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식민통치를 위한 ‘창지개명(創地改名)’에 기본적인 자료가 된 『조선역사지리』
이 책은 일제강점기인 1913년 남만주철도회사 역사조사실에서 출간한 『조선역사지리』 2권 중 상권을 번역한 것이다. 이 조사팀에서 조선에 관한 부분을 담당한 것은 이케우치 히로시(池内宏)와 쓰다 소키치(津田左右吉) 두 사람인데, 이케우치는 주로 조선시대를, 쓰다는 고려시대 이전을 분담했다. 고려시대에 대한 부분은 『조선역사지리』 하권에서 다루고 있다.
1913년 만주역사조사부의 일본인들에 의해 간행된 『조선역사지리』를 새삼 번역하여 출판하는 목적은 하나이다. 그 내용이 사실상 근대 이후 한국사 연구의 출발점에 해당하고, 『조선역사지리』기 오늘날 한국 역사지리의 골격이 되었기 때문이다. 한국사를 ‘반도’ 안에 고착시킨 『조선역사지리』는 바로 일제강점기 조선사편수사업의 기초로 활용되었고 총독부의 식민통치를 위한 ‘창지개명(創地改名)’에 기본적인 자료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만주역사조사부의 작업은 제국 일본의 확장기라는 상황과 대륙 경영을 위한 정치적 목적을 염두에 두고 이루어진 것이다. 만주역사조사부의 연구 사업은 1915년 도쿄제국대학으로 옮겨져서 『만선지리역사 연구보고』 16권으로 간행되었다. 그러한 연구 결과가 오늘날까지 한국사 인식에 영향을 주고 있고, 나아가서는 중국의 동북공정에 활용되는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이 책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인 1913년 남만주철도회사 역사조사실에서 출간한 『조선역사지리』 2권 중 상권을 번역한 것이다. 이 조사팀에서 조선에 관한 부분을 담당한 것은 이케우치 히로시(池内宏)와 쓰다 소키치(津田左右吉) 두 사람인데, 이케우치는 주로 조선시대를, 쓰다는 고려시대 이전을 분담했다. 고려시대에 대한 부분은 『조선역사지리』 하권에서 다루고 있다.
1913년 만주역사조사부의 일본인들에 의해 간행된 『조선역사지리』를 새삼 번역하여 출판하는 목적은 하나이다. 그 내용이 사실상 근대 이후 한국사 연구의 출발점에 해당하고, 『조선역사지리』기 오늘날 한국 역사지리의 골격이 되었기 때문이다. 한국사를 ‘반도’ 안에 고착시킨 『조선역사지리』는 바로 일제강점기 조선사편수사업의 기초로 활용되었고 총독부의 식민통치를 위한 ‘창지개명(創地改名)’에 기본적인 자료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만주역사조사부의 작업은 제국 일본의 확장기라는 상황과 대륙 경영을 위한 정치적 목적을 염두에 두고 이루어진 것이다. 만주역사조사부의 연구 사업은 1915년 도쿄제국대학으로 옮겨져서 『만선지리역사 연구보고』 16권으로 간행되었다. 그러한 연구 결과가 오늘날까지 한국사 인식에 영향을 주고 있고, 나아가서는 중국의 동북공정에 활용되는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이 책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조선 역사 지리 1 - 1900년대 만주 고고학 연구자료 국역총서 3
$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