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논 - 정암고전총서 플라톤 전집

메논 - 정암고전총서 플라톤 전집

$14.20
Description
탁월함이란, 그리고 배움이란 과연 무엇인가?
-논증적이고 배판적인 탐구로서의 철학의 전형을 간결하고도
압축적인 언어로 보여주는, 소크라테스식 문답법의 매력이 담뿍 담긴 대화편
프로타고라스와 고르기아스, 소크라테스의 차이점을 극적으로 묘사

그리스의 아테네가 민주주의의 발흥과 함께 사회변동을 겪던 기원전 5세기. 구시대의 가치와 삶이 도전에 직면하자 소피스트들이 교육에 대한 시대의 필요와 수요를 충족시키고자 등장한다. 그러나 이들은 인간이 추구해야 할 보편적 가치보다는 민주주의라는 특정한 정치형태에 적합한 인간의 양성에만 몰두한다. 소크라테스 역시 이와 같은 시대의 흐름 속에서 출현했다. 그러나 소피스트와 소크라테스는 서로에 대한 비판과 견제를 통해 각자의 철학적 이상을 펼치기 시작했다.
가령 소피스트들 내부에서 프로타고라스는 정치적 탁월함의 교사를 자처하고 고르기아스는 가르치는 교사가 아닌 설득하는 수사학자로서 자신의 역할을 강조한다. 소크라테스는 얼핏 보면 고르기아스에 가깝게 보이지만, 자신이 왜 고르기아스와 다른 철학자인지 보여주는 데 혼신의 노력을 기울인다. 그리스 철학의 미시적 전개사에서 보면 이들의 입장은 확연히 차이가 난다. 『메논』은 이 세 철학자들 간의 차이의 양상과 논쟁의 초점이 어디에 있는지를 극적으로 묘사하는 대화편이다.

저자

플라톤

저자:플라톤
펠로폰네소스전쟁시기에태어나아테네가그전쟁에패하는현실을보았다.대내적으로는여러정변을목격했고,큰기대를가졌던민주정권시기에는그가보기에“가장훌륭하고가장지혜로우며가장정의로운사람”인소크라테스가불경죄로처형되는현실을안타깝게지켜보았다.그리하여그는한창나이에가졌던정치가의꿈을접고아테네의암울한현실을타파할수있는근본적인대책을강구하고자했다.이를위해그가선택한것이철학자의길이었다.그는현실과무관한이데아론으로관념적인사변의세계에빠져있다는오해를받기도하지만그의관심의중심은늘현실에있었다.형이상학적인이론들도결국현실을근원적으로통찰하고개선하려는노력의일환이었다.그의정치철학의핵심을담고있는대표적인대화편으로는《국가》와《정치가》및《법률》을꼽을수있다.

역자:이상인
연세대학교철학과와동대학원을졸업한후독일마인츠대학과마르부르크대학에서고전문헌학과철학을연구했다.마르부르크대학에서박사학위를취득했으며,현재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철학과교수로있다.저서로는AnamnesisimMenon.Platons?berlegungenzuM?glichkeitundMethodeeinesdenIdeengem?βenWissenserwerbes(2001),『플라톤과유럽의전통』(2006),『진리와논박.플라톤과파르메니데스』(2011)가있고,번역서로는『고대와근대의논쟁들.문제로읽는서양철학사』(2017)가있으며,그외그리스철학에관한논문을다수발표했다.

목차

‘정암고전총서’를펴내며5
‘정암학당플라톤전집’을새롭게펴내며9
작품내용구분14
등장인물15
일러두기18
본문21
주석99
작품안내153
참고문헌189
찾아보기
한국어-그리스어201
그리스어-한국어222
고유명사232
옮긴이의말233

출판사 서평

『메논』은또하나의‘소크라테스의변명’

『메논』의주제는탁월함의획득방식에대한질문이다.탁월함이가르침이나배움을통해획득될수있는지,그리고탁월함의교사가있는지에대한질문은아테네철학자와교육자의화두였다.따라서플라톤은『메논』에서스승인소크라테스가이주제와관련하여프로타고라스와고르기아스,그리고아뉘토스와대결하는철학적방식의고유성을밝히고자했다.이들이탁월함의가르침과배움을개념적으로이해하는데의견의불일치를보이는이상,이러한불일치를극명하게드러내고가능하면해소하는것은플라톤에게있어서‘나쁜교육자’로낙인찍혀처형된소크라테스의죽음을변론하는작업이자그가보여준철학의진정한가치와역량을드러내는일이기도했다.결국『메논』은소크라테스가당대에어떤의미의교사였고어떤의미의교사이길거부했는지를해명하는또하나의‘소크라테스의변명’이기도하다.

소크라테스식문답법의대표적실천사례를보여주는『메논』

플라톤의『메논』은‘비판적검토’로서의‘엘렝코스(상대방의확신을논리적으로검증하거나반증하는’합리적검중과비판적검토의기술’)를통한문답법의대표적실천사례를우리에게제공한다.즉소크라테스는탁월함의본질에관한메논의확신을비판적으로검증하고,상기(想起)를배움의본질로규정하는소크라테스자신의확신을노예아이와의대화를통해검증하며,가설에서출발하여탁월함의교육가능성과불가능성을논증적추론을통해방법적으로검증한다.따라서독자들이소크라테스가주도하는문답들을비판적검토와검증과정의측면에서읽는다면대화편의진가를음미할수있을것이다.

작품내용구분

1.도입부:메논의문제제기와소크라테스의제안(70a~71d)
2.‘탁월함이란무엇인가?’:비판적검토(71e~80d)
1)메논의첫째답변:탁월함의여러사례들의열거(71e~73c)
2)메논의둘째답변:‘사람들을지배할수있는것’(73c~74b)
3)‘무엇인가?’물음에대한소크라테스의해명:‘형태’와‘색깔’의예(74b~77b)
4)메논의셋째답변:‘훌륭한것들을욕구하면서획득할수있는것’(77b~79e)
5)메논의난관과‘전기가오리’의비유(79e~80d)
3.‘배움이란무엇인가?’:상기(80d~86c)
1)메논의논쟁적반론:‘메논의난제’(80d~80e)
2)‘탐구와배움은모두상기이다.’(81a~82a)
3)상기의기하학적예시(82a~86c)
4.‘탁월함은가르쳐질수있는것인가?’:가설의방법(86c~100b)
1)가설의방법의기하학적예시(86c~87c)
2)‘탁월함이인식이라면,탁월함은가르쳐질수있는것이다.’(87c~89c)
3)‘탁월함의교사가없다면,탁월함은가르쳐질수있는것이아니다.’(89c~96c)
4)‘탁월함이올바른확신이라면,탁월함은신적인섭리에의해생기는것이다.’(96d~100b)
5.처음부터다시,‘탁월함은무엇인가?’(100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