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혁명과 세계관의 전환 1

과학혁명과 세계관의 전환 1

$23.00
Description
“왜 유럽에서 과학이 탄생했는가”

『과학의 탄생』, 『16세기 문화혁명』을 잇는
서구 근대과학이 탄생한 과정을 풍요롭게 그려낸 역작

거장 야마모토 요시타카의
근대과학 탄생사 완결편
왜 유럽에서 과학이 탄생했는가
서구 근대과학 탄생사 시리즈의 완결편
16세기는 소위 ‘14~15세기의 르네상스’와 ‘17세기의 과학혁명’에 끼인 골짜기처럼 여겨지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에 ‘문화혁명’이라고 불러야 할 지식 세계의 지각변동이 일어났다는 점은 매우 주목할 만한 점이다. 대학의 아카데미즘과 거리가 멀고 문자문화의 세계에서 소외되었던 직인(職人)과 기술자, 예술가나 외과의, 상인이나 뱃사람들이 생산·유통이나 각종 직업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습득하고 축적한 경험 지식이 자연과 세계를 이해하는 데 유효하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이는 당시까지 대학에서 가르치던 중세 스콜라학에 대치하는 것이었으며, 고대 문예의 부활을 통해 인간성의 회복을 추구했던 후기 르네상스의 인문주의 운동마저도 뛰어넘는 새로운 지식의 가능성을 시사했다.
신간 『과학혁명과 세계관의 전환』(원제: 世界の見方の?換, 2014)은 『과학의 탄생』, 『16세기 문화혁명』의 저자이자, 일본 차세대 노벨상 수상자로 불리는 거장 야마모토 요시타카(山本義隆)가 쓴 서구 근대과학 탄생사 3부작 중 완결편인 마지막 제3부이다. 참고로, 『과학의 탄생』(원제: 磁力と重力の?見, 2003)은 국내에 2005년에 번역·출간되었고, 『16세기 문화혁명』(원제: 一六世紀文化革命,2007)은 2010년에 번역·출간되었다.
책은 15세기 중기부터 17세기까지, 북방의 인문주의 운동과 종교개혁을 배경으로 하여 중부 유럽을 무대로 한 세기 반에 걸쳐 전개된 천문학과 지리학, 즉 ‘세계 인식의 부활과 전환’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저자의 전작인 『16세기 문화혁명』을 보완하는 의미로, 16세기 문화혁명과 나란히 진행됐던 천문학 개혁의 전말을 추적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삼는다. 왜 그리고 어떻게 서구 근대에서 과학이 탄생했는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탐색은, 야마모토 요시타카의 역작들인 『과학의 탄생』, 『16세기 문화혁명』과 함께 3부작을 이루는 이 책으로 완결된다. 『과학혁명과 세계관의 전환』은 전작들과 달리 국내에는 세 권으로 분권되어 출간될 예정이며, 2019년에 제1권이 번역·출간되었다.
저자

야마모토요시타카

저자:야마모토요시타카
과학사가,자연철학자,교육자,전도쿄대전공투의장.
1941년오사카(大阪)에서태어났다.안보투쟁이한창이던1960년에도쿄(東京)대학교이학부물리학과에진학하여,1964년졸업후같은대학원에진학하여입자물리학을전공했다.동학들사이에서수재로촉망받던그는박사과정3년차에베트남반전회의에참여한것을계기로도쿄대전공투(全共鬪)의장을맡아도쿄대투쟁을이끌었던것으로유명하다.1969년야스다강당공방전에앞서경찰의지명수배를받아지하에잠복했으나,같은해9월히비야공원에서열린전국전공투연합결성대회에서체포되었다.
‘지식인의자기부정’을외쳤던그는박사과정을중퇴하고학자로서보장된대학을떠나다시제도권학계로돌아가지않았다.1970년초중반에는도쿄대지진연구소의임시직원투쟁에참여하거나후지쓰우주개발연구단의2차하청업체에서근무하기도했는데,이때천체역학을공부하거나철학서를번역하며과학사가,자연철학자의길을걷기시작했다.이후에는유명대학입시학원인순다이(駿台)예비학교에서물리강사로재직하며재야에서연구와집필을계속했다.
‘왜유럽에서과학이탄생했는가’라는질문에대한답을찾기위해분투한그의긴여정은『과학의탄생』,『16세기문화혁명』,『과학혁명과세계관의전환』이라는근대과학탄생사3부작시리즈의완결로결실을맺었다.이작업은전공투시절품었던‘일본사회가근대화를경험하지못한것이아닌가’라는의문에서시작되었는데,공교롭게도2011년본서집필중후쿠시마에서전대미문의원전사고가발생했다.저자는이를계기로일본과학기술사회에대한비판이시급하다고판단해,『후쿠시마,일본핵발전의진실』,『일본과학기술총력전』등의집필과강연을이어가일본사회에큰경종을울리기도했다.
야마모토요시타카님의최근작
일본과학기술총력전(이와나미)후쿠시마일본핵발전의진실(우리도반드시알아야할)16세기문화혁명(양장본HardCover)과학의탄생전체선택장바구니담기

역자:김찬현
경기과학고등학교를졸업하고,일본오사카(大阪)대학교이학부와도쿄(東京)대학교대학원이학계연구과에서물리학을전공했다.유럽원자핵공동연구소(CERN)에서진행된반수소(反水素)원자합성연구에참여해석사학위를받았다.그후반도체기업SK하이닉스에서소자엔지니어로근무하며개발에서양산으로이어지는산업현장을경험했다.현재는사단법인변화를꿈꾸는과학기술인네트워크(ESC)의이사를맡고있으며,특히과학기술정책및과학커뮤니케이션에관심을두고활동중이다.옮긴책으로『이공계X의글쓰기책』,《메이커스Vol.04:테오얀센의미니비스트》가있다.

역자:박철은
한국외국어대학교일반대학원서양철학석사학위를취득하고,고베(神戶)대학교대학원이학연구과비선형과학박사후기과정을수료하고이학박사학위를취득했다.와세다(早?田)대학교이공학술원총합연구소초빙연구원을거쳐,고베대학교대학원이학연구과연구원으로재직중이다.옮긴책으로『생명이론』,『허구세계의존재론』,『시간의정체』,『고쿠분고이치로의들뢰즈제대로읽기』등이있다.

목차

야마모토요시타카는누구인가
들어가며

제1장고대의세계상이도달한지평―아리스토텔레스와프톨레마이오스
1.아리스토텔레스의우주상
2.플라톤의영향
3.프톨레마이오스가생각한천문학
4.프톨레마이오스의태양과달이론
5.프톨레마이오스의행성이론
6.유도원·주전원모델의배경
7.이심원·등화점모델의정밀도
8.우주의크기와『행성에관한가설』
9.천문학과자연학의분열과상극
10.프톨레마이오스의『지리학』

제2장지리학,천문학,점성술―포이어바흐를둘러싸고
1.인문주의와프톨레마이오스의부활
2.독일의인문주의운동
3.15세기의빈대학
4.포이어바흐와『행성의신이론』
5.포이어바흐의천문학
6.실학으로서의중세천문학
7.서구점성술의기원을둘러싸고
8.기독교와점성술
9.지리학과점성술
10.궁정수학관의탄생

제3장수학적과학과관측천문학의부흥―레기오몬타누스와발터
1.수학적과학의부활
2.레기오몬타누스와삼각법
3.레기오몬타누스의프톨레마이오스비판
4.레기오몬타누스와동심구이론
5.과학의진보라는개념의출현
6.레기오몬타누스의천체관측
7.자연과학서의출판계획
8.에페메리데스와캘린더
9.제자발터와관측천문학

제4장프톨레마이오스지리학의갱신―천지학과수리기능자들
1.프톨레마이오스의『지리학』을둘러싸고
2.베하임과베르너
3.뒤러와그주변인들
4.휴대용해시계의제작을둘러싸고
5.요하네스쇠너
6.천지학과발트제뮐러
7.프톨레마이오스『지리학』의대상화
8.제바스티안뮌스터
9.필드작업과협동연구
10.페트루스아피아누스
11.『황제의천문학』

부록A.프톨레마이오스천문학에관한보충설명

출판사 서평

『과학의탄생』,『16세기문화혁명』의저자
거장야마모토요시타카는누구인가

저자는총3부작의긴여정을통해서구에서과학이탄생한과정을풍요롭게그려냈다.저자가이처럼오랜기간동안근대과학사3부작을저술할수있었던배경은그의독특한이력을통해살펴볼수있다.1941년오사카에서태어난야마모토요시타카는과학사가,자연철학자,교육자이자전도쿄대전공투(全共鬪)의장이었다.안보투쟁이한창이던1960년에도쿄대학교에진학하여,베트남반전회의에참여한것을계기로도쿄대전공투의장을맡아도쿄대투쟁을이끌었던것으로아주유명하다.1969년야스다강당공방전에앞서경찰의지명수배를받아지하에잠복했으나,같은해9월히비야공원에서열린전국전공투연합결성대회에서체포되었다.
1960년대의급격한경제발전과함께정치·사회적으로요동치는상황을직접체험한저자는‘일본사회가사실근대화를경험하지않은것이아닐까’라는의문을품었고,과학도출신인만큼이와관련해‘왜유럽에서과학이탄생했는가’라는질문의답을추구하게되었다고한다.이런문제의식은재야학자로서그가걸어온연구의발자취로이어져,1970년대에는주로물리학과철학에관련된번역서,1980년대부터2010년초반까지는과학사연구서,그리고2010년대에는근현대일본과학기술사회를비판한평론서를세상에내놓게된다.
과학사가인저자의가장큰특징은,역사에서중요한함의를읽어내는통찰력뿐만아니라각시대에등장한이론체계를수리적으로해석할수있는수학적·물리학적지식을겸비한다는데있다.이책『과학혁명과세계관의전환』에서는주제에따라두요소의절묘한균형점을찾아내면서이러한장점이특히잘드러난다.15세기까지사변적인학문의세계와경험적인기술의세계는서로분리되어존재하고있었으며,그경험적인기술의세계는육체적이고천한것으로여겨졌다.그러나그이후학자집단과직인이서로접근하면서일어난‘16세기문화혁명’을통해학문과기술의융화가일어났으며,이것이17세기과학혁명으로이어졌다는것이저자의주장이다.
과학과사회를바라보는기존의여러편견에서벗어나,학문적으로도사회적으로도뜻깊은경험을저자는독자들에게전달하고있다.생업을병행하면서도지킨극한의학문적성실성,과학과사회에관한깊은성찰과시민의식은,읽는이로하여금저자의저술에경의를표하게만든다.

천문학의부흥(復興)과천지학의제창(提唱)
관측과계산에기반을둔천문학을이룩해낸위대한인물들
레기오몬타누스로부터케플러까지한세기반동안유럽은물리학적천문학,더넓은의미에서는수학적자연과학을처음으로만들어냈다.이과정은세계를보는관점이지구중심의우주상으로부터태양중심의천문학으로변혁했음을의미했으며,중세대학에서는그다지관심받지못했던직인적·상인적작업,즉수작업에의한관측기기의제작,수년간에걸친천체관측,그리고매우큰자릿수를다루는방대한계산등을기반으로하여관측함으로써옳고그름을판정하는완전히새로운양식의자연연구를탄생시켰다.또한관측과계산에기반을둔천문학을정의와논증에기반을둔자연학의상위에둠으로써과거의학문서열을전복시켰다.그때까지의정성적인자연학을수학적인물리학으로바꿔물리학적천문학,즉천체역학이라는관념을만들어내는과정이기도했다.인식의내용,진리성의기준,연구의방법,그리고학문의목적모두를쇄신하는과정이었던것이다.단적으로말하면‘세계관과학문양식의전환’이었다.이렇게유럽은17세기의신과학을준비하게된다.
『과학혁명과세계관의전환』제1권에서는고대의우주론과천문학에대해설명하면서그내용이서구중세에서어떻게받아들여졌는지간단하게다루고있다.15세기서유럽에서부활한천문학이고대천문학의어떤점을계승하고어떤점을변혁했는지를밝힌다.제1권에서는‘천문학’과아울러,부제에서언급하는‘천지학(天地學)’에대한내용도서술된다.지리학은원래Geographia를말하지만,당시유럽에서는‘지지학적기술인지리학’인게오그라피아(Geographia)와의차이를강조하기위해‘코스모그라피아(Cosmographia)’라는용어를사용하기도했다.단순히지구(게오)를기술(記述)한것이아니라우주(코스모)의일부로서의지구와세계에대한학문의의미로Cosmographia를사용했는데,이책에서는그것을‘천지학’이라고번역하고있다.또한책에서는근대과학사속다양한인물들이등장한다.그중대표적인인물몇명을추려보면다음과같다.

프톨레마이오스:클라우디오스프톨레마이오스(AD83년경~168년경).고대그리스의수학자,천문학자,지리학자,점성학자이다.고대그리스의천문학은로마제국의지배아래있었던알렉산드리아의연구자프톨레마이오스에의해집대성되었다.프톨레마이오스는2세기의저서『알마게스트(Almagest)』에서이심원(離心圓)·주전원(周轉圓)모델이라는수학적으로정교하며예측력이뛰어난천문학체계를만들어냈다.수백년에걸쳐수학적천문학에서기술(記述)과계산의기본형식을제공했다.지구중심설(천동설)의마지막체계를완성했다.

포이어바흐:게오르크포이어바흐(1423~1461).천문학자이자수학자.오스트리아에서태어나빈대학에서강의했다.수학과천문학에관심이많아『알마게스트』를계승하여15세기에『행성의신이론』이라는훌륭한천문학입문서를저술했다.

레기오몬타누스:요하네스레기오몬타누스(1436~1476).포이어바흐의제자이며,수학자이자천문학자.본명은요하네스뮐러이다.『알마게스트적요』를완성하고『삼각형총설』을저술했다.관측천문학을추구한천문학자로,프톨레마이오스의이론을비판하기도했다.

발트제뮐러:마르틴발트제뮐러(1470~1520).독일의지도제작자.1507년에세계지도를제작하고『천지학서설』을집필했다.이지도에서‘아메리카’라는이름을처음사용했다.지상의측량에기반을둔지도제작의선구자중한사람으로인정받는다.직접측정기기를제작하고현장에나가측량을수행한수리기능자이기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