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구루루굴러우리앞에도착한
작디작은‘한알’속크디큰이야기,
시인장석주의첫번째동시집!
1979년조선일보,동아일보신춘문예에시와문학평론으로입상하면서문단에데뷔한시인장석주.그렇게지금껏장장1백여권이넘는저작을펴내며왕성한활동을이어온그가생애첫동시집을선보인다.앞서2015년,시「대추한알」에서영감을받아탄생한동명의그림책이많은어린이와학부모의사랑을받았는데,『또르르똑똑빗방울삼형제』속에도마찬가지로보잘것없이조그마한대상에깊은관심을기울이는화자가등장한다.
손에서
놓친
감기약한알
저혼자또르르
굴러
장롱밑에숨었네
장롱밑은
어둠의세계
(…)
감기약은
하얗게질린채
장롱밑에
숨어있겠네
-「감기약한알」중에서
작고연약한것을지나칠수없는어린이화자의살뜰한마음은동식물과사물을가리지않는다.수록된첫번째시에서부터화자는장롱아래로굴러떨어진감기약한알을걱정한다.장롱밑그“어둠의세계”속에“괴물”이“우글우글”할것이라믿기때문이다.“하얗게질린채”떨고있을알약의두려움을헤아리는마음,작은틈안으로괴물들이산다고여기는공상까지.장석주의동시세계는애정어린연민과자유로운상상력이작동하는세계이다.
염소똥은
까맣구나
검정콩같이
동글동글
(…)
초록풀을먹는
염소가
왜까만똥을눌까요?
-「염소똥」중에서
하찮은염소의똥을들여다보며검정콩을떠올리던화자는그리하여모두가당연하다간주해그누구도제기하지않은질문을던진다.“초록풀을먹는/염소가/왜까만똥을눌까요?”그러고보니정말그러하다.초록색풀만먹는염소의똥이왜까말까?이러한기존의상식앞에과감히질문을던지는태도,『또르르똑똑빗방울삼형제』속화자는수더분하면서동시에용감하다.
순수한어린이의눈으로바라본
이세상의귀하고예쁜것들
그러던어느날,어린이화자에게귀여운동생이생긴다.“세상에서/가장작은것은/겨자씨/한톨”이라면이제“세상에서/가장이쁜것은/개구쟁이/내동생”(「세상에서가장이쁜내동생」)이다.그리고때는한겨울,동생의자그마한손을잡고눈하얗게덮인벌판앞에서화자는흰도화지를머릿속에그린다.
누구도
걷지않은
눈길은
백지같지요
동생이
아장아장걸은
눈길엔
동생발자국
까치가
까치걸음으로걸은
눈길엔
까치발자국
-「눈길」중에서
숫눈위를밟아지나온길을헤아리며나란히그어진두개의선을도타워하고,그옆에난새의앙증맞은발자국까지화자는귀여워한다.그렇게높은하늘도올려다보면서“저눈송이들이/벚나무잎사귀같은/아가의자그마한귀에대고/뭐라고/속삭이는걸까요?”(「눈송이」)궁금해한다.
형이씨를퉤뱉고
동생이씨를퉤뱉고
(…)
세상엔참
내가모르는일이많지요!
-「수박씨」중에서
『또르르똑똑빗방울삼형제』속화자는‘난생처음’의마음으로세상을마주한다.“모르는일이많다”는고백은곧“놀라워할일이많다”는뜻이된다.콩에게“너도혼자있을때무섭니?”(「완두콩」)질문하고뱀이란“번개가놓친/무지개가아닐까요?”(「뱀2」)자문하는어린이,그맑고투명한물음은그리하여등단반세기의대가(大家)장석주의물음이다.그의첫동시집은결국그들의대답을귀담아듣는과정이며그동안독자는무언가를사랑하는일이란,그대상을궁금해하고질문하는일임을알게된다.
문해력(文解力,글을읽고이해하는힘)단련의시대
우리말과글을맛있게이해하는자음과모음문해력동시!
바야흐로문해력단련의시대이다.현세대의어린이들이영상미디어에익숙해져문자를읽고해석하는능력이현저히떨어졌다는연구결과가연일보도된다.그리하여교육,문화계는문해력을내세운갖가지프로그램과도서를선보이고있는것이요즈음의추세다.
문해력이란,단순히글을읽고쓰는행위를넘어이해하고분석하는능력을일컫는다.어린이가학교생활에서지식을습득하고시험을치르며과제를해내고모둠활동을하는전반적인과정에문해력이작용한다.이것은의사소통능력을좌우하므로대인관계를위해서도반드시필요하다.
많은전문가가문해력을키우는방법으로다양한종류의읽기와쓰기를꼽는다.시작부터긴글을읽으며끙끙대라는말은아닐테다.짧은글을집중하여읽는훈련이우선이다.짧은글하면시,어린이문학으로좁히면동시가바로떠오른다.행마다응축된화자의감정과관찰력을읽고해석해내는훈련을하다보면어린이의문해력은어느새크게자라있을것이다.
*인증유형:공급자적합성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