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공직이란 무엇인가, 공직자는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
제44대 검찰총장 김오수가, 33년의 공직생활을 마친 후
항상 길잡이가 되어 주었던 충무공 이순신에게 바치는 소회
제44대 검찰총장 김오수가, 33년의 공직생활을 마친 후
항상 길잡이가 되어 주었던 충무공 이순신에게 바치는 소회
“1576년 12월 임시직이던 권지훈련원봉사 충무공에게 처음 부여된 보직은 함경도 동구비보(함경도 삼수 지역) 권관(종9품)이었다. 그의 나이 31세였다. (…) 1994년 3월 필자는 인천지검 초임 검사가 되었다. 우연히 충무공이 처음 공직을 시작한 것과 같은 31세였다.”
공직자로서 자신의 자취를 충무공 이순신의 발걸음에 겹쳐서 본다고 하면 그것은 분명 쉬이 받아들일 수 없는 시도일 것이다. 그만큼 충무공 이순신이라고 하는 이름은 너무도 거대하고, 또 무겁다. 저자에게 있어서도 마찬가지였다. 자신의 공직생활을 충무공 이순신의 생애와 결부짓는다는 것은 쉽사리 시도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특히 어린 시절부터 『난중일기』를 읽고 충무공을 존경해왔던 저자에게 있어서 충무공 이순신이라고 하는 이름은 일종의 성역과도 같은 특별한 것이었다. 그러한 부담에도 불구하고 이번에 저자가 이순신이라고 하는 ‘공직자’를 들여다보고, 그를 바탕으로 자신의 지난 공직생활을 돌이켜보고자 하는 데는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
첫째는 물론 저자가 오랜 공직생활 동안 줄곧, 충무공 이순신이라고 하는 걸출한 인물을 위대한 이정표로 생각해 왔다는 점이다. 아마 그런 마음을 품고 있는 것은 비단 저자만이 아닐 것이다. 충무공 이순신이라고 하는 이름은 그 정도로 우리나라 사람들의 마음속에서 큰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이름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가 충무공 이순신에게 가지고 있는 마음은 각별한 구석이 있다. 충무공을 모시고 있는 충무사 가까이 부임하게 되었을 때는 휘하의 공직자들과 함께 충무사를 찾아 참배하기도 했고, 충무공이 남긴 글귀를 현판으로 걸어놓거나 검찰총장실 복도에 거북선의 모형을 전시하기도 했다. 그저 마음속으로 존경심을 가지고 있는 것을 넘어서서 공직생활을 하면서 항상 충무공 이순신이라고 하는 거인을 의식하고, 본받고자 했던 것이다. 비슷한 나이에 공직생활을 시작했다는 점이나, 전국 각지를 임지로 삼아 떠돌아다니는 생활, 그 임지들이나 여행지 곳곳에서 느껴지는 충무공의 흔적 등을 바라보면서 느끼는 것은 자신의 공직생활이 충무공의 그것과 비슷하다는 동질감 같은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궤적이 겹치면 겹칠수록 충무공이라고 하는 거인이 남긴 발자취에는 턱없이 모자르다는 생각에 자신의 왜소함을 절감할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발자취에서 눈을 돌리지 않고 정면으로 마주함으로써 공직자로서 나아가야 할 길이 밝혀지는 듯한 기분이 들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기분을 자신만이 아닌 이 땅 위의 수많은 공직자들도 함께 느꼈으면 하는 바람에 저자는 글을 쓰기 시작했다.
다음으로는 지금 대한민국에 불어오는 하 수상한 바람이다. 특히 가깝고도 먼 나라 일본과의 관계가 심상치 않다고 저자는 말한다. 일본은 지난 역사에서 우리 민족에게 가장 큰 고통과 피해를 안겨주었던 나라이지만 여태까지 제대로 된 사과 없이 수시로 역사를 왜곡하거나 우리나라를 비난하는 등 물의를 일으키고 있다. 그런데 2024년 현재, 그러한 일본에 대한 정부의 태도가 심상치 않다. 이러한 때야말로 일본의 무도한 침략에 맞서 백성들을 지켰던 우리 역사의 가장 위대한 공직자, 충무공을 생각할 때라고 저자는 말한다. 그리고 그 유지를 되새기는 것은 다름 아닌 공직자의 일단으로서 일하기도 했던 본인의 책무임을 통감한다.
공직자로서 자신의 자취를 충무공 이순신의 발걸음에 겹쳐서 본다고 하면 그것은 분명 쉬이 받아들일 수 없는 시도일 것이다. 그만큼 충무공 이순신이라고 하는 이름은 너무도 거대하고, 또 무겁다. 저자에게 있어서도 마찬가지였다. 자신의 공직생활을 충무공 이순신의 생애와 결부짓는다는 것은 쉽사리 시도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특히 어린 시절부터 『난중일기』를 읽고 충무공을 존경해왔던 저자에게 있어서 충무공 이순신이라고 하는 이름은 일종의 성역과도 같은 특별한 것이었다. 그러한 부담에도 불구하고 이번에 저자가 이순신이라고 하는 ‘공직자’를 들여다보고, 그를 바탕으로 자신의 지난 공직생활을 돌이켜보고자 하는 데는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
첫째는 물론 저자가 오랜 공직생활 동안 줄곧, 충무공 이순신이라고 하는 걸출한 인물을 위대한 이정표로 생각해 왔다는 점이다. 아마 그런 마음을 품고 있는 것은 비단 저자만이 아닐 것이다. 충무공 이순신이라고 하는 이름은 그 정도로 우리나라 사람들의 마음속에서 큰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이름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가 충무공 이순신에게 가지고 있는 마음은 각별한 구석이 있다. 충무공을 모시고 있는 충무사 가까이 부임하게 되었을 때는 휘하의 공직자들과 함께 충무사를 찾아 참배하기도 했고, 충무공이 남긴 글귀를 현판으로 걸어놓거나 검찰총장실 복도에 거북선의 모형을 전시하기도 했다. 그저 마음속으로 존경심을 가지고 있는 것을 넘어서서 공직생활을 하면서 항상 충무공 이순신이라고 하는 거인을 의식하고, 본받고자 했던 것이다. 비슷한 나이에 공직생활을 시작했다는 점이나, 전국 각지를 임지로 삼아 떠돌아다니는 생활, 그 임지들이나 여행지 곳곳에서 느껴지는 충무공의 흔적 등을 바라보면서 느끼는 것은 자신의 공직생활이 충무공의 그것과 비슷하다는 동질감 같은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궤적이 겹치면 겹칠수록 충무공이라고 하는 거인이 남긴 발자취에는 턱없이 모자르다는 생각에 자신의 왜소함을 절감할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발자취에서 눈을 돌리지 않고 정면으로 마주함으로써 공직자로서 나아가야 할 길이 밝혀지는 듯한 기분이 들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기분을 자신만이 아닌 이 땅 위의 수많은 공직자들도 함께 느꼈으면 하는 바람에 저자는 글을 쓰기 시작했다.
다음으로는 지금 대한민국에 불어오는 하 수상한 바람이다. 특히 가깝고도 먼 나라 일본과의 관계가 심상치 않다고 저자는 말한다. 일본은 지난 역사에서 우리 민족에게 가장 큰 고통과 피해를 안겨주었던 나라이지만 여태까지 제대로 된 사과 없이 수시로 역사를 왜곡하거나 우리나라를 비난하는 등 물의를 일으키고 있다. 그런데 2024년 현재, 그러한 일본에 대한 정부의 태도가 심상치 않다. 이러한 때야말로 일본의 무도한 침략에 맞서 백성들을 지켰던 우리 역사의 가장 위대한 공직자, 충무공을 생각할 때라고 저자는 말한다. 그리고 그 유지를 되새기는 것은 다름 아닌 공직자의 일단으로서 일하기도 했던 본인의 책무임을 통감한다.
공직자 충무공 : 이순신의 삶으로부터 배우는 공무원의 길
$2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