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놀이, 축제, 세시풍속, 통과의례

민속놀이, 축제, 세시풍속, 통과의례

$29.72
Description
『한국민속학 학술총서』에는 『한국민속학』 21호(1988년)부터 40호(2004년)까지 실린 논문들과 『한국민속학보』 3호(1994년)부터 11호(2000년, 폐간)까지 발표된 논문들 중 편집위원회가 주제별로 구분하여 엮었다. 총 9권으로 기획되었으며 제1권은 설화, 제2권은 민속예술, 제3권은 민속놀이ㆍ축제ㆍ세시풍속ㆍ통과의례 제4권은 무속신앙, 제5~6권은 민간신앙, 제7권은 가요ㆍ언어, 제8권은 생업ㆍ의식주ㆍ물질문화 그리고 제9권은 민속이론ㆍ비교민속으로 이루어졌다. 총 158편의 논문이 수록되었다.
저자

한국민속학회

지은이:한국민속학회
<한국속담집>
  

목차

『한국민속학학술총서』발간에붙여

민속놀이,축제
세시(歲時)놀이의성상징체계(性象徵體系)/윤광봉
1.서론
2.N.프라이의신화구조
3.줄다리기의상징체계
4.여성만의놀이인놋다리밟기
5.동채놀이의경우
6.수영야유의경우
7.결론
강강술래의역사와놀이구성에관한고찰/이윤선
1.서론
2.강강술래의기원과원무(圓舞)
3.강강술래및여흥놀이의의미와분포권
4.현행강강술래놀이의구성분석
5.결론
민속놀이의주술적의도와생산적구실/임재해
1.농겨문화와민속놀이의생산성
2.'두레일놀이'의신명이지닌생산기능
3.주술적인식의한계와해석학적지평융합
4.줄당기기와'풍농굿놀이'로서성행위양식
5.사람의마음을읽는식물의지각능력
6.생명력을부추기는성행위굿의생산성
7.유감주술적행위의과학적개연성
8.풍농굿놀이의시기와보름달의생생력
9.모의적성행위양식과놀이의성격
10.세계관적인식의변화와실천의문제
11.기존연구의이용과연구사의진전
12.주술의과학성과과학의주술성
원전(原典)과변환(變換)-도시축제로서제주입춘굿놀이의문제와가능성-/한양명
1.머리말
2.원전-전통사회의입춘굿
3.변환-도시축제로서탐라국입춘굿놀이
4.비평과제언
초남(樵南)이계수(李啓秀)의차전가(車戰歌)를통해본19세기의안동차전(安東車戰)/한양명
1.머리말
2.초남이계수
3.차전가
4.19세기의안동차전
5.시간여행(時間旅行)
6.맺음말
한국의나례양상과나희형성연구/황경숙
1.서론
2.한국의나례양상
3.나희의형성
4.결론

세시풍속
세시의식에표현된가족관과사회관/류종목
1.서론
2.혈연의식과지연의식의특성
3.지연의식의이중성
4.세시의식의가족관과사회관
5.결론
돈황의세시풍속/윤광봉
1.서론
2.돈황사시절령풍속개요
3.돈황의춘절행사
4.결론
백중의기원과성격-농경기원신화
<세경본풀이>
와의상관성을중심으로-/이수자

1.서론

2.민속전반에걸쳐나타나는백중의양상

3.농경기원설화
<세경본풀이>
의내용과의의

4.제주도무속신화
<세경본풀이>
의문화사적위상

5.백중의기원및성격

6.결론

설민속의형성근거와‘시작’의시간인식/임재해

1.역법의변화와본디설의전통

2.‘설’의명칭과낯선시간정월초하루

3.새해새날이자으뜸날로서‘설’의어원

4.최초의례로서‘설’과나이를일컫는‘살’

5.한해를시작하는의식‘세배’와‘차례’

6.섣달그믐날의‘묵은세배’와작별의의식

7.섣달그믐날의‘까치설날’과‘설빔’

8.절식으로먹는‘떡국’의상징성과기능성

9.설민속과‘처음’또는‘시작’의시간인식



통과의례

종가의사당을통해본조상관/배영동

1.서론

2.종가의사당건립과조상배향

3.사당의위치와형태를통해본조상관

4.감실과신주를통해본조상관

5.사당출입과의례를통해본조상관

6.결론

조선전기의출산·생육관련민속-묵재이문건의『묵재일기』·『양아록』을중심으로-/이복규

1.서론

2.『묵재일기』·『양아록』에나타난조선전기출산·생육관련민속의양상

3.결론:『묵재일기』·『양아록』소재(所載)출산·생육관련기록의특징과의의

한국조상의두얼굴:조상덕과조상탓-유교와무속의조상의례의비교-/임돈희

1.서론

2.유교의기제사와무속의조상거리의비교

3.한국의가족관계와조상의례

4.결론

호남지역상장례(喪葬禮)와구비문학에나타난죽음관/표인주

1.서론

2.죽음관의개념

3.상장례에투영된죽음관

4.상여소리에나타난공간인식

5.당신화에반영된타계관

6.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