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저기 흙 묻은 사람들이 가네
다시 벼와 찰보리를 기리고 섬기는 곳으로 가네”
잊힌 정경 안에 기거하던, 사람의 본모습을 길어올리는 시선
다시 벼와 찰보리를 기리고 섬기는 곳으로 가네”
잊힌 정경 안에 기거하던, 사람의 본모습을 길어올리는 시선
인간 시선의 구석과 그 구석 속 존재들을 밝히고, 그들에게 시의 자리를 내어주었던 이덕규가 네번째 시집을 세상에 내보인다. 문학동네시인선 189번 『오직 사람 아닌 것』이다. 그 스스로 자임하듯 시인은 “캄캄한 흙속에서 사람이라는 종자로 싹을 틔운 최초의 기쁨”(「농부」)으로서, 자연의 이야기를 시로 풀어낸다. 자연은 사람이 태어난 장소이자, 지금은 멀리 떠나온 집이다. 사람이 떠난 빈집은 일견 황폐하고 허름해 보이지만, 그 속은 오히려 사람 아닌 것들이 왕성히 움직이는 터전이 되었다. 자연을 잊고 인위의 논리를 내세우다 오히려 병들어가는 사람에게는 보란듯이, 밀려난 생명들이 찬란한 활기를 뽐낸다. 이덕규는 이들 ‘오직 사람 아닌 것’이 사람보다 앞서 걸으며 선보이는 아름다운 선례를 ‘농부’이기에 가능한 세밀화로 포착해낸다.
맑은 정오, 항아리에 이슬 내린 물이 가득 차올라 있었다
눈이 퀭한 짐승이 그 안에 비친 검은 그림자를 들여다보았다
산 너머 사리 바다에서 물고기 우는 소리가 종일토록 넘어왔다
먼길을 돌아 일 년 만에 지상에 내려온 누님 발등이 소복이 부어 있었다
_「백중(百中)」 부분
이덕규는 실로 ‘정경(情景)’의 전문가라 할 만하다. “오색 관을 쓴 새”가 항아리 속을 들여다보는 풍경으로부터 길어올려지는 서러운 서글픔이 있다. 시인은 어미 새가 아기 새에게 먹이를 전해주듯 감정을 반죽으로 넘겨주기보다, 풍경을 통해 정서를 간접적으로 일으킨다. 그제야 밝혀지는 것은 애타는 그리움의 정서가 대상에 빗대어 암시될 때 독자의 마음속에 파문이 자생한다는 것이다. 사람마다 가지각색인 억양과 강세, 음의 진동과 고저, 즉 그 자신의 고유한 목소리로 새겨지는 정서는 감정을 돋을새김한다. 시인은 그러한 새김만이 시의 경지이고 책무이며 정직한 수행이라고 여기는 듯하다.
그렇게 시집은 시적인 정경을 담아낸다. 시인은 “가마니를 치는 때 맞춰 첫눈이 오고 꿩과 토끼들이 사람의 마을 가까이로 내려오는”(「때와 일」) 것처럼 자연과 사람이 어우러져 빚어내는 삶을 주목한다. “내가 그리고 우리가 감히 물물교환 시대를 살았던 그때”(「우리, 오래된 미래」)의 모습들은 우리가 잊고 잃은 천성이기도 하다. 다만 시인이 읊는 정경은 과거를 향하는 맹목이나 자조적인 회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시는 그 시절을 아는 이에게는 익숙하고 그리운 기억을 묘사하는 언어가 되고, 지금 그 삶을 살아가는 이들에게는 그의 손이 일구어내는 연대기를 그려내며, 아직 경험해본 적 없는 이에게는 “깊은 물속에 하루쯤 가라앉아 쉬고 싶은”(「고독의 진화」) 지친 몸과 마음을 보듬는 본향이 되어준다.
장마 끝에 온갖 벌레와 곤충이 울었고 처음 보는 꽃들이 은하수처럼 무더기무더기로 흘러갔다
사라졌던 것들이 짝을 맞춰 돌아왔다
어디서 오는지 알 수 없었다
사람들 손이 멈춘 곳
사람 발길이 끊긴 들판 한가운데
묵정논 한 배미가 생명의 섬처럼 떠 있다
농약과 화학비료의 바다에 노아의 방주처럼 떠 있다
_「묵정논」 부분
또한 이덕규는 하나의 삶을 소박하게 내놓는 일에 자족하지도 않는다. 시집의 이곳저곳에는 앞만 바라보는 우리의 발길을 잡아채는 돌부리들이 놓여 있다. 그 서늘한 비판의식 안에 담긴 것은 사라진, 그리고 사라질 존재들에 대한 염려다. 사람이 구조에 더 효율적으로 복무하기 위해 저버리고 내던져버린 것들이 있다. 그러나 정작 사람이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는 가능성은 우리가 저버린 ‘오래된 미래’에 있었다는 깨달음을 시인은 간곡히 전한다. “사람 발길이 끊긴” 묵정논이 오히려 온갖 생명의 보고가 되어준 실상을 환기하며, 시인은 “흙 묻은 사람들”(「흙 묻은 맨발들의 저문 노래」)의 발걸음이 향하는 곳을 그려본다. “다른 이들의 체온과 맥박”(「업어주는 사람」)을 품은 그들은 어디에서든 생명을 만들어낼 것이다. 그 전범으로부터 우리의 내일을 그려보는 일이야말로 바로 시가 해낼 수 있는 가장 정직한 소임이라는 것이 시인의 올곧은 믿음이다.
시인은 ‘오직 사람 아닌 것’들을 통해 독자에게 말을 건넨다. 사회적 존재라던 사람은 과연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가. “사람을 탕진하고”(「빈자리」) “막막한 벽과/ 겸상”(「혼밥」)하면서, “마지막까지 무례한 삶”(「가지런히 벗어놓은 신발 한 켤레」)이 강요하는 “고독이라는 맹독성 침묵”을 견디지 못한 채 “뭍에서 물속으로 들어”(「고독의 진화」)가거나 사람이 된 것을 후회하지는(「곰으로 돌아가는 사람」) 않는가. 하여 시인은 다시 통렬하게 묻는다. 자연의 정경 속에서 누구보다도 생명답게 살아가는 존재들이 누구인지. 드러나지 않은 채로 묵묵히 자신의 일을 했기 때문에 사람에게 외면받았던 이들 ‘사람 아닌 것’들이 볏단처럼 서로에게 기대어 만들어내는 조화가 시집에 있다. 이들에게 사람이 다시 배울 수 있다면 어떨까. ‘사람 아닌 것’들이 사람을 일으켜세우기 위해 다가오고 있다.
가장 오래된 것이 가장 새로운 것이다. 농촌의 이야기는 너무나 익숙하여 상투성과 고정관념에 빠지기 쉽지만, 어떻게 접근하느냐에 따라 새롭고 낯선 미적 지평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 시집은 보여준다. 그만의 시각과 인식으로 내면을 파고드는 시간의 침습을 이겨냈다는 것이다. 낙원에서 실낙원으로, 다시 복낙원으로 이행하는 감각과 의식의 극적인 변화가 시의 바탕을 형성해왔다. 프루스트의 ‘마들렌 과자’가 폭발시킨 감각의 세계처럼, ‘나’와 ‘나’를 넘어선 본향의 이야기를 그 바탕 위에서 감각하고 발굴해낸다면, 어떤 개념으로도 묶을 수 없는 낯선 장르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_이순현 해설, 「발굴하는 자와 발굴되는 자」 부분
맑은 정오, 항아리에 이슬 내린 물이 가득 차올라 있었다
눈이 퀭한 짐승이 그 안에 비친 검은 그림자를 들여다보았다
산 너머 사리 바다에서 물고기 우는 소리가 종일토록 넘어왔다
먼길을 돌아 일 년 만에 지상에 내려온 누님 발등이 소복이 부어 있었다
_「백중(百中)」 부분
이덕규는 실로 ‘정경(情景)’의 전문가라 할 만하다. “오색 관을 쓴 새”가 항아리 속을 들여다보는 풍경으로부터 길어올려지는 서러운 서글픔이 있다. 시인은 어미 새가 아기 새에게 먹이를 전해주듯 감정을 반죽으로 넘겨주기보다, 풍경을 통해 정서를 간접적으로 일으킨다. 그제야 밝혀지는 것은 애타는 그리움의 정서가 대상에 빗대어 암시될 때 독자의 마음속에 파문이 자생한다는 것이다. 사람마다 가지각색인 억양과 강세, 음의 진동과 고저, 즉 그 자신의 고유한 목소리로 새겨지는 정서는 감정을 돋을새김한다. 시인은 그러한 새김만이 시의 경지이고 책무이며 정직한 수행이라고 여기는 듯하다.
그렇게 시집은 시적인 정경을 담아낸다. 시인은 “가마니를 치는 때 맞춰 첫눈이 오고 꿩과 토끼들이 사람의 마을 가까이로 내려오는”(「때와 일」) 것처럼 자연과 사람이 어우러져 빚어내는 삶을 주목한다. “내가 그리고 우리가 감히 물물교환 시대를 살았던 그때”(「우리, 오래된 미래」)의 모습들은 우리가 잊고 잃은 천성이기도 하다. 다만 시인이 읊는 정경은 과거를 향하는 맹목이나 자조적인 회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시는 그 시절을 아는 이에게는 익숙하고 그리운 기억을 묘사하는 언어가 되고, 지금 그 삶을 살아가는 이들에게는 그의 손이 일구어내는 연대기를 그려내며, 아직 경험해본 적 없는 이에게는 “깊은 물속에 하루쯤 가라앉아 쉬고 싶은”(「고독의 진화」) 지친 몸과 마음을 보듬는 본향이 되어준다.
장마 끝에 온갖 벌레와 곤충이 울었고 처음 보는 꽃들이 은하수처럼 무더기무더기로 흘러갔다
사라졌던 것들이 짝을 맞춰 돌아왔다
어디서 오는지 알 수 없었다
사람들 손이 멈춘 곳
사람 발길이 끊긴 들판 한가운데
묵정논 한 배미가 생명의 섬처럼 떠 있다
농약과 화학비료의 바다에 노아의 방주처럼 떠 있다
_「묵정논」 부분
또한 이덕규는 하나의 삶을 소박하게 내놓는 일에 자족하지도 않는다. 시집의 이곳저곳에는 앞만 바라보는 우리의 발길을 잡아채는 돌부리들이 놓여 있다. 그 서늘한 비판의식 안에 담긴 것은 사라진, 그리고 사라질 존재들에 대한 염려다. 사람이 구조에 더 효율적으로 복무하기 위해 저버리고 내던져버린 것들이 있다. 그러나 정작 사람이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는 가능성은 우리가 저버린 ‘오래된 미래’에 있었다는 깨달음을 시인은 간곡히 전한다. “사람 발길이 끊긴” 묵정논이 오히려 온갖 생명의 보고가 되어준 실상을 환기하며, 시인은 “흙 묻은 사람들”(「흙 묻은 맨발들의 저문 노래」)의 발걸음이 향하는 곳을 그려본다. “다른 이들의 체온과 맥박”(「업어주는 사람」)을 품은 그들은 어디에서든 생명을 만들어낼 것이다. 그 전범으로부터 우리의 내일을 그려보는 일이야말로 바로 시가 해낼 수 있는 가장 정직한 소임이라는 것이 시인의 올곧은 믿음이다.
시인은 ‘오직 사람 아닌 것’들을 통해 독자에게 말을 건넨다. 사회적 존재라던 사람은 과연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가. “사람을 탕진하고”(「빈자리」) “막막한 벽과/ 겸상”(「혼밥」)하면서, “마지막까지 무례한 삶”(「가지런히 벗어놓은 신발 한 켤레」)이 강요하는 “고독이라는 맹독성 침묵”을 견디지 못한 채 “뭍에서 물속으로 들어”(「고독의 진화」)가거나 사람이 된 것을 후회하지는(「곰으로 돌아가는 사람」) 않는가. 하여 시인은 다시 통렬하게 묻는다. 자연의 정경 속에서 누구보다도 생명답게 살아가는 존재들이 누구인지. 드러나지 않은 채로 묵묵히 자신의 일을 했기 때문에 사람에게 외면받았던 이들 ‘사람 아닌 것’들이 볏단처럼 서로에게 기대어 만들어내는 조화가 시집에 있다. 이들에게 사람이 다시 배울 수 있다면 어떨까. ‘사람 아닌 것’들이 사람을 일으켜세우기 위해 다가오고 있다.
가장 오래된 것이 가장 새로운 것이다. 농촌의 이야기는 너무나 익숙하여 상투성과 고정관념에 빠지기 쉽지만, 어떻게 접근하느냐에 따라 새롭고 낯선 미적 지평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 시집은 보여준다. 그만의 시각과 인식으로 내면을 파고드는 시간의 침습을 이겨냈다는 것이다. 낙원에서 실낙원으로, 다시 복낙원으로 이행하는 감각과 의식의 극적인 변화가 시의 바탕을 형성해왔다. 프루스트의 ‘마들렌 과자’가 폭발시킨 감각의 세계처럼, ‘나’와 ‘나’를 넘어선 본향의 이야기를 그 바탕 위에서 감각하고 발굴해낸다면, 어떤 개념으로도 묶을 수 없는 낯선 장르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_이순현 해설, 「발굴하는 자와 발굴되는 자」 부분
오직 사람 아닌 것 - 문학동네 시인선 189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