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 히로부미

이토 히로부미

$30.00
저자

이토유키오

지은이:이토유키오
1953년,후쿠이현출생.교토대학교문학부사학과졸업.교토대학대학원문학연구과수료.박사(문학).나고야대학교문학부조교수등을거쳐,현재교토대학교대학원법학연구과교수.1995~97년,하버드대학교옌칭연구소,하버드대학라이샤워일본연구소에서연구.전공은근·현대일본정치외교사.주요저서로는,<立憲國家の確立と伊藤博文>(吉川弘文館),<伊藤博文をめぐる日韓關係>,<明治天皇>(이상ミネルヴァ書房),<昭和天皇傳>(文藝春秋社,司馬遼太郞賞受賞),<政黨政治と天皇日本の歷史22>(講談社),<昭和天皇と立憲君主制の崩壞>(名古屋大學出版會),<元老西園寺公望><山縣有朋>(이상文春新書),<原敬>上卷·下卷>(講談社)등다수.  

옮긴이:이성환
1957년생.영남대학교정치외교학과졸업.쓰쿠바(筑波)대학대학원사회과학연구과졸업,법학(정치학)박사.현재계명대학교일본학과교수.

주요저서로는<近代東アジアの政治力學-間島をめぐる日中朝關係の史的展開>(錦正社),<간도는누구의땅인가>(살림출판사),<전쟁국가일본>(살림출판사),<한국과국제정치>(공저,법문사),<동아시아의민족과영토>(공저,아시아문화사),<한국과이토히로부미>(공저,도서출판선인),<近代日本と戰爭>(光陽出版社),<슬픈일본과공생의상상력>(공저,논형)등이있다.  

목차

제1부비상
제1장_기도다카요시의눈에띄다-쓰카리·하기에서교토·에도·영국으로
제2장_‘외교’교섭과막부타도의싸움-기도다카요시를지지하다
제3장_이와쿠라사절단의특명전권부사-폐번치현과정한론정변
제4장_이토참의겸공부경의실력-서남(西南)전쟁

제2부원숙기
제5장_이토체제형성의시작-오오쿠보도시미치의후계자
제6장_오오쿠마시게노부에대한분노-명치14년정변
제7장_헌법조사에대한의욕-일본의전통과서구화
제8장_국내정치우선과청일협조-초대수상
제9장_일본의형태를만들다-대일본제국헌법과명치천황
제10장_어긋난전망과망설임-오오쿠마조약개정문제와제1회의회
제11장_명치헌법을지키다-제2대총선거
제12장_민당과의제휴와조약개정-제2차이토내각
제13장_이토체제의전성기-문관수상의청일전쟁

제3부노후
제14장_원로로서의강한자부심-제3차이토내각·요양과충전
제15장_건강악화와‘헌법’정치를향한이상-입헌정우회창립및제4차이토내각
제16장_극동의평화를못지키고-영일동맹·러일전쟁
제17장_한국통치에대한포부-이토한국통감
제18장_암살

출판사 서평

이토히로부미만큼한국과일본에서서로다른이미지를가지고있는근대일본의정치가는없다.

한국과일본,일본의식민지연구자와정치외교사연구자사이에서조차이토를둘러싼견해는크게두가지로나뉘어져있다.그원인은한국의일본연구자와일본의식민지연구자는이토가한국(조선)에관여하지않았던시기의이토에관한사료를거의보지않았기때문이다.이토라는인간을전체적으로이해하고이를바탕으로한국통감시기의이토를평가하려는자세가결여되어있다.그결과한국인의이토에대한이미지도충분히균형잡힌것이아니다.

한국통감기의이토에대한평가도마찬가지이다.한국의일본연구자와일본의식민지연구자는병합이라는큰틀을결정하는문제에대해이토와야마가타아리토모(山縣有朋)원수및가쓰라다로(桂太郞)대장,데라우치마사타케(寺內正毅)대장등유력정치가에관련된미간행1차사료를거의보지않는다.그렇기때문에이토와야마가타,가쓰라,데라우치등이펼친한국통치를포함한내정과외교에서의그들의정책적차이와인간관계를충분히이해하지못하고있다.

본서는이토자신과이토와직접적으로관련된정치가,가족들의편지,일기,서류등1차사료를중시하고,또한그들의회상록과당시신문,잡지보도등도두루살펴,한국통치시기도포함하여이토의실상을탐색하고자한다.(들어가며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