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ld outPre order
Description
안즈민 일기에 반영된 조중고고발굴대와 고조선 연구
1963~65년 사이에 중국과 북한이 공동으로 고조선을 조사한 조중고고발굴대는 중국 최초이자 마지막인 대형 국제 공동발굴이었다. 이를 통해 북한과 남한에서는 중국 동북지역의 비파형동검과 관련한 고조선 연구가 시작되었고, 지금도 고고학계의 정설이 되었다. 반면 중국에서는 문혁이라는 암흑기를 거친 직후 중화문명론을 거쳐서 동북공정과 같은 변방의 역사 체계 수립으로 이어졌다. 이렇듯 고조선과 동아시아 고고학의 연구에 획기를 그은 조중고고발굴대였지만, 그 내막은 여전히 베일에 쌓여있었다.
이 책에서는 당시 중국측에서 고조선 발굴조사를 담당한 안즈민의 생생한 일기를 번역해서 소개했다. 3년간 숨가쁘게 이어지는 그 과정이 담겨있으며, 이를 통해서 북한과 중국 모두에게 조중고고발굴대는 결코 잊히거나 다툼으로 끝난 사소한 사건이 아니었음이 밝혀졌다. 오히려 중국과 한국의 고대사 분쟁의 서막을 열었으며 남한의 고조선 연구 방향을 규정한 거대한 암류(暗流)였다. 안즈민의 일기는 그 거대한 암류에 실질적인 접근을 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인 바, 그 가치는 매우 높다.
이 책에서는 당시 중국측에서 고조선 발굴조사를 담당한 안즈민의 생생한 일기를 번역해서 소개했다. 3년간 숨가쁘게 이어지는 그 과정이 담겨있으며, 이를 통해서 북한과 중국 모두에게 조중고고발굴대는 결코 잊히거나 다툼으로 끝난 사소한 사건이 아니었음이 밝혀졌다. 오히려 중국과 한국의 고대사 분쟁의 서막을 열었으며 남한의 고조선 연구 방향을 규정한 거대한 암류(暗流)였다. 안즈민의 일기는 그 거대한 암류에 실질적인 접근을 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인 바, 그 가치는 매우 높다.

안즈민 일기 - 경희 고고학 고대사 연구총서 8
$3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