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의 사회학 : 마을에서 지역으로, 2023 세종도서 학술부문

도시재생의 사회학 : 마을에서 지역으로, 2023 세종도서 학술부문

$35.15
Description
현장에서 떠오른 수많은 질문에 대한
탐구 과정을 담은 기록!
“좋은 사회란 나란히 한곳을 바라보는 사회가 아니라,
함께 어울려 사는 사회다.”

한국 도시재생은 겉과 속이 많이 다르다. 물리적·사회적 리모델링과 삶의 지속을 위한 것처럼 보이지만 재개발 잔여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이고, 사회적 실천을 통한 공간가치 생산을 의도하지만 분배를 고려하지 않고, 따뜻한 공동체를 지향하지만 자본에 의한 지배를 막을 장치를 마련하지 않았으며, 도시를 재생한다고 하지만 마을도 재생하기 어려운 구조다. 도시재생의 이러한 괴리와 불일치는 어디서 비롯된 것일까? 도시재생은 2010년대를 관통해 전국의 도시를 휩쓸고 있는 연쇄적 사건이기 때문에, 거기에는 한국 사회를 움직여 온 많은 이념과 이론, 사회 통념과 행동 양식과 욕망이 들러붙어 있다. 따라서 우리는 도시재생에 적용된 이념과 이론과 개념을 통해 우리가 무엇을 어떻게 생각하고 욕망하고 행동하는지를 성찰할 수 있다.
저자는 마을도 재생하지 못하는 도시재생의 한계를 비판하며, 지역재생을 제안한다.
저자

주대관

저자:주대관

건축가,사회학박사

서울시립대학교건축공학과및동대학원졸업

서울시립대학교도시사회학과박사과정졸업

(주)디자인그룹오즈대표(2018~2022)

(사)문화도시연구소대표(NPO,2006~2022)

(사)에너지전환랩대표(NPO,2021~2022)

전(주)엑토종합건축사사무소대표(1993~2017)

원주시총괄계획가(2019~2022)

서울서대문구총괄계획가(2015~2019)

전북완주군총괄건축가(2013~2015)

서울시도시재생에너지총괄계획가(2017~2018)

서울도봉2동도시재생총괄코디네이터(2019~2020)

성균관대학교,경기대학교,서울과학기술대학교,서울시립대학교건축학과강사/겸임교수(1993~2018)

실험적자원봉사집짓기프로그램운영(2002~2021)

수상

한국목조건축대전본상(동두천아차노리주거단지,2014.12)

국제공공디자인어워드건축부문대상(공주한옥마을,2012.12)

대한민국건축문화대상(서천봄의마을,기획총괄및기본설계,2012.11)

한국농촌건축대전대상(서천어린이도서관,2011.7)

한국목조건축대전특선(인제대면헌,2011.11)

나주잠사공장리모델링설계경기당선(기본및실시설계)(문화시설조성,2015.12)

홍성오누이권역종합정비사업설계경기당선(기본및실시설계,2014)

영양휴양림신축설계경기당선(휴양림관리사업소,2012)

전시

‘실험18.25.61강정에서도문까지’전시회(이건갤러리,2020.7.1~24)

한국현대건축가전‘메가시티네트워크’전시(공동,국립현대미술관,2009.12~2010.3)

목차

서론:왜지역재생인가?

1부도시재생과공동체
1장도시재생:사회적공간생산방식의등장
2장도시재생에들어온공동체주의
3장주민참여와다원적평등


2부이론에서현장으로
4장상업지재생과젠트리화의문제
5장경제적재생으로서의사회적경제
6장문화적재생:장소마케팅에서문화순환으로

결론:지역재생으로의전환

출판사 서평

삶과문화가순환하는재생
공간이아닌시간을다루는재생을위하여

저자는집합적다중의시대에마을재생과같은집단주의적대안은지역을살릴대안이될수없다고강조하면서,쇠퇴해가는도시나지역을‘경제적·인구통계학적·사회문화적’측면에서재구조화하는과정으로서지역재생을제안한다.지역재생은공간적범위를도시나지역으로확장하고주민이아닌집합적이용자들이주체가되는재생방식으로,공동체활성화나쇠퇴한상업시설의재상업화가아니라지역사회주민들의삶과문화가순환하는재생을일컫는다.

현장에서떠오른수많은질문들에대한탐구의과정이기도한이책은도시재생에관한책이지만,공동체담론과도시쇠퇴문제를관통해가까운미래에닥칠공간적·사회적문제들에대한환기를포함한다.이책이,도시재생과마을만들기를계기로제시된공동체담론이정치적·정책적상황의변화로인해소모되어사라지지않도록보존하는기록자로서,현대사회에걸맞은방향을모색하는데작은밑거름으로서역할을하길기대한다.

삶과문화가순환하는재생

이책은서론과결론외에여섯개장으로구성했다.1부에해당하는1,2,3장에서는도시재생과공동체에관한이론적논의를정리하여도시사회학,도시계획,도시재생,지역계획관련전공학생들에게도움을주고자했다.2부에해당하는4,5,6장에서는도시재생의세부적인방법론으로서,상업지재생과사회적경제및문화적재생에대해현장에서나오는비판과대안을기술했다.
현행마을규모재생의대안으로제안하는지역재생방안이활성화계획수립전문가,현장활동가,공무원등에게도움이되기를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