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를 넘는 한인들 : 이주, 젠더, 세대와 귀속의 정치
저자

니콜컨스터블,황정미,유리둘란,김민정,문경희,이지영,김현희,송지은레지나,

미국피츠버그대학교인류학과교수

목차

제1부이주와젠더,이동성과취약성
제1장이주시대의젠더와세대문제_니콜컨스터블(NicoleConstable)
제2장개발시대의해외이주와젠더:‘국위선양’에가려진여성의해외이주다시보기_황정미
제3장태평양을횡단한기지촌:한국여성과미군기지,그리고미국내군대매매춘_유리둘란(YuriW.Doolan)

제2부재외한인의젠더와귀속의정치
제4장‘조국’에대한공헌과‘재외한인’으로의인정:미군의아내와파독간호여성의사례_김민정
제5장호주한인‘1세대’여성의이민과정과삶의경험에대하여_문경희
제6장귀속의정치와재일한인여성의국적문제_이지영
제7장세월호광고캠페인과‘엄마들’의서사:트랜스보더시민활동과한인디아스포라의재구성_김현희

제3부이동과귀환,확장과연대
제8장양날의검:한국으로귀환이주하는한국계미국인들을통해본젠더와상호교차성_송지은레지나(JeeEunReginaSong)
제9장베를린에있는‘타자’:재독한인과다인종성,젠더,그리고디아스포라_헬렌킴(HelenKim)
제10장‘다른곳’에있기:‘조용한’이주로서초국적한인입양에관하여_라이언구스타프손(RyanS.Gustafsson)
제11장우린여기에있을자격이있다:덴마크초국적한인입양인의입양비판_구영은(YoungeunKoo)

출판사 서평

“재외한인”은하나의이미지로재현될수없다

이책은대한민국정부수립이후해외로나간한(국)인들의다양성에주목하면서그역사적배경과사회문화적힘,그리고개인들의이주경험에대해질문한다.다양성에대한인식은,재외한인의상위범주인‘한(국)인’이동질적인하나의집단을지시하지않는다는점을전제로한다.남한사람,북한사람,탈북자,귀화한국인,한인디아스포라,재외한인,한인입양인,한국계혼혈인,귀환이주한인등,다양한이주배경과역사를가진사람들을포괄하는의미로한(국)인의개념이확장되고유연하게적용될때한(국)인내부의다양성에대한논의공간은마련될수있다.

‘한(국)인다움’의수행이나귀속정치의맥락에서젠더는중요하게작용하며세대의차이와결합하여효과를발휘한다.이주의후속세대들이거주국과한인공동체에소속되는맥락과귀속감은1세대들의경우와다르며,국가간위계의변화와함께발생하는세대간경험의차이는국내외의한(국)인들사이에서새로운역학관계를만들어낸다.국가와가족에대한소속이‘리셋’되어이동’당했던’입양인의경우는이주의정치학이전제하는근대적제도의경계들과사회문화적인식범주들에대해근본적인의문을제기한다.

주요내용

제1부‘이주와젠더,이동성과취약성’은국제질서속의젠더화된이주현상과여성이주자들이경험하는이동성과취약성에대한것이다.

제1장에서니콜컨스터블(NicoleConstable)은인도네시아출신여성인다가고국과홍콩,싱가포르,네팔을오가며경험하는이주노동과동거,결혼,자녀양육,가족재결합을좌우하는이동성과부동성에대해그동안진행해온민족지연구를통해소개한다.인다의사례는이주제도가이주과정을통해재/생산되는젠더규범에의존하고착취적으로작동하는측면과함께,이주여성이젠더화된이주제도와사회적관행을거스르는상황을보여준다.

제2장에서황정미는한국에서해외이주가확장된개발국가시기(1962~1987)의출국자통계와신문기사에나타난담론들을젠더관점에서분석한다.황정미는이러한‘민족’과‘성공’의프레임을벗어나기위해서는개발시기한국을떠난재외한인여성들의이주와삶에대한다양한경험을재조명하는연구들이필요하다는점을강조한다.

제3장에서유리둘란(YuriW.Doolan)은1970년대와1980년대미국사회에서문제가되었던군사지역무허가마사지업의확산이1940년대이후한국에서조장되어온해외주둔지미군매매춘의초국적파생물이었음을분석한다.

제2부‘재외한인의젠더와귀속의정치’에서는미국,독일,호주,일본등지로이주한한인여성들의삶과경험을트랜스보더성원권과귀속의차원에서접근한다.

제4장에서김민정은(2장에서개괄한)개발국가시기의특징이반영된한인여성이주사례로서주한미군의아내와파독간호여성의이주경험을이들의자전적글과자신의인터뷰사례를통해비교한다.

제5장에서문경희가분석하는호주한인‘1세대’여성의사례역시(2장에서분석한)개발국가시기인1970년대와1980년대에한국을떠난경우이며,호주에‘재이민’으로정착한것이특징적이다.이글은호주1세대이민여성의이주를유발한동기와구조를제시하고,현지인터뷰자료를통해이들의이주생활속에서젠더정체성이구조화되는측면을분석한다.

제6장에서이지영은일본현지인터뷰자료를통해제2차세계대전이후새로운국가건설과정에서한국과일본사이에위치하게된재일한인의민족주의의식과종족정체성전략의세대별변화를분석한다.

제7장에서김현희는2014년한국에서세월호침몰사고가발생했을때≪뉴욕타임스≫와≪워싱턴포스트≫에사건의진상규명을요구하는전면광고를게시한재미한인여성들의집단행동사례를분석한다.이글은온라인상의블로그와커뮤니티활동을주요자료로한민족지로,재외한인여성들이모성을매개로한국과의관계와미국에서의삶을연결하고한인디아스포라와조국의의미를적극적으로재구성해내는트랜스보더시민활동을그려낸다.

제3부“이동과귀환,확장과연대”에서는어떤‘한(국)인’인지를설명하기위해서더복잡하고더많은수식어가필요한젊은세대의재외한인으로,문화적으로낯선귀환이주자,다인종디아스포라,인종과국가경계가교차된가족안에서성장한초국적입양인의경험과귀속의정치문제를다룬다.

제8장송지은레지나(JeeEunReginaSong)의글은한국에서전문직에종사하는1.5세대와2세대한국계미국인들의귀환이주에대한사례연구이다.한국인이면서이방인으로취급된다는점에서“양날의검”으로표현된한국계미국인들의귀환이주경험은정치적으로도문화적으로도논쟁적인한국사회의가부장적현실과함께이러한사회구조에도전하면서개인의성장을추구하는과정을보여준다.

제9장헬렌킴(HelenKim)의글은유럽에서외국인입국자의비율이가장높은나라중하나이면서도독일인임을백인피부와연결지으면서단일인종국가라고내세우는독일사회의다인종성에대한연구이다.헬렌킴은한국계다인종독일젊은이들이차이안에서그리고차이를통해디아스포라로서동일하다는인식을만들어나가는“차이의비판적실천(criticalpracticeofdifference)”에주목하면서이를동일성과차이가겹쳐나타나는“자발적어울림(conviviality)”의기호로해석한다.

제10장에서라이언구스타프손(RyanS.Gustafsson)은초국적입양인을이주자에서배제하거나예외로분류하는문제에대해세심하고주의깊게분석한후,입양인이저술한글과인터뷰를통해“과잉(비)가시성(hyper(in)visibility)”과“다른곳에(elsewhere)있다는”감각경험으로인해다른이주자들과는다른삶을경험하게되는점을제시한다.

제11장에서구영은(YoungeunKoo)은코펜하겐에서의현장연구와한인입양인활동가인터뷰를통해국제입양인들중가장수가많은덴마크내한국출신입양인의입양비판정치활동을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