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천이성비판

실천이성비판

$25.97
Description
칸트철학의 전 체계를 지탱해주는 윤리적 모티브, 『실천이성비판』
『실천이성비판』(1판 2002/ 개정판 2009)을 새롭게 다듬어 편집한 개정2판이 출간되었다. 『실천이성비판』과 더불어 칸트 도덕철학 3부작이라 할 수 있는 『윤리형이상학 정초』(한국어 칸트전집 06)와 『윤리형이상학』(한국어 칸트전집 12)이 출간됨에 따라 『실천이성비판』의 부록에 담았던 칸트 철학 개요 및 도덕철학의 개괄적 소개가 불필요한 것으로 보여 삭제하고 전체 분량을 줄이고 내용의 일부분을 수정했다.

저자

임마누엘칸트

저자:임마누엘칸트
역자:백종현

목차

제1부『실천이성비판』해제
『실천이성비판』해제15
저술배경15
『실천이성비판』의성격과『순수이성비판』과의관계18
칸트도덕철학안에서『실천이성비판』의위치19
『실천이성비판』의대강21
칸트도덕철학의주제21
순수실천이성의분석학22
:실천이성의자율성과인격의존엄성
순수실천이성의변증학26
:‘최고선’의이념
지식학에서지혜론으로32
해제와주해에서한국어제목을사용한칸트원논저제목[약호],이를수록한
베를린학술원판전집[AA]권수(와인용역본)35
칸트도덕철학관련주요문헌39

I.원전의주요판본39
II.『실천이성비판』을위한보충자료42
III.도덕철학에관한칸트의여타저작들43
1.칸트에의해출간됐거나출간기획된저술및그해당부분43
2.칸트유고44
3.기타강의록45
4.칸트가보내고[An]받은[Von]서간들45
IV.연구보조서46
1.서지(書誌)46
2.잡록(雜錄)49
V.집류(集類)및대회보50
VI.칸트윤리이론형성과관련깊은저술들52
VII.연구논저54
1.『실천이성비판』연구논저54
1)주석서및입문서54
2)주제별연구논저56
2.종합연구서67
3.윤리학중심연구논저69
4.종교철학중심연구논저73
5.법철학·정치철학·사회철학관련연구논저76
6.영향및발전사연구논저77
7.한국어연구논저78

제2부『실천이성비판』역주
역주의원칙87
유사어및상관어대응번역어90
『실천이성비판』번역및주석105
찾아보기335
일러두기337
인물찾아보기338
개념찾아보기340

출판사 서평

일생에단한권의책을읽어야한다면?그것은바로칸트의『실천이성비판』

옮긴이는「책을내면서」에서“인간의삶과종교의특별한관계로인해사람들이경전을가까이하게되는경우는별도로하고,일반교양인이만약일생에단한권의책만을읽어야하는상황에놓일경우,읽어야할책은무엇일까?자문할때그것은바로칸트의『실천이성비판』”이라고말한다.그만큼칸트의『실천이성비판』은이상(理想)에비추어보면미천하기그지없는인간이그럼에도“왜존엄한가?”,“어떻게하면그존엄성을지켜갈수있는가?”를일러주고있기때문이다.

우리는『실천이성비판』에서저유명한경구,즉“그에대해서자주그리고계속해서숙고하면할수록,점점더새롭고점점더큰경탄과외경으로마음을채우는두가지것이있다.그것은내위의별이빛나는하늘과내안의도덕법칙이다”라는,후세사람들이칸트를기념하는동판에새겨넣기도한『실천이성비판』의맺음말첫대목을만날수있다.이절제된말은칸트가우리에게진심으로일깨우고자한내용을압축적으로표현한다.

칸트실천이성비판주요내용

칸트철학을통해서양근대철학이극적인변화를맞게되었다는것은주지의사실이다.이것은『순수이성비판』의출간과더불어생긴이론철학영역내에서의변화에만국한된것은아니다.이변화는실천철학의영역인윤리학에서도일어났다.과학적지식이엄청난발전을이루고있었던당시에,그추진력의모체인인간의이론이성에비판과한계를설정하고,그것이실천이성의체계에포함되지않으면안된다는칸트의윤리사상은아리스토텔레스의윤리학과함께서양윤리학논의에서가장중요한축으로자리잡는다.또한서양윤리학사에서차지하는비중만큼이나칸트윤리학을지칭하는표현들또한적지않다.형이상학윤리,규범윤리,법칙주의윤리,의무론적윤리,엄숙주의윤리,동기주의윤리,준칙윤리,형식주의윤리등칸트윤리학의성격을표현하는다양한표현들은칸트윤리학이이제까지얼마나다양하게해석되고이해되어왔는가를짐작할수있게한다.바로이러한사상적핵심을담고있는책이그유명한『실천이성비판』이다.

『실천이성비판』에서칸트는윤리적실천의문제를독특한방법론으로다룬다.그는단순히이론을설득력있게제시하여사람들로하여금그이론에따라서행동하도록하는일반적인윤리학적전략을버리고,인간이성이궁극적으로요구하는근본적체계(건축술)가단순히이론만으로는완성될수없으며,반드시실천이전제되어야한다는것을증명하려노력하였다.인간의행위를윤리적으로만드는자유도이론적으로증명될수없고구체적으로실행에옮겨야가능하게되는것이다.그래서칸트는윤리적실천을그의초이론적이성체계의불가결한요소로요구한다.결국실천이동반되지않는윤리,즉단순히하나의이론적유희로만이루어지는윤리학은이론적으로도성립될수없음을보여준다.이러한의미에서칸트의윤리학적모티브는형이상학,인식론,미학,인간학뒤에가려진부차적인부분이아니라칸트사상전체계를지탱해주는필수불가결한전제조건이라할수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