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저자는 국립박물관에서 기와를 전공한 연구자로, 귀신의 얼굴을 무섭게 장식한 귀면기와에 대한 남다른 관심을 갖고 있었다. 기와는 고대부터 목조건물의 지붕을 덮는 주요 건축 부재로 사용되었으며, 방수, 방화, 내구성 및 미관적인 요소를 겸비한 중요한 자재였다. 특히, 기와에 새겨진 문양들은 당시 사람들의 길상과 벽사, 불교적인 염원을 표현하며, 행복과 건강, 자손의 번영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었다.
귀면은 대개 앞을 주시한 정면관으로 표현되며, 송곳니와 앞니를 드러낸 무서운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귀기(鬼氣)가 서린 이 얼굴은 눈이 튀어나오고 두 눈썹이 치켜졌으며, 콧구멍이 뚫린 코와 소처럼 솟은 귀, 이마에 돋아난 뿔 등 강력한 인상을 남겼다. 이러한 귀면은 재앙을 막고 사귀를 쫓는 벽사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며, 옛사람들은 이를 두려워하면서도 신성한 얼굴로 여기며 지혜롭게 활용했다.
2009년 정년 이후 귀면기와에 관한 작은 책을 준비했으나, 연구 과정에서 귀면이 기와와 전돌 외에도 다양한 고대 및 고려 시대의 유물, 미술품 등에 장식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이에 전국 수백 곳의 유적과 사찰, 고택을 조사하며 자료를 집성하였고, 700여 점의 귀중한 자료를 확보하여, 귀면기와뿐만 아니라 한국의 다양한 귀면 장식을 다룬 『한국의 귀면』을 출판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한국 문화에서 귀면이 차지하는 비중과 위상을 실감하게 한 중요한 작업이었다.
『한국의 귀면』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장식된 다양한 귀면 자료를 총망라하고, 각 시대별로 귀면의 사용처와 변천 과정을 분석했다. 특히, 조선 후기의 귀면 장식은 현지에 많이 보존되어 있어 그 실태와 특성을 심도 있게 살펴보았다. 또한, 귀면의 개념, 관련 용어, 도깨비, 용면, 치우, 키르티무카 등의 유사 개념을 폭넓게 검토하였다. 이 책은 귀면 연구의 전모를 제시하며, 한국의 건축과 문화에서 귀면이 차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밝혀냈다.
귀면은 대개 앞을 주시한 정면관으로 표현되며, 송곳니와 앞니를 드러낸 무서운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귀기(鬼氣)가 서린 이 얼굴은 눈이 튀어나오고 두 눈썹이 치켜졌으며, 콧구멍이 뚫린 코와 소처럼 솟은 귀, 이마에 돋아난 뿔 등 강력한 인상을 남겼다. 이러한 귀면은 재앙을 막고 사귀를 쫓는 벽사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며, 옛사람들은 이를 두려워하면서도 신성한 얼굴로 여기며 지혜롭게 활용했다.
2009년 정년 이후 귀면기와에 관한 작은 책을 준비했으나, 연구 과정에서 귀면이 기와와 전돌 외에도 다양한 고대 및 고려 시대의 유물, 미술품 등에 장식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이에 전국 수백 곳의 유적과 사찰, 고택을 조사하며 자료를 집성하였고, 700여 점의 귀중한 자료를 확보하여, 귀면기와뿐만 아니라 한국의 다양한 귀면 장식을 다룬 『한국의 귀면』을 출판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한국 문화에서 귀면이 차지하는 비중과 위상을 실감하게 한 중요한 작업이었다.
『한국의 귀면』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장식된 다양한 귀면 자료를 총망라하고, 각 시대별로 귀면의 사용처와 변천 과정을 분석했다. 특히, 조선 후기의 귀면 장식은 현지에 많이 보존되어 있어 그 실태와 특성을 심도 있게 살펴보았다. 또한, 귀면의 개념, 관련 용어, 도깨비, 용면, 치우, 키르티무카 등의 유사 개념을 폭넓게 검토하였다. 이 책은 귀면 연구의 전모를 제시하며, 한국의 건축과 문화에서 귀면이 차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밝혀냈다.
한국의 귀면 : 환상적인 신의 얼굴
$6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