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나는 작가이기 전부터 번역가였지,
그 반대가 아니었다”
줌파 라히리의 오직 번역에 관한 산문집
그 반대가 아니었다”
줌파 라히리의 오직 번역에 관한 산문집
“어떻게 태어날지 결정할 수는 없지만
어떤 존재로 살아갈지는 결정할 수 있다”
─백수린 소설가 추천
데뷔작 『축복받은 집』으로 퓰리처상을 수상하고, 오바마 대통령에게 국가인문학메달(National Humanities Medal)을 받은 줌파 라히리. 자신만의 문학적 영토를 넓혀나가던 작가는, 장편소설 『저지대』를 출간한 뒤 이탈리아어로만 글을 쓸 것이라 선언한다. 세계적인 명성을 쌓아 올린 그가 ‘안전한’ 길을 뒤로하고 제2의 언어로 달아나는 도전을 감행한 것에 대한 걱정이 적지 않았다. 그러나 줌파 라히리는 『이 작은 책은 언제나 나보다 크다』를 시작으로, 『책이 입은 옷』 『내가 있는 곳』 『로마 이야기』까지 차례차례 이탈리아어 작품을 선보이며 세간의 우려를 불식시켰다.
『나와 타인을 번역한다는 것』은 줌파 라히리가 이탈리아어에 몰두해 있던 시기, 미국에서 처음 출간한 산문집이다. 2015년부터 2021년까지 연대순으로 배치된 에세이에는 도메니코 스타르노네의 세 작품을 번역하며 쓴 서문과 후기,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 중 에코와 나르키소스의 신화로 보는 원작과 번역의 관계, 안토니오 그람시와 이탈로 칼비노에 관한 탐구, 번역 노트, 강연 발제문 및 연설문 등이 망라되어 있다. 처음부터 영어로 쓴 글도 있는가 하면 이탈리아어로 썼던 글을 영어로 옮긴 글도 있어, 줌파 라히리는 “본질적으로 이중언어 텍스트”라고 이 책을 소개한다.
인도계 미국인인 그는 벵골어와 영어의 이중언어 작가로서, 소설을 쓸 때 머릿속에서 벵골어로 대화하는 인물들을 영어로 옮겨 써야 하는 번역의 딜레마를 토로하며 자신은 “작가이기 전부터 번역가였지, 그 반대가 아니었다”라고 고백한다. 어느 쪽에도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면서 “내가 진정한 모어를 갖지 못한 작가라는 자각, 어떤 의미에서는 언어 고아라는 느낌”을 받아온 줌파 라히리는, 이 책에 번역과 ‘자기번역(self-translation)’을 배우고 숙고하는 시간을 기록할 수 있었다. 글쓰기와 번역에 대한 집요한 관찰과 성찰의 경험으로 가득 찬 글들은 번역가 줌파 라히리의 진화 과정을 보여주기에 충분하다.
영어로 글을 쓰는 작가가 된다는 건 아울러 번역하는 사람이 된다는 것을 의미했다. 하지만 나는 작가이기 전부터 번역가였지, 그 반대가 아니었다. (…) 나는 영어와 벵골어를 동시에 구사하는 생활환경에서 자랐고, 이건 곧 나 자신과 다른 이들에게 이 두 언어를 끊임없이 번역해왔다는 의미였다.
─서문에서
어떤 존재로 살아갈지는 결정할 수 있다”
─백수린 소설가 추천
데뷔작 『축복받은 집』으로 퓰리처상을 수상하고, 오바마 대통령에게 국가인문학메달(National Humanities Medal)을 받은 줌파 라히리. 자신만의 문학적 영토를 넓혀나가던 작가는, 장편소설 『저지대』를 출간한 뒤 이탈리아어로만 글을 쓸 것이라 선언한다. 세계적인 명성을 쌓아 올린 그가 ‘안전한’ 길을 뒤로하고 제2의 언어로 달아나는 도전을 감행한 것에 대한 걱정이 적지 않았다. 그러나 줌파 라히리는 『이 작은 책은 언제나 나보다 크다』를 시작으로, 『책이 입은 옷』 『내가 있는 곳』 『로마 이야기』까지 차례차례 이탈리아어 작품을 선보이며 세간의 우려를 불식시켰다.
『나와 타인을 번역한다는 것』은 줌파 라히리가 이탈리아어에 몰두해 있던 시기, 미국에서 처음 출간한 산문집이다. 2015년부터 2021년까지 연대순으로 배치된 에세이에는 도메니코 스타르노네의 세 작품을 번역하며 쓴 서문과 후기,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 중 에코와 나르키소스의 신화로 보는 원작과 번역의 관계, 안토니오 그람시와 이탈로 칼비노에 관한 탐구, 번역 노트, 강연 발제문 및 연설문 등이 망라되어 있다. 처음부터 영어로 쓴 글도 있는가 하면 이탈리아어로 썼던 글을 영어로 옮긴 글도 있어, 줌파 라히리는 “본질적으로 이중언어 텍스트”라고 이 책을 소개한다.
인도계 미국인인 그는 벵골어와 영어의 이중언어 작가로서, 소설을 쓸 때 머릿속에서 벵골어로 대화하는 인물들을 영어로 옮겨 써야 하는 번역의 딜레마를 토로하며 자신은 “작가이기 전부터 번역가였지, 그 반대가 아니었다”라고 고백한다. 어느 쪽에도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면서 “내가 진정한 모어를 갖지 못한 작가라는 자각, 어떤 의미에서는 언어 고아라는 느낌”을 받아온 줌파 라히리는, 이 책에 번역과 ‘자기번역(self-translation)’을 배우고 숙고하는 시간을 기록할 수 있었다. 글쓰기와 번역에 대한 집요한 관찰과 성찰의 경험으로 가득 찬 글들은 번역가 줌파 라히리의 진화 과정을 보여주기에 충분하다.
영어로 글을 쓰는 작가가 된다는 건 아울러 번역하는 사람이 된다는 것을 의미했다. 하지만 나는 작가이기 전부터 번역가였지, 그 반대가 아니었다. (…) 나는 영어와 벵골어를 동시에 구사하는 생활환경에서 자랐고, 이건 곧 나 자신과 다른 이들에게 이 두 언어를 끊임없이 번역해왔다는 의미였다.
─서문에서
나와 타인을 번역한다는 것
$1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