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지 않아요, 죽지 않아요 : 김재영 법사 불교인생 60년~, 불사不死의 현장 Report!

죽지 않아요, 죽지 않아요 : 김재영 법사 불교인생 60년~, 불사不死의 현장 Report!

$25.58
Description
중년을 넘어선 불자라면 익숙할 「룸비니에서 구시나가라까지」, 「우리도 부처님같이」 등의 저자 무원 김재영 법사의 회고록! 어린 시절부터 80성상의 기록을 담고 있지만, 특히 불교에 입문하여 활동한 60년 불교인생은 개인사를 넘어 현대 한국불교사의 생생한 기록이기도 하다.
가족을 비롯한 개인적인 인연에서부터 선생님으로 재직하면서 만난 인연들과 불교활동을 하면서 만난 인연들, 이 소중한 인연들과의 만남과 헤어짐이 진솔하게 담겨 있으며, 그 관계들 속에서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느낀 감정과 소회, 문제의식 등이 물 흐르듯 전개된다. 그리고 이것은 자연스레 현대 한국불교사의 귀중한 한 조각을 구성한다.

저자

김재영

저자:김재영
1938년마산에서출생.마산상고를졸업하고서울대사범대학에서역사학을전공하였다.이후동국대대학원불교학과에서김동화박사에게서배우고(문학석사),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에서‘초기불교의사회적실천에관한연구’로박사학위를받았다.1984년이후지금까지동방불교대학교수로‘현대포교론’을강의하고있다.
1970년동덕불교학생회를창립한이래‘우리도부처님같이’라는기치를내세우고,청소년청년대학생중심의‘청보리운동’을전개해왔다.「보리誌」,『룸비니에서구시나가라까지』,『우리도부처님같이』를출간하였고,‘연꽃들의행진’‘붓다의메아리’‘판소리佛陀傳’‘전국지도자강습회’‘전국청소년연합수련대회’등을통하여1970∼80년대의한국불교중흥운동을견인해왔다.
2011년국제구호단체‘자비수레꾼’을설립(공동대표),‘캄보디아어린이학교보내기운동’을펼쳐,캄보디아북부오지뽀디봉에초등학교를건립해서5백명의어린이들을가르치고,이어서중학교,공예(고등)학교를세워서지원하고있다.
2013년12명의청보리순례단을이끌고인도8대성지를걷고돌아와부처님의생애를영상으로기록한영상10부작‘붓다석가모니’를발표하고,이를계기로3년과정의‘붓다스터디빠리사학교’를설립하여현재70여명의전법사,‘붓다의사자(如來使)’를배출하였다.
1999년동덕여고명퇴이후지금까지안성죽산도피안사玉川山房에서수행중이다.
주요저서로『룸비니에서구시나가라까지』(불광출판사),『은혜속의주인일세』(불광출판사),『우리도부처님같이』(불일출판사),『초기불교개척사』(도피안사),『붓다의대중견성운동』(도피안사),『초기불교의사회적실천』(민족사)등과빠리사교본으로1집『화엄코리아』,2집『붓다의일생우리들의일생』,3집『새롭게열린다붓다의시대』,4집『붓다는지금도걷고있다』등을펴냈다.

목차

서사(序詞)·5

1편〔옥천-마산시절〕촐촐콸콸촐촐콸콸~,
내몸속에흐르는도전-저항의식·11

1장〔촐촐콸콸~〕내몸속에흐르는고향물소래─13
1.〔합성에서〕촐촐콸콸촐촐콸콸~,지금도귀에쟁쟁한옥천물소래·13
2.〔마산에서〕‘세상을바꾸려는저항의식’~,내가불교하는또하나의DNA·29
3.〔마산상고에서〕마상의억센기질~,불의에맞서는저항정신·37

2장〔격랑속으로〕대학에서~,해병대에서─45
1.〔대학에서〕낭만속에서싹트는역사의식~,‘역사를움직이는힘’무엇일까?·45
2.〔마산거리에서〕4.19혁명의격랑속으로~,‘민주사수’머리띠동여매고·55
3.〔해병대에서〕‘안되면될때까지’~,불굴의해병정신~,고행정신·61
4.‘우리집사람’만나고,‘우리어머니’떠나보내고·76

2편〔동덕불교-청보리시절〕ALegend~,
빛나는전설의현장~,불교사의흐름을바꾸다·85

3장〔방황과각성〕‘죽음’이~,빙산처럼무너져내리다─87
1.‘MilestogobeforeIsleep’~,잠들기전에내가가야할먼길은?·87
2.‘동덕여고’~,내인생의절대적상수·94
3.‘죽음’이~,빙산처럼무너져내리다·100

4장〔부처님친견〕사왓띠성미가라마타강당~,
나는여기서부처님친견하다─108
1.불경~,읽고또읽고~,꿀꺽꿀꺽삼키다·108
2.참선~,앉고또앉고~,점차회의에빠지다·118
3.사왓띠성미가라마타강당~,나는여기서부처님친견하다·125
4.‘본래청정’~,붓다께서‘만인청정’을선포하시다·134

5장〔동덕불교학생회~,작은등불〕동덕불교탄생~,
일대충격~,새로운시대의시작─141
1.1970년7월‘동덕불교’탄생~,충격~,2백여십대들이모여왔다·141
2.1970년여름용주사수련대회~,‘은혜는갚고원수는갚지말라’·150
3.동덕법회~,시민불교운동의플랫폼·171
4.혜명보육원원생들과자매결연~,우리는작은보살행으로불교하다·179

6장〔동덕불교근1천여명결집〕ALegend~,
눈물과피땀으로이뤄낸불교사의아름다운전설─184
1.‘와서보라,들어라,인생이바뀐다’·184
2.몸던지는전법고행9년~,동덕불교근1천여명결집~·191
3.이제그만일어설때가아닌가?걷고걸을때가되지않았는가?·206
4.동덕불교열전~,몸을던지는개척자들이야기·210

7장〔청보리운동의전국적확산〕청보리전사들~,
한국불교중흥운동등불을밝히다─235
1.청보리운동의전개과정·235
2.〔한국불교중흥의등불하나,둘〕「보리誌」와『룸비니에서구시나가라까지』·262
3.〔중흥운동의등불셋,넷〕‘연꽃들의행진’과‘붓다의메아리’~·282
4.〔중흥운동의등불다섯,여섯〕‘청보리송’과‘판소리불타전’~·290
5.성공과좌절~,그조건들~,그래도우리는걷고걷는다·297

3편〔붓다-빠리사시절〕원력탄생-원생~,
원력으로살고원력으로돌아온다·321

8장〔만인견성-만인불사〕‘죽지않아요죽지않아요’~,
아픔속에서만난불사의소식─323
1.33년동덕의꿈을접고~,안성도피안사로들어오다·323
2.L.A.한서점에서「불사의소식」발견하다·347
3.나누고섬기는보살의원력~,이것이‘불사~,새생명의동력’이다·358
4.국제구호단체‘자비수레꾼’설립~,‘캄보디아어린이들학교보내기운동’·380

9장〔Buddha-Paris학교〕‘붓다의불교-시민불교’를
개척해가다─390
1.‘Buddha-Paris학교’설립~,우리는‘붓다석가모니’를찾아나선다·390
2.사띠(Sati)와빠리사(Paris)~,우리빠리사들의수행법·401
3.빠리사열전~,‘붓다의불교’열어가는개척자들·424

10장〔불사의현장Report〕나누고섬기면서~,
오늘하루의삶이불사의현장이다─441
1.〔불사의현장Report①〕사랑하는사람들~,그리운사람들~·441
2.〔불사의현장Report②〕2023년12월13일~,외로운한우어머니찾아서·471
3.〔불사의현장Report③〕내가아파보니~,파스한장이구원이고불사더라·491

〔후기〕용설호수길은행나무아래서·509

출판사 서평

1.
1938년마산에서태어난그는,서울대학교역사학과를졸업하고,동덕여고교사로봉직하였다.그의생에서가장결정적인장면의하나는『법구경』과의만남이다.1967년나이서른에만난『법구경』은그의가치관과삶을송두리째바꾸어놓는일대사변이었다.
이후1970년동덕여고에서동덕불교학생회를창립하여전교생의과반이회원으로활동하는등,청소년포교현장에서가히역사적인성과를보여주었다.또한최초의불교청소년교재?보리誌?를발행하여청소년포교의전국적확산에도힘썼다.그리고1976년창립한청보리학생회-청년회를통한청보리운동은70~90년대한국불교의중흥을견인하였다.학교에서은퇴한이후에도활발하게활동하면서광덕스님의평전을집필하기도하고,국제구호단체‘자비수레꾼’을창립하여캄보디아어린이들을돕는가하면,‘빠리사학교’를설립하여수십명의전법사를배출하였다.
이렇듯그가현대한국불교에끼친영향은단순하지않으니,이회고록은지금우리한국불교가무엇을해야하는지,어떤방향으로나아가야하는지등을고민하고성찰하는데귀중한방아쇠가되어줄것이다.

2.
이뭣고~,
부처를찾아서~,
마음을~,본래청정심을찾아서~,
나를~,자기를찾아서~,
깨달음을찾아서~,해탈을찾아서~’

앉고또앉는다.
화두를들고들숨~,날숨~,
앉고또앉는다.
하루~,한달~,일년~,이년~,

나는점차회의에빠져들었다.
깊은의문앞에마주섰다.

‘과연이것이불교일까?
과연이것이부처님의가르침일까?
명상,참선~,과연이것이바른깨달음의길일까?
이렇게해서한소식하면,
과연이것으로이세상의고통~,구제할수있을까?
이렇게해서자기를보고마음을보면,
이눈앞의동포들의고통구제할수있을까?’

대체‘불교’가무엇일까?
무엇하자는것일까?
‘깨달음’이무엇일까?
‘부처’가무엇일까?
‘부처님’은어찌사셨을까?
‘붓다석가모니’는어찌살고무엇을추구하셨을까?
붓다께서도지금우리처럼불교하셨을까?
‘붓다의불교’는어디있는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