 제2부에서는 역사학, 정보학, 문헌정보학, 문화자원학 등 서로 다른 분야에서 역사자료의 디지털화와 MLA 연계에 관한 구체적인 사례를 소개했다. 제3부에서는 제1부와 제2부의 연구를 기반으로 MLA 연계를 위한 과제를 제언했다.
도서관, 박물관, 기록관의 연계·협력 : 라키비움과 지식기반 만들기
$3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