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르마 - 대원불교 학술총서 20

까르마 - 대원불교 학술총서 20

$15.61
Description
누군가 엄청 좋은 일이 생겼을 때 흔히 ‘전생에 나라를 구했나?’라는 말을 사용하곤 한다. 여기서 ‘전생’은 ‘윤회’, 좋은 일은 ‘업보’에 해당한다. 이 업보와 윤회가 까르마가 가진 두 가지 핵심적인 의미이다. 이처럼 이 책은 언제부터인가 현대인에게 일상적인 단어가 된 ‘까르마’에 대해 역사적, 문화적, 종교적 맥락을 명료하면서 자세하게 탐구한 책으로, 텍스트 원본을 세밀하게 검토하면서 ‘업보’와 ‘윤회’라는 두 의미가 인도의 여러 철학 학파에 의해 어떻게 기원되고 전개되고 통합되었는지 분석하였다!

저자

요하네스브롱코스트

저자:요하네스브롱코스트(JohannesBronkhorst)
1946년네덜란드에서태어났으며,암스테르담의프레이대학교에서물리학과수학을공부하다가인도의라자스탄대학교와푸네대학교에서산스끄리뜨,빨리문법을시작으로인도학연구에입문했다.스위스로잔대학교에서산스끄리뜨어및인도학교수를역임했으며,현재로잔대학교명예교수이다.그는산스끄리뜨문법학,언어철학,인도철학,베다학,불교,자이나교등인도학과관련하여괄목할만한연구성과를냈다.대표적저서로는『GreaterMagadha』(2007),『BuddhistTeachinginIndia』(2009),『LanguageandReality』(2011),『BuddhismintheShadowofBrahmanism』(2011),『HowtheBrahminsWon』(2016),『AabdaReader:LanguageinClassicalIndianThought』(2019)등이있다.

역자:최경아
인도푸네(Pune)대학교에서철학박사(인도철학ㆍ인도불교학전공)를받았다.경상대학교인문학연구소연구원을역임했으며,현재동국대학교다르마칼리지강사로있다.

목차

발간사5
편집자서문7
저자서문15
역자서문19

서론27

I.정통까르마31
제1장기원및종교적쓰임새33
제2장대마가다와그이후의까르마39
자이나교42
아지비까49
자아에대한지식54
불교57
제3장브라만교에서의까르마74
베다문헌에서의부재77
브라만교의반격81
브라만교에서의수용83
제4장까르마와철학104
까르마와불교철학111
까르마와브라만철학117
자이나교의까르마에대한이론적전용(轉用)128
이론적난점과그해법132

II.까르마의다른형태151
제5장공덕의회향153
제6장까르마의경쟁자들161
제7장한생에서다음생으로171
자이나교172
불교174
브라만전통177
제8장신애(bhakti)180

최종논평189
인도아대륙밖에서의전개189
이모든것은무엇을의미하는가191

추가자료197
찾아보기205

출판사 서평

1.
아시아불교문화권에살고있는우리는일상의삶속에서부지불식간에‘전생’과‘업보’라는표현을종종사용한다.이는그만큼우리의삶과문화안에전생과윤회,그리고윤회하는삶에서지은업보에대한관념이자연스럽게녹아있다는반증이다.그런데윤회와업과그에따른과보에대한개념은어떤관계에있으며,역사적으로그것은어떻게각학파에의해형성되고변화되어왔을까?그리고윤회와업보에있어핵심개념인업,즉까르마는과연무엇이며어떻게작용되는것일까?

이책은까르마(업)라는용어가지니는이중적의미,곧윤회와업보가그역사적ㆍ문화적맥락의중심에있다고본다.이책의저자는까르마란개념을태동시킨인도의학파하나하나,특히자이나교와불교,그리고브라만교의다양한분파가이이중적의미,즉‘윤회’와‘업보’를진지하게수용할때따라오는문제들에대해어떻게대응하는가를흥미롭게묘사함으로써그들의차이점을조명한다.

2.
이책은서구의문화와는다른문화권에서통용되던믿음[사상]을다루고있다.이는바로까르마사상이다.이책에서다루는내용은고대및고전인도문화의까르마에관한것이며,현대서양문화에서일반적으로말하는인과응보로서의‘karma’에관한것은아니다.따라서이책은까르마라는오래된개념을통해동양과서양이라는서로다른두문화사이의가교역할을할수있을것이다.

이책은먼저까르마에있어‘업보’와‘윤회’라는두주요의미는서로얽혀있다고강조한다.그렇기때문에까르마의인과응보적측면에서벗어나고생사윤회의고리또한끊는방법을모색한사상가들에게우리는공감하게될것이다.저자인브롱코스트는이를위해자이나교,불교및브라만교의여러학파들이개발한다양한방법들을상세히설명하고있다.그는이와함께업보윤회사상을받아들일때수반되는여러다른퍼즐들을맞추어간다.예를들어선행(善行)에관한치열한철학적논쟁으로갑론을박하는상황에서인과응보적요소는무엇에의해이끌리는가와같은의문점에대해설명해준다.

이책에는자이나교의‘부동(不動)의고행’에대한설명에서불교의자아(무아)개념에대한새로운분석에이르기까지상당히중요한내용이포함되어있다.그리고독자들은까르마의개념과관련하여브라만교의여러주요학파들의교리적차이에대해훨씬더많은내용을접하게될것이다.

한편이책의목적은까르마와관련된다양한형태의믿음과개념에대해그맥락적이해를최대한제공하는것에있다.더큰복합사상체계에명확하게부합되지않는믿음과개념은저자의최소한의해석이곁들여져설명되고있다.이를위해이책은가능한한텍스트가스스로말하도록하는방법을사용하며저자의주관적인해석은최대한배제하고자노력하고있다.왜냐하면지나친‘조력’은현대서양이나인도의전문가가제공하는것일지라도득보다실이많을수있으며,실제로한현대학자가“까르마에대한현대의사변적해석”에대해경고한점을강조하기도한다.

3.
이와같이이책에서보여주는까르마에대한폭넓고깊이있는해설은,과거남아시아인의삶속에서까르마와연계된사상들을생동감있게그려냄으로써이를현재를살아가는우리모두와도연결시켰다는점에서큰의미를지닌다.과거보다훨씬다양한변수가존재하고,공업(共業)의규모가훨씬더확대된현대사회에서‘까르마’의업보윤회사상이주는의미또한훨씬교훈적일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