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화려하지도 으스대지도 않는
변방 도시로의 열정
건축가의 숨결이 오롯이 스며든
우리가 몰랐던 비범한 도시들
변방 도시로의 열정
건축가의 숨결이 오롯이 스며든
우리가 몰랐던 비범한 도시들
브라티슬라바, 그단스크, 류블랴나, 힐베르쉼, 리가, 리예카, 릴-메트로폴.
이 책에서 소개하는 유럽 도시들이다. 알고 보면 ‘비범한’ 이들 변방의 도시는 역사의 변곡점마다 의미 있는 발자취를 남겼다. 유럽사의 중심에서 비껴간 빛나는 조연 도시가 갖는 서사를 음미하는 것과 더불어, 저자의 진중한 시선을 따라가면 자연스레 공간의 매력에 빠져든다. 생소한 지명만큼이나 도시가 품어내는 상징성과 이어지는 유별난 콘텐츠는 깊다.
류블랴나를 지중해의 신전으로 만들고자 했던 ‘슬로베니아의 가우디’ 요제 플레츠니크, 네덜란드 힐베르쉼에 평생을 바친 빌럼 마리누스 두독, 리예카의 여성 건축가 나다 실로비치와 아다 펠리체 로시치, 인테리어 디자이너와 건축가의 경계를 오간 릴-메트로폴의 로베르 말레 스테뱅스까지. 저자는 도시 이면에 켜켜이 쌓인 건축가들의 이야기들과 그들이 지닌 문화적 감수성과 예술적 상상력을 끄집어낸다. 어디서도 쉽게 들어보지 못했던 생소한 건축가들의 건축세계와 그들의 애정이 듬뿍 담긴 공간은 새로움을 향한 우리의 갈증을 해소해 준다.
책 제목으로 등장한 폴란드 그단스크는 ‘단치히’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전쟁의 상흔 위에 그려진 ‘아픔의 도시’다. 폐허 더미에서 새 역사를 써 내려간 이 도시는 창조가 아닌 ‘복원’에 집중했다. 전쟁으로 상처받은 민족정신을 바로 세우고 잃어버린 영광을 되찾는 게 무엇보다 중요했기 때문이다. 눈앞에 보이는 건축이야말로 무엇보다 우선시되는 마중물이었다.
복원의 기본 원칙은 독일의 흔적을 말끔히 지워 버리는 것이었다. 그리고 폴란드의 황금 시대(17-18세기)가 낳은 전통에 대한 현대적 해석이 뒤따랐다. 중심 거리 ‘드우가’가 대표 사례다. 거리 중앙에 자리한 19세기 부호의 집 ‘웁하겐 하우스’가 전성기 그단스크의 힘을 상징한다.
그렇다면, 다른 여섯 도시는 어떨까. 존재감을 뚜렷이 드러내는 ‘비범함’이란 과연 무엇일까? 힐베르쉼은 20세기 세계 건축을 이끈 네덜란드 전위 건축의 발생지였다. 백 년 전 캔틸래버 방식으로 지어진, 당대 혁신적인 건물 ‘햇빛요양원’이 있는 곳도 바로 힐베르쉼이다. 결핵 환자를 위해 지어진 이곳은 치료제의 발명과 함께 버려졌다. 그러나 1960년대 건축사학자들의 노력 덕에 재조명받고, 리모델링을 거쳐 재활원과 사무 공간으로 새 생명을 얻었다. 라트비아의 수도 리가는 또 어떤가. 20세기 초 북유럽의 아르누보를 선도했다. 크로아티아 리예카는 아드리아해의 황금 시대를 연 항구 도시로 한때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세계로 열린 창이었다. 프라하나 비엔나에 가려진 카메오,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와 슬로베니아 류블랴나는 과거 영광의 무대이기도 했지만, 애절한 사연을 간직한 ‘작지만 위대한’ 도시들이다.
저자는 낯설면서 독특하고, 과거의 무게감에 함몰돼 지금은 주목받지 않은 도시에서만 느낄 수 있는 특별한 감정을 담아 냈다.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나타나는 처음 마주한 골목은 ‘설렘’을, 그 안에 담긴 건축가의 숨결은 ‘진한 여운’을, 파괴되고 짓밟혔던 과거는 ‘아픔’을, 건축을 통해 시민들의 자긍심을 찾아주려는 노력에서는 ‘배려와 애정’을.
일곱 도시를 거닐다 보면 새록새록 느껴질 것이다.
비범한 매력을 지닌 어느 특별한 도시의 손짓을.
이를테면, 그단스크.
이 책에서 소개하는 유럽 도시들이다. 알고 보면 ‘비범한’ 이들 변방의 도시는 역사의 변곡점마다 의미 있는 발자취를 남겼다. 유럽사의 중심에서 비껴간 빛나는 조연 도시가 갖는 서사를 음미하는 것과 더불어, 저자의 진중한 시선을 따라가면 자연스레 공간의 매력에 빠져든다. 생소한 지명만큼이나 도시가 품어내는 상징성과 이어지는 유별난 콘텐츠는 깊다.
류블랴나를 지중해의 신전으로 만들고자 했던 ‘슬로베니아의 가우디’ 요제 플레츠니크, 네덜란드 힐베르쉼에 평생을 바친 빌럼 마리누스 두독, 리예카의 여성 건축가 나다 실로비치와 아다 펠리체 로시치, 인테리어 디자이너와 건축가의 경계를 오간 릴-메트로폴의 로베르 말레 스테뱅스까지. 저자는 도시 이면에 켜켜이 쌓인 건축가들의 이야기들과 그들이 지닌 문화적 감수성과 예술적 상상력을 끄집어낸다. 어디서도 쉽게 들어보지 못했던 생소한 건축가들의 건축세계와 그들의 애정이 듬뿍 담긴 공간은 새로움을 향한 우리의 갈증을 해소해 준다.
책 제목으로 등장한 폴란드 그단스크는 ‘단치히’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전쟁의 상흔 위에 그려진 ‘아픔의 도시’다. 폐허 더미에서 새 역사를 써 내려간 이 도시는 창조가 아닌 ‘복원’에 집중했다. 전쟁으로 상처받은 민족정신을 바로 세우고 잃어버린 영광을 되찾는 게 무엇보다 중요했기 때문이다. 눈앞에 보이는 건축이야말로 무엇보다 우선시되는 마중물이었다.
복원의 기본 원칙은 독일의 흔적을 말끔히 지워 버리는 것이었다. 그리고 폴란드의 황금 시대(17-18세기)가 낳은 전통에 대한 현대적 해석이 뒤따랐다. 중심 거리 ‘드우가’가 대표 사례다. 거리 중앙에 자리한 19세기 부호의 집 ‘웁하겐 하우스’가 전성기 그단스크의 힘을 상징한다.
그렇다면, 다른 여섯 도시는 어떨까. 존재감을 뚜렷이 드러내는 ‘비범함’이란 과연 무엇일까? 힐베르쉼은 20세기 세계 건축을 이끈 네덜란드 전위 건축의 발생지였다. 백 년 전 캔틸래버 방식으로 지어진, 당대 혁신적인 건물 ‘햇빛요양원’이 있는 곳도 바로 힐베르쉼이다. 결핵 환자를 위해 지어진 이곳은 치료제의 발명과 함께 버려졌다. 그러나 1960년대 건축사학자들의 노력 덕에 재조명받고, 리모델링을 거쳐 재활원과 사무 공간으로 새 생명을 얻었다. 라트비아의 수도 리가는 또 어떤가. 20세기 초 북유럽의 아르누보를 선도했다. 크로아티아 리예카는 아드리아해의 황금 시대를 연 항구 도시로 한때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세계로 열린 창이었다. 프라하나 비엔나에 가려진 카메오,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와 슬로베니아 류블랴나는 과거 영광의 무대이기도 했지만, 애절한 사연을 간직한 ‘작지만 위대한’ 도시들이다.
저자는 낯설면서 독특하고, 과거의 무게감에 함몰돼 지금은 주목받지 않은 도시에서만 느낄 수 있는 특별한 감정을 담아 냈다.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나타나는 처음 마주한 골목은 ‘설렘’을, 그 안에 담긴 건축가의 숨결은 ‘진한 여운’을, 파괴되고 짓밟혔던 과거는 ‘아픔’을, 건축을 통해 시민들의 자긍심을 찾아주려는 노력에서는 ‘배려와 애정’을.
일곱 도시를 거닐다 보면 새록새록 느껴질 것이다.
비범한 매력을 지닌 어느 특별한 도시의 손짓을.
이를테면, 그단스크.
이를테면, 그단스크 : 낯설지만 빛나는 도시에서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