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세 일본의 국제관계와 대외인식 - 동아대학교 역사인문이미지연구소 총서 4 (양장)

근세 일본의 국제관계와 대외인식 - 동아대학교 역사인문이미지연구소 총서 4 (양장)

$45.00
Description
근세 일본의 대외인식과 그 시대의 국제관계에 대해 알아보다
에도시대라 불리는 근세 일본의 경우, 국가 권력 간의 전쟁이라는 결말까지 치달은 역사적 내력은 없지만, 자국의 이권을 위해 수많은 대외적 갈등이 내재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국제관계는 실제 막말 시기에 러시아의 남하와 서유럽 국가들의 일본 진출과 함께 내부에서 침략주의적인 사상을 발현시키고 있었다. 이것은 세계사의 변화 속에서 근세 일본의 국제관계 범주가 변화·확산하는 과정과 연동된 것이다. 그렇다고 필자가 근세 일본에 싹텄던 타국에 대한 침략주의적 사상의 발현이 세계사의 변화와 국제관계에만 그 원인이 있다고 보는 것은 결코 아니다. 여기에는 당연히 근세 일본의 내적 변화와 사상의 변화가 존재한다. 그렇기에 필자는 근세 일본사를 연구하면 서 외적인 ‘국제관계’와 내적인 ‘대외인식’이라는 두 개의 키워드를 가지고 그 상관관계를 어떻게 규명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을 끊임없이 해왔으나, 그 고민은 여전히 해결되지 못한 채 오히려 근세에서 근대로 연구 대상 시기를 확대해가며 더 많은 의문과 궁금증들이 파생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연구를 추진해나갈 계획이지만, 다만 지금까지의 연구를 정리해두고 문제점을 재고·확인할 필요성도 있기에 본서의 출간을 계획하게 되었다.

저자

신동규

저자:신동규
1965년서울출생
1994년강원대학교사학과졸업
1998년릿쿄대학(立敎大學)문학연구과일본사전공박사전기과정
2001년동대학문학연구과일본사전공박사후기과정(문학박사)
2001년강원대학교사학과강사
2003년한림대학교일본학과강사
2011년동아대학교일본학과조교수
2019년동대학일본학과부교수,역사인문이미지연구소소장
2022년현재,동대학일본학과교수·동연구소소장
대표연구업적
단저:『근세동아시아속의日朝蘭국제관계사』(경인문화사,2007),『일제강점기해주구세요양원의결핵퇴치활동연구』(경인문화사,2020).단역:『근세일본과동아시아』(경인문화사,2019),『1910년일본인이본한국병합』(경인문화사,2020)등.공저:『전근대일본의영토인식』(동북아역사재단,2012),『地球的世界の成立(日本の對外關係5)』(吉川弘文館,2013),『近世日本の國際關係と言說』(溪水社,2017),『일제침략기사진그림엽서로본제국주의프로파간다와식민지표상』(민속원,2019)등.

목차

서문
범례

1부국제관계와대외정책의변화

제1장전근대서유럽세계의진출과에도막부의국제관계변화
1.머리말
2.서유럽세계의동아시아진출
3.쇼쿠호기(織豊期)서유럽세계의일본진출과금교정책
4.에도막부의서유럽관계변화
5.에도막부의서유럽통제와외교설정
6.맺음말

제2장근세‘일본형화이질서’로본국제관계재고(再考)
1.머리말
2.전근대일본의세계관과화이의식변화
3.‘일본형화이질서’론의구조와특징
4.일본의‘화이질서’론에대한평가와재고
5.맺음말

제3장‘시마바라(島原)·아마쿠사(天草)의난’으로본아마쿠사시로(天草四郞)의신격화와근세적내셔널리즘
1.머리말
2.‘난’이전시로(四郞)의행적과그리스도교입문
3.시로의신격화와기적
4.‘난’에보이는시로의역할
5.‘난’의영향과근세적내셔널리즘
6.맺음말

제4장(島原)·아마쿠사(天草)의난’으로본에도막부와네덜란드의공조(共助)관계
1.머리말
2.근세초기의일란관계(日蘭關係)와‘난(亂)’
3.네덜란드의참전과일란공조의실체
4.에도막부의네덜란드참전평가와그영향
5.맺음말

제5장근세일본의해난구조정책과‘4개의창구’
1.머리말
2.해난구조의나가사키(長崎)체제화
3.동아시아선박의해난구조
4.네덜란드선박의해난구조
5.맺음말-해난구조와‘4개의창구’관계에대해서

2부대외인식과영토관의변화

제6장중근세일본의사찬지도(私撰地圖)로본‘삼도영토관(三島領土觀)’
1.머리말
2.중세行基圖와‘삼도영토관’의출현
3.근세전기行基式日本圖와‘삼도영토관’의계승과정착
4.근세후기赤水圖와‘삼도영토관’의잔영(殘影)
5.맺음말

제7장근세·근대일본의관찬지도(官撰地圖)로본영토인식변화
1.머리말
2.17-18세기관찬지도와‘삼도영토관(三島領土觀)’
3.19세기伊能圖와‘삼도영토관’의붕괴
4.메이지(明治)시대‘사도영토관(四島領土觀)’의정착
5.맺음말

제8장전근대‘조어도제도(釣魚島諸島)’에대한중·일의영토인식
1.머리말
2.명대(明代)의조어도제도인식
3.청대(淸代)의조어도제도인식
4.맺음말

제9장근세후기赤蝦夷風說考』를통해본일본의북방인식과에조치(蝦夷地)
1.머리말
2.구도헤이스케(工藤平助)의북방인식과에조치(蝦夷地)대책
3.赤蝦夷風說考의에조치개발론
4.막부의赤蝦夷風說考수용과에조치이주개발론
5.에조치비(非)개발에서재(再)개발로-1799년막령화(幕領化)까지
6.맺음말

제10장근세후기경세론가(經世論家)의에조치(蝦夷地)에대한침탈적인식의변화
1.머리말
2.침탈적에조치인식의시원과전개
3.침탈적에조치인식의강화와정착
4.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