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escription
바티칸이 공식적으로 인정한 기적
메일린 이야기, 우리 곁의 경이로움
메일린 이야기, 우리 곁의 경이로움
식물인간 판정을 받았던 소녀의 경이로운 회복을 기록한 책 『메일린의 기적』이 출간되었다. 이 책의 주인공 메일린은 세 살이던 2012년, 식사 중 음식이 기도에 걸리면서 뇌에 산소가 수분 동안 공급되지 않아 식물인간 판정을 받는다. 메일린은 가족과 주위 사람들이 성녀 폴린 자리코에게 기도를 하고 사랑과 믿음을 건넨 끝에 기적적으로 회복한다. 메일린의 사례는 바티칸의 심사를 거쳐 2020년 5월 26일에 ‘기적’으로 공인된다. 『메일린의 기적』은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기적 이야기를 통해 기적의 가능성을 증명한다.
이 책은 박용만 전 두산 그룹 회장의 발견에 힘입어 국내에 소개될 수 있었다. 우연한 계기로 메일린의 이야기를 접한 박용만 전 회장은 설명하기 힘든 이끌림을 느낀다. 이후 프랑스에 건너가 직접 메일린과 메일린의 가족을 만나고, 로마에 가서 이 기적이 교황청에 의해 승인되기까지의 과정을 따라간다. 이 여정은 CPBC 가톨릭평화방송의 다큐멘터리 〈죽음에서 돌아오다―메일린의 기적〉으로 제작되기도 했다.
이 책은 딸의 회복을 직접 눈으로 확인한 아버지 에마뉘엘 트란의 기록이다. 저자 에마뉘엘 트란은 딸이 치유되어가는 과정을 일기처럼 생생하게 그린다. 기적을 경험했다고 소리 높여 외치는 대신 차분하게 실제 있었던 일을 적어내려가기에 오히려 더욱 기적의 현존을 신뢰하게 된다.
『메일린의 기적』은 생생한 증언이다. 평온한 일상을 살아가던 한 가족에게 느닷없이 닥친 불행에 대한 증언이다. 작은 소시지 하나를 잘못 삼킨 세 살짜리 딸의 뇌가 돌이킬 수 없이 손상되어 영구히 식물상태로 살게 될 것이라는 진단을 받은 한 아버지가 쓴 가슴 저미는 증언이다. 혼수상태의 아이에게 영양공급을 중단하자고 제안하는 의료진 앞에서 아이의 생명을 포기하길 거부하고 절망의 시간을 살아낸 가족의 애절한 증언이다. 또한 아이의 놀라운 회복 과정을 들려주는 증언이기도 하다. 그래서 이 책을 멀찍이 거리를 두고 읽기가 어렵다.
―「옮긴이의 말」에서
기도와 영성으로 가능한 일들
믿음과 사랑에 대하여
『메일린의 기적』은 음식물이 기도에 걸려 혼수상태에 빠지고 끝내 안락사 권유까지 받았던 메일린이 의학적으로 설명 불가한 방식으로 회복하는 과정을 따라간다. 메일린의 가족은 막막한 상황에서도 기도를 계속하면서 메일린이 자신들의 품으로 다시 돌아올 거라는 믿음을 놓지 않는다.
저자 에마뉘엘 트란은 원래 세례를 받지 않은 비신도였지만, 메일린의 사고를 겪으면서 가톨릭교를 믿게 된다. 사고 이후 그는 세례를 받고 시간이 날 때마다 성당에 들러 기도를 드린다. 꿈속에서 신의 음성을 듣는 기묘한 경험을 하기도 한다.
메일린이 다니던 학교의 학부모는 19세기에 교황청 전교회를 설립한 성녀 폴린 자리코에게 전구 기도를 드리는 ‘살아 있는 묵주 기도회’를 조직해 메일린을 위해 기도한다. 메일린의 학교 학생들뿐 아니라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기도회 회원들이 마음을 모아 메일린의 회복을 기원한다. 성실한 기도와 자신보다 더 큰 존재에 대한 믿음으로 희망의 불씨를 꺼트리지 않은 이들의 모습은 신앙의 의미를 되새겨보게 한다.
사랑이 부모에서 하느님으로 전이될 수 있을까? 모든 걸 줄 수 있는 이가 있다면, 그건 아이의 부모인 우리만큼 사랑할 수 있는, 바로 그분뿐이다. 딸의 목숨을 하느님의 의지에 맡긴 일이 세례 받지 않은 신자인 내게는 끝도, 포기도 아니었다. 그것은 내가 일평생 살면서 내놓은 가장 큰 신뢰의 증거였다.
―『메일린의 기적』에서
비현실적인 판타지를 넘어 구체적인 현실로
기적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하나의 답
보통 사람들은 기적이 일어났을 때 그것이 왜 일어났는지 질문한다. 이 책에서 기적을 목격한 이들 혹은 기적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의사들도 그와 유사한 의문을 품는다. 저자는 기적 앞에서 질문하기보다는 받아들이고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고 말한다. 기적을 의심하는 대신 수용하는 태도를 가졌을 때 기적의 광채를 온전히 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메일린에게 찾아온 기적은 메일린 한 사람에게만 영향을 주지 않는다. 메일린의 놀라운 회복을 지켜본 가족과 주위 사람들은 삶에 대한 사랑을 새롭게 느낀다. 한편 메일린의 기적은 메일린을 보살핀 가족, 기도회를 조직한 학부모, 사고 이후 수차례 병원에 방문해 응원한 구급대원, 병원의 의료진 등 수많은 사람들의 힘이 모여서 이뤄진 것이다. 이 책은 기적이 기적의 수혜자에게만 일어나는 비현실적인 판타지가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펼쳐지는 구체적인 현실이라고 말한다.
책에는 바티칸에서 기적을 승인하는 절차도 깊이 있게 다뤄져 있다. 교황청에서 직접 수년에 걸쳐서 메일린의 의료기록을 조사하고, 의사들에게 자문을 맡기고, 메일린과 가족을 평의회에 초청해서 기적의 신빙성을 조사하는 과정은 어디에서도 접하기 힘든 이야기이다.
의학으로 설명할 수 없는 단계들을 지켜본 많은 이들은 이미 아이의 상태를 ‘기적적’이라고 형용했다. 하지만 ‘기적적’이라는 말에는 사람에 따라 다양한 평가나 해석이 따라붙는다. 어떤 이들은 그것에 실현 불가능하다는 특징, 누구도 예상치 못한 변화라는 의미를 부여한다. 나탈리와 나, 아이의 대부, 그리고 몇몇 친구들과 기도한 이들에게 이 말은 추가적인 위대함, 궁극적인 사랑의 몸짓, 하느님의 선물을 의미한다. 우리는 이 성취에 그저 감사할 따름이다.
―『메일린의 기적』에서
『메일린의 기적』은 지극히 현실적인 기적의 이야기로서 신앙이 없는 이들에게도 생의 신비로움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을 건넨다. 막막한 현실 앞에서 단단한 지지대를 찾는 이들에게 희망이 되어주는 기록이다.
이 책은 박용만 전 두산 그룹 회장의 발견에 힘입어 국내에 소개될 수 있었다. 우연한 계기로 메일린의 이야기를 접한 박용만 전 회장은 설명하기 힘든 이끌림을 느낀다. 이후 프랑스에 건너가 직접 메일린과 메일린의 가족을 만나고, 로마에 가서 이 기적이 교황청에 의해 승인되기까지의 과정을 따라간다. 이 여정은 CPBC 가톨릭평화방송의 다큐멘터리 〈죽음에서 돌아오다―메일린의 기적〉으로 제작되기도 했다.
이 책은 딸의 회복을 직접 눈으로 확인한 아버지 에마뉘엘 트란의 기록이다. 저자 에마뉘엘 트란은 딸이 치유되어가는 과정을 일기처럼 생생하게 그린다. 기적을 경험했다고 소리 높여 외치는 대신 차분하게 실제 있었던 일을 적어내려가기에 오히려 더욱 기적의 현존을 신뢰하게 된다.
『메일린의 기적』은 생생한 증언이다. 평온한 일상을 살아가던 한 가족에게 느닷없이 닥친 불행에 대한 증언이다. 작은 소시지 하나를 잘못 삼킨 세 살짜리 딸의 뇌가 돌이킬 수 없이 손상되어 영구히 식물상태로 살게 될 것이라는 진단을 받은 한 아버지가 쓴 가슴 저미는 증언이다. 혼수상태의 아이에게 영양공급을 중단하자고 제안하는 의료진 앞에서 아이의 생명을 포기하길 거부하고 절망의 시간을 살아낸 가족의 애절한 증언이다. 또한 아이의 놀라운 회복 과정을 들려주는 증언이기도 하다. 그래서 이 책을 멀찍이 거리를 두고 읽기가 어렵다.
―「옮긴이의 말」에서
기도와 영성으로 가능한 일들
믿음과 사랑에 대하여
『메일린의 기적』은 음식물이 기도에 걸려 혼수상태에 빠지고 끝내 안락사 권유까지 받았던 메일린이 의학적으로 설명 불가한 방식으로 회복하는 과정을 따라간다. 메일린의 가족은 막막한 상황에서도 기도를 계속하면서 메일린이 자신들의 품으로 다시 돌아올 거라는 믿음을 놓지 않는다.
저자 에마뉘엘 트란은 원래 세례를 받지 않은 비신도였지만, 메일린의 사고를 겪으면서 가톨릭교를 믿게 된다. 사고 이후 그는 세례를 받고 시간이 날 때마다 성당에 들러 기도를 드린다. 꿈속에서 신의 음성을 듣는 기묘한 경험을 하기도 한다.
메일린이 다니던 학교의 학부모는 19세기에 교황청 전교회를 설립한 성녀 폴린 자리코에게 전구 기도를 드리는 ‘살아 있는 묵주 기도회’를 조직해 메일린을 위해 기도한다. 메일린의 학교 학생들뿐 아니라 전 세계에 퍼져 있는 기도회 회원들이 마음을 모아 메일린의 회복을 기원한다. 성실한 기도와 자신보다 더 큰 존재에 대한 믿음으로 희망의 불씨를 꺼트리지 않은 이들의 모습은 신앙의 의미를 되새겨보게 한다.
사랑이 부모에서 하느님으로 전이될 수 있을까? 모든 걸 줄 수 있는 이가 있다면, 그건 아이의 부모인 우리만큼 사랑할 수 있는, 바로 그분뿐이다. 딸의 목숨을 하느님의 의지에 맡긴 일이 세례 받지 않은 신자인 내게는 끝도, 포기도 아니었다. 그것은 내가 일평생 살면서 내놓은 가장 큰 신뢰의 증거였다.
―『메일린의 기적』에서
비현실적인 판타지를 넘어 구체적인 현실로
기적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하나의 답
보통 사람들은 기적이 일어났을 때 그것이 왜 일어났는지 질문한다. 이 책에서 기적을 목격한 이들 혹은 기적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의사들도 그와 유사한 의문을 품는다. 저자는 기적 앞에서 질문하기보다는 받아들이고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고 말한다. 기적을 의심하는 대신 수용하는 태도를 가졌을 때 기적의 광채를 온전히 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메일린에게 찾아온 기적은 메일린 한 사람에게만 영향을 주지 않는다. 메일린의 놀라운 회복을 지켜본 가족과 주위 사람들은 삶에 대한 사랑을 새롭게 느낀다. 한편 메일린의 기적은 메일린을 보살핀 가족, 기도회를 조직한 학부모, 사고 이후 수차례 병원에 방문해 응원한 구급대원, 병원의 의료진 등 수많은 사람들의 힘이 모여서 이뤄진 것이다. 이 책은 기적이 기적의 수혜자에게만 일어나는 비현실적인 판타지가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펼쳐지는 구체적인 현실이라고 말한다.
책에는 바티칸에서 기적을 승인하는 절차도 깊이 있게 다뤄져 있다. 교황청에서 직접 수년에 걸쳐서 메일린의 의료기록을 조사하고, 의사들에게 자문을 맡기고, 메일린과 가족을 평의회에 초청해서 기적의 신빙성을 조사하는 과정은 어디에서도 접하기 힘든 이야기이다.
의학으로 설명할 수 없는 단계들을 지켜본 많은 이들은 이미 아이의 상태를 ‘기적적’이라고 형용했다. 하지만 ‘기적적’이라는 말에는 사람에 따라 다양한 평가나 해석이 따라붙는다. 어떤 이들은 그것에 실현 불가능하다는 특징, 누구도 예상치 못한 변화라는 의미를 부여한다. 나탈리와 나, 아이의 대부, 그리고 몇몇 친구들과 기도한 이들에게 이 말은 추가적인 위대함, 궁극적인 사랑의 몸짓, 하느님의 선물을 의미한다. 우리는 이 성취에 그저 감사할 따름이다.
―『메일린의 기적』에서
『메일린의 기적』은 지극히 현실적인 기적의 이야기로서 신앙이 없는 이들에게도 생의 신비로움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을 건넨다. 막막한 현실 앞에서 단단한 지지대를 찾는 이들에게 희망이 되어주는 기록이다.


메일린의 기적 : 죽음에서 돌아오다
$18.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