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역사문화 탐구 - 백제와 금강의 도시 공주

공주, 역사문화 탐구 - 백제와 금강의 도시 공주

$27.00
Description
공주는 우리나라의 4고도(古都) 중의 하나이다. 2004년 고도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어 신라문화권의 경주와 함께 백제문화권의 공주, 부여, 익산이 문화재청에 의하여 고도로 지정되었다. 이에 의하여 ‘특별보존지구’ ‘보존육성지구’ 등이 지정되어 사업이 진행중에 있다. 공산성, 무령왕릉 이외에도 감영터, 목관아 일대, 제민천변 등에 대한 사업이 진행 중이다. 고도이미지 찾기 사업으로 한옥 건축을 적극 장려하고 있는 것도 그 일환이다. 유적의 정비만이 아니고 도시의 이미지 자체를 ‘역사도시’로 만들어가고 있다. 앞으로의 과제는 이러한 자원을 토대로 역사도시로서의 공주가 문화적, 경제적 생산성을 갖도록 하는 일이다. ‘생산성을 갖는 역사도시’ 공주, 그것이 향후 공주 발전의 한 축이 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윤용혁

저자:윤용혁
한국중세사와충남지역사전공,공주사범대학역사교육과를졸업하고고려대학교대학원에서석사와박사학위를받았다.1980년부터2017년까지공주대학교역사교육과교수로재직하였다.현재는공주대명예교수,국가유산청문화유산위원이다.저서로서는『공주,역사문화론집』(2005),『충청역사문화연구』(2009),『가루베지온의백제연구』(2010),『공주,‘강과물’의도시』(2014),『충남,내포의역사와바다』(2014),『한국해양사연구』(2015),『공주,역사와문화콘텐츠』(2016),『백제를걷는다』(2017),『한국과오키나와-초기교류사연구』(2020),『역사속공주의사람들』(2020,공저)등이있다.

목차


머리글-공주역사‘2천년’

제1부백제공주,공주백제

제1장백제임류각은어디에?
머리말
1.임류각을둘러싼논의의출발
2.‘임류각지’와지당의발굴
3.발굴이후임류각에대한논의
4.‘류(流)’자명기와
5.백제임류각의위치,영은사
맺는말

제2장무령왕출생전승과가카라시마
머리말
1.가카라시마무령왕출생관련기록에대한주목
2.가카라시마무령왕탄생기록에대한여러논의
3.각라도(各羅島)와가당도(加唐島)의문제
4.무령왕출생지로서의가카라시마
맺는말

제3장가루베지온(輕部慈恩)유물의행방
머리말
1.가루베의공주백제고분조사
2.송산리6호분은도굴된무덤이었나
3.가루베지온의수집유물
4.가루베유물의행방
맺는말

제2부공주공산성의역사와유적

제1장고려시대공주치소로서의공산성
머리말
1.통일신라웅천주치소성으로서의공산성
2.고려시대공주관아와공산성
3.조선시대관아구역의신라ㆍ고려자료검토
4.고려시대공주관아의공간이동
맺는말

제2장공산성만하루에대하여
1.공산성의연못과만하루(挽河樓)
2.박윤원의‘만하루기(挽河樓記)’
3.조선통신사콘텐츠로서의만하루
4.만하루(挽河樓)와‘만아루(挽阿樓)’

제3장비석으로보는공주역사
1.공산성주변비석의분포와이동
2.공산성일대에서가장오래된비석은?
3.제민천교비와일인묘비
4.공산성주변비석의문화재지정

제3부콘텐츠로서의공주역사

제1장효향(孝鄕)으로서의공주와신라향덕
1.통일신라향덕의효행
2.신라경덕왕은왜향덕을표창하였나
3.향덕인가상덕인가
4.또한사람의향덕,신효거사
5.소학동에서있는향덕의비석
6.향덕의효가리는어디인가

제2장공주지역콘텐츠로서의조선통신사
머리말
1.조선통신사와공주
2.공주지역의조선통신사자료
3.지역콘텐츠로서의자료활용
4.지역콘텐츠로서의조선통신사의의미
맺는말
(부)1763년계미통신사행과류진항(柳鎭恒)

제3장공주『공산지』의편찬과자료적성격
머리말
1.『공산지』이전의공주읍지
2.『공산지』의편찬과간행
3.『공산지』의구성과내용
4.『공산지』의주요수록자료
5.『공산지』이후,『중간공산지』와『조선환여승람』
맺는말

제4장감영시대의천주교순교지,황새바위
1.감영시대공주의천주교와황새바위
2.공주의천주교순교지
3.순교성지로서의황새바위
4.문화유산으로서의황새바위

제4부금강의문화사

제1장고려통일전쟁기태조왕건과금강
머리말
1.충남지역에서의고려통일전쟁추이
2.이도와공주
3.유금필과부여임천
4.부여석성에서의태조왕건
맺는말

제2장공주금강의옛나루,장깃대나루
1.호남대로의목이었던장깃대나루
2.장깃대나루에얽힌역사
3.장깃대나루관련유적

제3장백마강명승으로서의부여부산(浮山)
머리말
1.‘백제삼산’,그리고‘떠내려온산’
2.부산(浮山)의역사성과문화유산
3.백마강명승으로서의부산(浮山)
맺는말

맺는글-공주의미래
공주역사문화연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