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도덕경』은 춘추시대 철학자 노자가 기록했다고 알려진 도가의 경전이다. 도가에서는 세계의 근원이자, 세계를 주재하며 돌아가게 하는 것을 각각 ‘도’와 ‘덕’이라 일컫는다. 『도덕경』에는 노자가 벼렸던 이 도와 덕에 대한 가르침이 여실히 담겨 있다. 세계 주요 종교의 교리 그리고 서양철학과도 상통하는 점이 많은 『도덕경』은 오랜 시간이 흘렀음에도 다양한 역본으로 출간되어 많은 사람에게 가닿고 있다.
세창명저산책 시리즈 102번 『도덕경 읽기』는 『도덕경』에 담긴 노자의 철학적 혜안을 들여다보는 데 유용한 도움을 줄 수 있는 해설서이다. 독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저자의 번역과 해설뿐만 아니라 왕필본 원문까지 장마다 맨 앞에 함께 배치했다. 총 81장으로 구성된 『도덕경』 전문과 저자의 해설을 이 한 권을 통해 만나 볼 수 있다. ‘있음[有]’의 차원에만 입각하여 사유하는 사조를 거슬러 ‘없음[無]’의 철학을 제시한 노자. 그의 가르침은 우승열패와 적자생존이라는 삶의 방식에 입각해서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적잖은 반성과 통찰을 건네줄 것이다.
노자, 역설로 진리를 설파하는 철학자
노자의 사상은 ‘무위(無爲)’, 즉 ‘아무것도 하지 않음’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인위에 의한 유위(有爲)로 세상일에 관여하지 말고, 모든 것이 자연히 흘러가도록 내버려 두라는 말이다. 인위적으로 무엇을 하지 않기 때문에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어떤 것도 하지 않음이 세계를 바르게 흘러가도록 하는 원리가 된다는 것이다. 이는 자기를 내세우지 않는, 즉 자기중심적으로 행하지 않는 ‘불자(不自)~’의 논리와도 직결된다. 물도 하늘도 모두 자신을 위해 무엇인가를 하지 않기 때문에 오래도록 존속한다고 노자는 말한다. 유위와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는 생존 방식이 노자가 말하는 ‘도(道)대로 살아감’이다. 이 밖에도 노자는 유와 무, 강함과 약함, 굳셈과 부드러움, 참과 빔 같은 대극의 개념을 우리가 일상에서 마주하는 요소들에 빗대어 가르침을 펼쳐 나간다.
허정(虛靜) 사상으로 한국 사회의 병폐를 진단하다
노자는 『도덕경』의 첫 장에서 인간이 근본적으로 지닌 인식의 한계를 지적한다. 인간은 인식 너머에 있는 ‘도’를 완전하게 인식할 수 없다. 이러한 인식의 한계로 인해 개인은 타인의 입장 또한 오롯하게 이해할 수 없다. 서로의 부족함을 이해하고 보완해 주며 살아가는 방식이 노자의 가르침에 부합하지만, 인식의 한계를 자각하지 못하는 인간은 견해차를 오로지 타인의 문제로 전가하면서 대립과 분열을 초래한다.
수십 년간 동양철학을 연구해 온 저자 김진근 교수는 노자의 철학을 통해 경쟁으로 얼룩진 한국 정계와 교육 문화의 단면을 과감하게 드러낸다. 그는 노자가 말하는 텅 빔과 고요함, 즉 ‘허정’을 깨우친 존재만이 포용의 자세로 세계에 다가갈 수 있다고 말한다. 자기중심성이 해소된 영역에 배타와 배제는 설 자리가 없고, 유위의 기치를 내걸고 세상을 자기가 의도하는 쪽으로 몰아가려 함도 없다. 모든 것을 저절로 그러하도록 내버려 둘 뿐이다. 그 첫걸음은 텅 빔과 고요함을 이루는 것이다.
세창명저산책 시리즈 102번 『도덕경 읽기』는 『도덕경』에 담긴 노자의 철학적 혜안을 들여다보는 데 유용한 도움을 줄 수 있는 해설서이다. 독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저자의 번역과 해설뿐만 아니라 왕필본 원문까지 장마다 맨 앞에 함께 배치했다. 총 81장으로 구성된 『도덕경』 전문과 저자의 해설을 이 한 권을 통해 만나 볼 수 있다. ‘있음[有]’의 차원에만 입각하여 사유하는 사조를 거슬러 ‘없음[無]’의 철학을 제시한 노자. 그의 가르침은 우승열패와 적자생존이라는 삶의 방식에 입각해서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적잖은 반성과 통찰을 건네줄 것이다.
노자, 역설로 진리를 설파하는 철학자
노자의 사상은 ‘무위(無爲)’, 즉 ‘아무것도 하지 않음’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인위에 의한 유위(有爲)로 세상일에 관여하지 말고, 모든 것이 자연히 흘러가도록 내버려 두라는 말이다. 인위적으로 무엇을 하지 않기 때문에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어떤 것도 하지 않음이 세계를 바르게 흘러가도록 하는 원리가 된다는 것이다. 이는 자기를 내세우지 않는, 즉 자기중심적으로 행하지 않는 ‘불자(不自)~’의 논리와도 직결된다. 물도 하늘도 모두 자신을 위해 무엇인가를 하지 않기 때문에 오래도록 존속한다고 노자는 말한다. 유위와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는 생존 방식이 노자가 말하는 ‘도(道)대로 살아감’이다. 이 밖에도 노자는 유와 무, 강함과 약함, 굳셈과 부드러움, 참과 빔 같은 대극의 개념을 우리가 일상에서 마주하는 요소들에 빗대어 가르침을 펼쳐 나간다.
허정(虛靜) 사상으로 한국 사회의 병폐를 진단하다
노자는 『도덕경』의 첫 장에서 인간이 근본적으로 지닌 인식의 한계를 지적한다. 인간은 인식 너머에 있는 ‘도’를 완전하게 인식할 수 없다. 이러한 인식의 한계로 인해 개인은 타인의 입장 또한 오롯하게 이해할 수 없다. 서로의 부족함을 이해하고 보완해 주며 살아가는 방식이 노자의 가르침에 부합하지만, 인식의 한계를 자각하지 못하는 인간은 견해차를 오로지 타인의 문제로 전가하면서 대립과 분열을 초래한다.
수십 년간 동양철학을 연구해 온 저자 김진근 교수는 노자의 철학을 통해 경쟁으로 얼룩진 한국 정계와 교육 문화의 단면을 과감하게 드러낸다. 그는 노자가 말하는 텅 빔과 고요함, 즉 ‘허정’을 깨우친 존재만이 포용의 자세로 세계에 다가갈 수 있다고 말한다. 자기중심성이 해소된 영역에 배타와 배제는 설 자리가 없고, 유위의 기치를 내걸고 세상을 자기가 의도하는 쪽으로 몰아가려 함도 없다. 모든 것을 저절로 그러하도록 내버려 둘 뿐이다. 그 첫걸음은 텅 빔과 고요함을 이루는 것이다.
『도덕경』 읽기
$1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