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천년의 만남 : 논어에서 조우하는 유불회통의 사유

논어, 천년의 만남 : 논어에서 조우하는 유불회통의 사유

$38.00
Description
『논어』를 사이에 두고 천년이라는 시간 동안
왕성하게 소통해온 불교와 유교! 이 미증유의 만남을 통해
알차게 결실을 맺은 새로운 융합 사상의 진면목!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에서 유교와 불교의 회통적 사유가 『논어』에서 구현된 양상을 꾸준히 연구해온 이영호 교수가 『논어, 천년의 만남』을 펴냈다. 중국사상사의 이단아 이탁오(이지)의 『논어평』을 완역하고, 장대의 『논어우(論語遇)』와 지욱선사의 『논어점정(論語點睛)』에서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이는 대목들을 취사선택하고 번역작업을 했다.

먼저 이지(李贄, 1527~1602)는 양명좌파 경학의 정점에 있는 학자인데, 이름보다 그의 호인 탁오(卓吾)로 더 잘 알려져 있다. 그가 남긴 저서인 『분서(焚書)』에서 유불회통의 사유를 분명하게 드러낸 바 있으며, 이러한 그의 사유는 경학 저술인 『논어평(論語評)』에도 고스란히 반영되었다. 이지는 이 책에서 불교 용어를 차용하여 『논어』를 설명하면서, 『논어』의 문답이나 내용 등을 선(禪)의 언어로 이해하기도 하였다. 즉 이 책의 내용 일부를 선어(禪語)로 보았기에 공자의 형상이나 심상을 묘사할 때, 종종 선사의 그것과 합치시키게 된 것이다.

『논어평』에 담겨 있는 유불회통적 사유는 이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전해져 발전하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이지의 경학적 사유를 계승한 이들 가운데, 유가에서는 장대(張岱, 1597~1689?), 불가에서는 지욱선사(智旭禪師, 1599~1655)가 가장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그들의 『논어』 주석에는 이지의 『논어평』의 내용을 자주 인용하고 있을 뿐 아니라, 그 유불회통적 사유 또한 심화시켜서 논의하고 있기 때문이다.

장대는 명말 청초의 뛰어난 역사학자이자 산문작가로, 양명좌파의 경학을 계승하여 일가를 이루었다. 또한 지욱은 명나라 말기의 사대고승 중 한 사람으로 선종, 교종, 율종의 조화를 중시하였을 뿐 아니라, 유교, 불교, 도교의 삼교일치를 주장하기도 했다. 많은 저술을 남겼는데, 특히 불교의 교리로 유교의 경전을 해설한, 『논어점정(論語點睛)』, 『주역선해(周易禪解)』 등은 동아시아 종교교류사에서 매우 중요한 저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불교와 유교의 만남은 B.C. 2년경으로 거슬러올라가는데 이때 불교는 중국으로 전래되었다. 그후 다시 수백 년의 시간이 지나 구마라즙과 현장 등의 언어 천재들이 인도어로 된 불경들을 중국어(한문)로 번역작업을 한 덕분에, 불교는 중국 전역에 널리 퍼지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불교와 유교의 만남은 단순하게 끝나지 않았다. 이 두 사상은 낯선 만남을 통해 예상 못한 조류를 형성하여, 불교와 유교에서 공히 새로운 융합 사상이 등장하였다. 이 중 대표적인 것을 들자면 불교에서는 선종(禪宗)을, 유교에서는 주자학(朱子學)과 양명학(陽明學)을 거론할 수 있다.

이지(李贄)
1527~1602. 자는 탁오(卓吾), 별호는 온릉거사(温陵居士). 명나라의 저명 양명학자로서 강학과 저술을 통해 사상사에 한 획을 그었다. 말년에 불교를 넘나들면서 유불회통의 사유를 구축하였다. 저서로 『분서(焚書)』, 『장서(藏書)』, 『사서평(四書 評)』등이 있다.

장대(張岱)
1597~1689(?). 자는 종자(宗子), 호는 도암(陶庵). 명말 청초의 뛰어난 역사학자이자 산문작가이다. 또한 양명좌파의 경학을 계승하여 일가를 이루기도 하였다. 저서로 『낭환문집(瑯嬛文集)』, 『도암몽억(陶庵夢憶)』, 『석궤서(石匱書)』, 『고금의열전(古今義烈傳)』, 『사서우(四書遇)』등이 있다.

지욱(智旭)
1599~1655. 자는 우익(蕅益), 호는 팔불도인(八不道人). 명나라 말기의 사대고승 중의 한 분으로 선종, 교종, 율종의 조화를 중시하였을 뿐 아니라, 유교, 불교, 도교의 삼교일치를 주장하기도 하였다. 많은 저술을 남겼는데, 특히 불교의 교리로 유교의 경전을 해설한, 『논어점정(論語點睛)』, 『주역선해(周易禪 解)』 등은 동아시아 종교교류사에서 매우 중요한 저작이라 할 수 있다.
저자

이지,장대,지욱

李贄
1527~1602.자는탁오(卓吾),별호는온릉거사(温陵居士).명나라의저명양명학자로서강학과저술을통해사상사에한획을그었다.말년에불교를넘나들면서유불회통의사유를구축하였다.저서로『분서(焚書)』,『장서(藏書)』,『사서평(四書評)』등이있다.

목차

머리말

학이學而
위정爲政
팔일八佾
이인里仁
공야장公冶長
옹야雍也
술이述而
태백泰伯
자한子罕
향당鄕黨
선진先進
안연顔淵
자로子路
헌문憲問
위령공衛靈公
계씨季氏
양화陽貨
미자微子
자장子張
요왈堯曰

출판사 서평

이지에서장대로,장대에서지욱선사로,
『논어』에서더욱짙어지는유교와불교의만남!

이지,장대,지욱선사가쓴세『논어』주석서를관통하고있는유교와불교의만남의양상이어떤지를『논어』의첫구절에대한견해를통해잠시살펴보면다음과같다.

“배우고항상익히면기쁘지않겠느냐!(學而時習之,不亦說乎!)”은잘알다시피『논어』의첫구절이다.이지,장대,지욱선사는이를각각다음과같이해설했다.

이지(李贄),『논어평(論語評)』:“배우면열락(悅樂)이있을뿐불평은없도다.그얼마나쾌활하며그얼마나안락한가!배우지않으면참으로소인이되어,일생동안번뇌속을헤맬것이로다.”
(學則有悅樂,而無.何等快活,何等受用!不學眞是小人,一生惟有煩惱而已矣.)

장대(張岱),『논어우(論語遇)』:“세상사람들의‘배움’에대한인식이참되지못하도다.만약‘배움’이어떤일인지를인식하게된다면,곧바로저절로이광휘속에서열락에잠길것이다.오직성인만이이열락의한두지점을묘사하였는데,이는물을마시면차가움을알고꿀을먹으면달달함을아는것과같다.”
(世人只認學不眞耳,若識得學爲何事,便自然此際光景.獨聖人能描寫一二,所謂水知冷,食蜜知也.)

지욱선사(智旭禪師),『논어점정(論語點睛)』:“대체로사람마다영각(靈覺)의본성이있어서애초에외물에얽매임도없고,그근원에는열락만이있다.이같은마음의본성을밝히지못한까닭에셀수없는두려움과근심걱정이솟아나는것이다.배움이란바로이것을깨쳐나가는지혜를말함이다.생각,생각그본래의깨어있는성품[本覺]을깨쳐나가어느순간도깨어있지않을때가없는것,이를‘시습(時習)’이라한다.어느때이건깨어있기때문에항상열락(悅樂)이있는것이다.”
(蓋人人本有靈覺之性,本無物累,本無不悅.由其迷此本體,生出許多恐懼憂患.今學,卽是始覺之智,念念覺于本覺,無不覺時,故名時習.無時不覺,斯無時不悅矣.)

‘학이시습(學而時習)’에서‘학(學)’은처음에는우리가배워야할구체적과목으로인식되었다가,유교와불교가만나면서,그한축을담당한주자학에이르러‘깨달음[覺]’으로정의된다.여기서주자가생각하는‘깨달음’은우리의본성에대한깨달음이다.이미여기까지만해도현실의삶에서인간의본성으로그초점이선회하였기에다분히불교적영향이짙다고할것이다.

그런데이지는한걸음더나아가,이런깨달음으로서의학이없다면,일생을번뇌속에서보낼것이며,이깨달음이있어야만번뇌없는즐거운삶을살것이라고이야기한다.그러다장대에이르면,이런깨달음의결과로서생겨나는열락은물마실때차가움을알고꿀먹을때달달함을아는것과같다고하였다.이는진리가무엇이냐고물었을때,일상에서진리를찾는선종의사유와그리멀지않다.

더나아가지욱선사에이르면,영각의본성을어느한순간도쉼없이깨우쳐있는상태로서의학을말하고있다.이지에서장대로,장대에서지욱선사로『논어』에서유교와불교의만남은그농도가점점짙어진다.또한세『논어』주석서에는부처,선(禪),깨달음등의언어가계속이어진다.마침내공자와부처를동일시하거나부처와공자의제자들을동일선상에서비교하는상황까지나아간셈이다

어쩌면유교와불교는서로만나기이전에이미상호소통할수있는지점을공유하고있었을것이다.사는곳도다르고언어도다르지만,인간이라는공통된바탕위에가지는고민이유사하였기때문이다.즉부처와공자는태어난나라도자라난환경도달랐지만,공통된문제의식이있었다.바로삶은‘고난’이라는점을철저하게인식하였으며,그고난에서벗어나는방법을발견하였고,또그방법대로실천하는삶을살았다는점이다.이런관점에서보면,아득한과거부터수많은시간을거쳐지금에이르기까지하나의공통된문제의식과그에대한해답이우리문명을떠받치는중심축인듯하다.그문제의식을한마디로요약하면이러하다.“어떻게하면고통없는본래의나자신으로살아갈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