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escription
닮고 싶다. 굳고 고운 그 심성과 향기
덕을 갖춘, 완성된 인간형을 이른바 군자(君子)라 하니 그것을 본떠서 꽃과 나무 가운데 매화·난초·국화·대나무 네 가지를 따로 뽑아 사군자(四君子)라 하였다. ‘네 가지 성인’이란 뜻에서 식물 가운데 네 가지만을 가려 그것들을 군자라 하여 떠받들고 칭송하는 까닭은 무엇인가? 추위와 관련이 있다. 그것들이 견디는 추위와 일생동안 사람이 겪는 고난과 간난을 같은 것으로 이해하여 세파에도 꿋꿋이 견디며 덕과 인품을 쌓아가는 성인에 비길만한 식물이라는 데 있다. 사군자가 때때로 우리에게 주는 감동은 그저 감동이 아니라 크나큰 본보기가 되기에 예로부터 사람들은 문인화(文人畵)로서 사군자를 그리고, 그 그림을 실내에 걸어두어 한갓 식물에 지나지 않는 것일지라도 그것들이 가진 심성을 닮기 위해 노력하였다. 즉, 바르게 살아가는 데 길잡이로 삼기 위해 곁에 두고 아끼며, 굳고 고운 심성을 기르는 도구로 이용하였던 것이다.
해마다 음력 정월의 세수(歲首)를 지나면서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하는 매화는 새해의 시작과 함께 처음 피는 꽃이기에 누구에게나 강한 인상을 준다. 홍매도 있지만, 매화라고 하면 으레 옥빛보다 희고, 눈보다도 시릴 만큼 차가운 흰 매화를 떠올리게 된다. 그 차가운 흰 빛 매화가 피는 계절 또한 추위가 다 가시지 않은 때이다. 나비도 벌도 모르는 꽃, 추위에 떨면서도 제 모습과 향을 잃지 않는 꽃. 차가운 계절을 견디고 한 점 티 없는 모습으로 피는 꽃이 바로 매화이다.
옛사람들이 매화를 사랑한 뜻은, 매화를 고매한 인품을 가진 사람으로 보았던 데 있다. 고결한 자태와 은은한 향은 물론, 추위에도 지조와 절개를 잃지 않는 굳센 의지, 고아한 행동, 뛰어난 기품을 가진 완성된 인격체를 매화에 비긴 것이다. 온 세상 추위로 가득하여도 꿋꿋하게 소신을 지키고 제 모습을 잃지 않는 선비를 마음 깊이 사랑한 고려와 조선의 시인들. 그들에게 매화는 삶의 본보기였다.
이 책에서는 피고 지는 꽃을 소재로 인생의 희로애락과 만남과 이별, 사랑과 그리움을 노래한 시인묵객들의 아름다운 시와 그들 인생의 깊은 속내를 만나본다.
해마다 음력 정월의 세수(歲首)를 지나면서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하는 매화는 새해의 시작과 함께 처음 피는 꽃이기에 누구에게나 강한 인상을 준다. 홍매도 있지만, 매화라고 하면 으레 옥빛보다 희고, 눈보다도 시릴 만큼 차가운 흰 매화를 떠올리게 된다. 그 차가운 흰 빛 매화가 피는 계절 또한 추위가 다 가시지 않은 때이다. 나비도 벌도 모르는 꽃, 추위에 떨면서도 제 모습과 향을 잃지 않는 꽃. 차가운 계절을 견디고 한 점 티 없는 모습으로 피는 꽃이 바로 매화이다.
옛사람들이 매화를 사랑한 뜻은, 매화를 고매한 인품을 가진 사람으로 보았던 데 있다. 고결한 자태와 은은한 향은 물론, 추위에도 지조와 절개를 잃지 않는 굳센 의지, 고아한 행동, 뛰어난 기품을 가진 완성된 인격체를 매화에 비긴 것이다. 온 세상 추위로 가득하여도 꿋꿋하게 소신을 지키고 제 모습을 잃지 않는 선비를 마음 깊이 사랑한 고려와 조선의 시인들. 그들에게 매화는 삶의 본보기였다.
이 책에서는 피고 지는 꽃을 소재로 인생의 희로애락과 만남과 이별, 사랑과 그리움을 노래한 시인묵객들의 아름다운 시와 그들 인생의 깊은 속내를 만나본다.

무엇을 성찰할 것인가? - 위대한 시인들의 사랑과 꽃과 시 2
$2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