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소아 : 리스본에서 만난 복수의 화신 - 클래식 클라우드 4

페소아 : 리스본에서 만난 복수의 화신 - 클래식 클라우드 4

$18.80
Description
모든 것이 되어, 모든 것을 느끼고 쓰고자 했던 시인
120여 명의 이명 작가가 되어 포르투갈어, 영어, 프랑스어로
시, 소설, 희곡, 평론에 걸쳐 독창적인 문학 세계를 펼친
페르난두 페소아의 신비로운 미로 속으로!

기이한 천재 작가 페소아의 삶과 문학의 무대 리스본에서
그와 동시대인으로 살며 ‘페소아들’을 만나다!

- 서구 문화권을 넘어 전 세계 독자를 매료시키고 있는 페소아를 만나는 특별한 문학기행
- 시대와 세대를 뛰어넘어 이어지는 거장과 명작의 인사이트
- 한눈에 살펴보는 거장의 삶과 예술의 공간과 키워드, 결정적 장면
- 내 인생의 거장을 만나는 특별한 여행, ‘클래식 클라우드’ 시리즈

문학 비평의 세계적 권위자 해럴드 블룸은 저서 『서양 문학의 정전The Western Canon』(1994)에서 유구한 문학사에서 단 26명의 작가를 엄선한 명단에 셰익스피어, 괴테, 조이스, 네루다 등과 나란히 페르난두 페소아의 이름을 올렸다. 이제 페소아는 세계 문학계에 더 이상 낯선 인물이 아니다. 또한 『불안의 책』이 국내에 본격적으로 소개되기 시작하면서 페소아는, 수집해둘 만한 문장들이 곳곳에 넘치는 이 독특하고 매혹적인 작품으로 한국 독자들을 사로잡고 있다. 카몽이스와 더불어 포르투갈을 대표하는 작가로 주저 없이 손꼽히는 페소아의 작품들은, 이미 유럽과 서구 문화권을 넘어 베트남어, 스와힐리어, 우르드어 등 40여 개국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 독자들을 매료시키고 있다.
클래식 클라우드 시리즈의 네 번째 책 『페소아: 리스본에서 만난 복수複數의 화신』의 저자 김한민은, 페르난두 페소아라는 이 기이하고도 천재적인 작가에게 일찍이 매력을 느끼고 국내에 페소아의 작품을 소개하는 데 앞장서왔다. 급기야 그는 포르투갈 리스본으로 떠나 수년간 그곳에 체류하면서, 리스본 곳곳에서 많은 사람들을 만나며 페르난두 페소아라는 작가를, 하나이자 여럿인 이 신비로운 인물을 깊숙이 탐구했다. 여행기라기보다 체류기에 가까운 이 책은 저자 김한민이 100여 년 전의 인물 페소아와 동시대인으로 만난, 밀도 높은 시간의 기록이다.

“삶이란 우리가 삶으로 만드는 것이다.
여행이란 결국 여행자 자신이다.”
_페르난두 페소아

저자

김한민

저자:김한민
『비수기의전문가들』,『책섬』,『카페림보』,『혜성을닮은방』등의그림소설,『웅고와분홍돌고래』,『사뿐사뿐따삐르』등의어린이그림책,『그림여행을권함』,『페소아:리스본에서만난복수의화신』등의에세이를썼으며,『시는내가홀로있는방식』,『페소아와페소아들』등포르투갈작가페르난두페소아의작품을번역했다.

목차

PROLOGUE나의동시대인,페소아

01다시리스본으로―페소아의처음,그리고마지막도시
02하나이자여럿인사람―페소아의이명놀이
03여행없이여행하는자―여행이무슨소용인가
04‘오르페우’는계속된다―포르투갈모더니즘의기수
05파편과폐허의미학―『불안의책』을즐기는법
06천재와광기―병보다지독한병
07모든연애편지는바보같다―그녀,오펠리아
08누구나알지만아무도모르는시인―인정투쟁
09지옥의입구―세기의자살극한가운데
10리스본사람들―삶과문학의장소에서만나다
11사-카르네이루와페소아―문학적이상을공유하다
12페소아와정치―꿈꾸는편을선호하다

EPILOGUE페소아의마지막조언,사물너머를본다는것은

페소아문학의키워드
페소아생애의결정적장면
읽어볼만한책

출판사 서평

“복수複數가되어라,저우주만큼!”
하나이자동시에수십명,그이상이었던작가

페소아는자신의본명말고도여러사람의다른이름으로창작활동을한것으로유명하다.집계된이름만120여개이상이지만,가장대표적인이명삼인방으로알베르투카에이루,리카르두레이스,알바루드캄푸스를들수있다.가명을사용해창작활동을한작가는문학사에서여럿있었지만,페소아처럼각인물의삶을전체적으로설계하고각각의작품세계가독립적인성향을띠면서서로영향을주고받기까지하는사례는찾아보기어렵다.이처럼‘이명’이라는요소를빼놓고페소아라는작가를이야기하는것은거의불가능하다.“사람들이페소아에게매료되는요소를하나만꼽으라면뭐니뭐니해도이명”이라고저자역시가장먼저손꼽는다.
페소아는이미여섯살무렵부터다른이름의인물을삶에도입하기시작했다.고등학교시절에는이것이더더욱본격화되어이명의이름으로작품을써서발표하기도했고,1914년그의대표이명삼인방이등장한이래그의창작활동은폭발적으로증가한다.저자는이명들의작품을통해페소아가지녔던,하나의이름아래묶이기에는너무도다양했던창작욕을가늠해본다.페소아에게이명은“단한명의나에갇힐뻔한‘다양한나들’을해방시킨창작기계”였다.“이모든것을뒤에서조종했던것도페소아이지만,이모두에게무대를내주고자신을비우는것외에는한일이없다고너스레를떤것역시그였다.한마디로그는잘놀았던인간,‘호모루덴스’(유희의인간)라는말을떠올리지않을수없는시인이었다.”
또한페소아에게이명은문학적인물그이상이었다.페소아의이명들은페소아의삶에깊숙이영향을끼쳤고,심지어페소아의현실인물들과교류하기도했다.저자는이러한페소아의삶과문학의세계를총체적인관점으로접근한다.

페소아라는‘사람’
그리고페소아를기억하고사랑하는리스본사람들

‘페소아Pessoa’라는그의성은포르투갈어에서‘사람’을뜻하는일반명사다.그어원인페르소나가‘가면’을의미한다는점,문학적정체성이여럿인사람이하필이면그리흔하지도않은이성을타고났다는것도기막힌우연이아닐수없다.또한페소아를프랑스어로번역하면‘페르손느personne’가되고이는‘아무도없음nobody’을뜻하기도한다는점등은문학애호가들을사로잡기에충분하다.
이흥미진진한인물,페르난두페소아라는시인에대해우리가지금알고있는거의모든것은,그가죽은뒤그의방에서발견된트렁크속에들어있던약3만장의원고들에의존하고있다.그트렁크는그러나,종이로만가득차있지않았다.그안에는수많은사람들이있었다.그가읽던사람,그가알던사람,그가섬기던,그가무시하던,그가질투하던,그가모방하던,그가사랑하던사람…….
저자는리스본에머물면서페소아가남긴원고와자료들,여타페소아에대한연구들을꼼꼼하게살피면서페소아라는사람,페소아가창조해낸사람,페소아가만났던사람을종합하며‘페소아’라는인물그자체에다가갔다.또한저자는페소아연구에있어세계적으로인정받은리처드제니스RichardZenith등리스본의페소아연구자들과교류하며다채로운시각을공유했다.

페소아라는다양한스펙트럼의‘세계’
그신비로운미로속을걷다

저자는,페소아에관해얘기하는것은그작품세계의풍부함덕분에그리어려운일도아니라고말한다.그저“할이야기가하도많아고르고편집하는데품이들뿐”이라고.페소아의삶도그렇다.언뜻겉으로보기에는극적인요소가그다지없어보이지만작품세계못지않게흥미로운지점들을발견할수있다.
특히‘문예지활동가’로서페소아의활약은눈여겨볼만하다.페소아는문학과예술분야에서뜻이맞는동료작가들과모여문예지를만들었다.그에게1915년은단연잡지『오르페우』의해였다.『오르페우』는단두호만발행되었음에도포르투갈모더니즘을이끄는데큰역할을한것으로평가받는다.특히『오르페우』를이끌고『오르페우』를통해발굴된‘오르페우세대’는향후포르투갈문화예술계에큰영향을끼쳤다.
1919년페소아는평생의유일한연인오펠리아를만난다.그는평생결혼하지않았고,그가만났던사람은오펠리아뿐이었다.두사람은이별한후에도편지를주고받았고,오펠리아는페소아가사망한지3년뒤에야다른사람과결혼했다.
한편페소아는신비주의에관심이많았다.비전주의에관한책들을섭렵하던중영국의마법사알레이스터크롤리라는인물을알게되고그와교류하기에이른다.알레이스터크롤리와‘지옥의입구’에서벌인가짜자살극사건은,페소아의그러한성향이불러온기이한일화라할수있다.
페소아의삶에서가장가슴아픈사건을꼽자면,어머니의죽음과절친했던시인마리우드사-카르네이루의자살일것이다.‘포르투갈의랭보’,20세기포르투갈의대표적인시인으로꼽히는사-카르네이루는『오르페우』의핵심멤버로페소아와문학적이상을공유했으며,페소아와깊은우정을나눈거의유일한친구라고할수있다.두사람은사-카르네이루가파리로간이후에도꾸준히편지를주고받았으나,사-카르네이루는스물여섯살에자살로생을마감한다.
저자는페소아라는인물을이루는그의생각,그의사랑,그의친구,그의사상,그의관심사등페소아에대한거의모든것을종횡무진아우르며탐구했다.그렇게저자는페르난두페소아라는인물을‘동시대인’으로받아들이며이책을완성했다.

페소아의삶과문학의무대리스본을
‘여행없이’여행하다

어머니를따라남아공더반으로떠나그곳에서어린시절을보낸페소아는,대학에다니기위해리스본으로돌아온뒤,마흔일곱나이에세상을떠날때까지리스본을떠나지않았다.리스본은페소아에게삶과문학의무대였다.저자는이곳에체류하면서페소아가걸었던길,페소아가살았던곳,페소아가다녔던리스본대학,페소아의작품배경이되었던곳들을일상속에서느끼며‘페소아되기’를실천하고자했다.
페소아는평소에여행을부정적으로생각했다.이에대해저자는다음과같이말한다.“내가좋아하고공감하는작가에관한책을쓰면서그의여행에대한비판들을못들은척하고일반적인기행문을쓸수는없었다.이런이유들로이책이반쯤은페소아에관한에세이혹은연구서처럼느껴질수도있으리라예상하지만,그역시의미가있다고생각한다.”그리하여이책은기행문보다는다소묵직하고깊이있게페소아의삶과문학을담게되었다.
페소아의작품을읽어본,이천재작가에게이미사로잡힌독자에게이책은페소아라는수수께끼같은인물을이해하는데길잡이가되어줄것이다.그리고페소아를아직만나지못한독자에게이책은,조금낯설지만대단히호기심을불러일으키는페소아라는인물에대한꼼꼼한안내서가되어줄것이다.

삶이책을읽고페소아가읽고싶어져서페소아의책을들고
여행을떠나게되면더좋을것같다.
그게몸으로하는여행이든머리로하는여행이든말이다.
_「프롤로그」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