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일표류 : 글로벌 파워의 향방

중일표류 : 글로벌 파워의 향방

$23.11
Description
표류하는 중일관계에서
무엇을 보아야 하는가?
글로벌 강대국으로 부상해 공세적·확장적 외교를 전개하는 중국, 전후 레짐에서 탈피하고 재무장하려는 일본, 선진국으로서 국제사회에서 자리 잡아가는 한국은 물론이고 타이완, 미국 등 국제사회와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힌 동아시아의 상황은 어렵기만 하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가 얼핏 소홀히 하기 쉬운 중일관계의 이해는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일본 중국연구의 대가인 저자는 이 책에서 중일 간 국교 정상화 이래 40여 년의 중일 양국관계, 특히 21세기에 들어선 이후부터의 양국관계를 현실주의 시각에서 다시 고찰하고 중일 관계의 어제, 오늘, 내일과 그 해법을 논한다.

저자

모리가즈코

저자:모리가즈코
와세다대학영예펠로우이자명예교수(정치학박사)이다.후쿠오카아시아문화상(2010),국제중국학연구상(2010)등을수상하였다.2011년에는문화공로자로선정되었다.
저서로『現代中國政治:グロバル·パワの肖像(현대중국정치:글로벌강대국의초상)』(초판,1993;한국어판[제3판],2013),『日中關係:戰後から新時代へ(중일관계:전후에서신세대로)』(2006;한국어판,2006),『グロバル中國への道程:外交150年(중국외교150년사:글로벌중국으로의도정)』(공저,2009;한국어판,2012),『中國とソ連』(1989),『周緣からの中國:民族問題と國家』(1998),『現代中國政治を讀む』(1999),『現代中國外交』(2018),『現代中國の構造變動1-大國中國への視座』(편저,2000),『現代中國の構造變動7-中華世界:アイデンティティの再編』(편저,2001)등다수를집필했고,번역서로『ニクソン訪中機密會談錄』(공역,2001),『周恩來キッシンジャ機密會談錄』(공역,2004)등이있다.

역자:이용빈
인도국방연구원(IDSA)객원연구원역임,미국하버드대학교HPAIR연례학술회의참석(안보분과),이스라엘크네세트(국회),미국국무부,미국해군사관학교,중국국민당초청방문,이스라엘히브리대학교,미국하와이대학교동서문제연구소(East-WestCenter),중국외교대학교,타이완국립정치대학교,홍콩중문대학교학술방문,홍콩국제문제연구소연구원
저서:EastbyMid-East(공저,2013)외
역서:『시진핑』(2011,2012년도아시아·태평양출판협회APPA출판상수상),『시리아』(2012),『중국근대해양방어사상사』(2013),『현대중국정치』(제3판,2013),『러시아의논리』(2013),『마오쩌둥과덩샤오핑의백년대계:중국군의핵·해양·우주전략을독해한다』(편역,2014),『이란과미국』(2014),『중국인민해방군의실력』(2015),『망국의일본안보정책』(2015),『현대중국의정치와관료제』(2016),『중국국경,격전의흔적을걷다』(2016),『이슬람의비극』(2017),『시진핑의중국』(2019),『푸틴과G8의종언』(2019),『미국의제재외교』(2021),『美中신냉전?:코로나19이후의국제관계』(2021),『현대중국의정치와외교』(2023),『벼랑끝에선타이완:미중경쟁과양안관계의국제정치』(공역,2023),『글로벌시대의미국』(2024)외

목차

머리말

제1장‘중일정상화’40년의회고
1.정상화이후의40년은무엇이었는가?
2.중일국교정상화교섭을재고하다

제2장‘1972년체제’고찰
1.이분론의재검토
2.이분론을어떻게초월할것인가?

제3장‘반일’의고조
1.2005년반일시위
2.중일간의새로운쟁점

제4장제도화의시도와차질
1.회복된양국정상간의왕래
2.시작된관계의제도화

제5장중일충돌:영토·영해를둘러싼파워게임
1.영토·영해문제의위치
2.2010년어선·순시선의충돌
3.센카쿠열도‘국유화’를둘러싼충돌
4.중일양국간주장의대비
5.힘을통한대항으로
6.아베정권과신민족주의

제6장모델로서의미중관계
1.미중과중일:그대비
2.미중관계의제도화:안전보장과위기관리
3.또하나의모델:제도화된중러관계

제7장중국외교를둘러싼질문
1.중국외교의전환
2.중국외교는공세적인가
3.여섯개의질문과잠정적인해답

제8장외교행동으로서의군사력행사
1.중국의대외군사행동
2.한국전쟁(1950~1953)
3.중월전쟁(1979.2.17~3.16)
4.제3차타이완해협위기(1995~1996)
5.외교로서의대외군사행동

제9장중국의변신과현실주의
1.10년의주기
2.중국외교론
3.전환점으로서의2009년
4.이익집단
5.중국신외교의특징

제10장21세기글로벌강대국의행방
1.중국의자화상:거자오광의『중국재고』로부터
2.‘사화’되는중국의‘국’:마틴자크로부터
3.‘제국’론
4.중국은‘제국’이될것인가?

맺음말
옮긴이후기
*중일관계연표(1972~2022년)
참고문헌

출판사 서평

표류하는중일관계

21세기에들어와동아시아의강자이자글로벌강대국으로부상한중국은공세적이고확장적인외교전략을펼치고있다.일본도패전국으로서의전후레짐에서탈피를꾀하며이에‘힘으로대항’하면서긴장이계속되고있다.동아시아는물론세계적으로도큰영향을미치는중일관계는어려운상황에직면해있다고할수있다.이책의저자는중국이이렇게급속히대국이되어힘을과시할것이라고는,일본의‘전후레짐으로부터의탈피’가이렇게빠르고강력하게추진될것이라고는예측하기어려웠으며,중국과일본양국관계가새로운‘힘의대치’시대로진입해커다란망망대해를표류하기시작한것이아닌가라고이야기한다.

중일관계의네가지단계와세가지이슈

저자는1972년중일국교정상화이래40여년의중일양국관계를묘사하면서동시에주로21세기에들어선이후부터를‘현실주의’의시각에서다시고찰한다.먼저중일국교정상화이후40년간을크게1970년대의‘전략적우호시기’,1980년대부터1990년대중반의‘허니문15년’,1990년대중반에서2010년의‘구조변동시기’,2010년부터현재까지의‘힘의대항’,네가지단계로나눈다.또한중국과일본양국간의중요이슈로‘역사문제’,‘지역패권과리더십문제’,영토·영해,자원,저작권등‘구체적이익문제’의세가지를든다.‘구조변동시기’까지는이세가지이슈가개별적으로분쟁화하는사례가많았지만‘힘의대항’에진입한이후부터는일본유엔안보리상임이사국진입문제,센카구열도/댜오위다오문제등처럼이세가지이슈들이상호간에결합되어뒤얽혀져버렸다고고찰한다.

성숙한국가관계를바라며

한중일을포함한동아시아의환경,중일양국간관계는낙관하기어렵다.불신과대립이더깊어질가능성도크다.저자는동아시아의주요3국은모두대단히젊은국민국가이며성숙함에도달하기에는아직긴과정을필요로하는것은아닐까라고이야기한다.그리고중일관계에대해서,먼저관계의제도화와이성화를통해아무리격렬한대립이있더라도대화의채널은결코닫지않을것,미중관계·미일관계를살펴보면서상호관계를다국간의협력관계에서고려할것,힘에의한대항이나군사적확장으로연결되는움직임을방지할수있는양국간및다국간메커니즘을최대한일찍구축할것을제안한다.

마지막으로저자는이책에서두개의메시지를전하고자했음을밝힌다.첫번째는중일관계의전제에는쇼와천황의전쟁책임,아시아사람들의피해에대한책임등,일본의전쟁책임문제가있고이를어떻게마무리지을것인가가중요하다는것이다.두번째는배타적인·정적인민족주의로부터중일양국국민들이하루빨리벗어나길바란다는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