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마을과 세계 사이에서 삶의 의미를 찾은 에코페미니스트 마리아 미즈의 여정
“지역이 세계의 일부인 것처럼 세계도 지역의 일부다”
“지역이 세계의 일부인 것처럼 세계도 지역의 일부다”
왜 지금 다른 세계를 위해 싸운 에코페미니스트의 삶을 읽는가
사회에서 규정한 성 역할을 강요하는 가부장제에서 여성과 남성을 함께 해방하자는 것이 페미니즘의 기치이지만, 성별 사이에 오해와 불신이 커지면서 혐오로 번져 왜곡된 측면이 있다. 그러나 페미니즘이 추구하는 가치는 여전하고 그 뜻을 제대로 이해하고 실천할 때에라야 여성도 남성도 자유로울 수 있음은 분명하다. 따라서 페미니즘의 역사를 되돌아보며 현재를 비춰보는 것은 인간 해방을 위한 사회 운동의 발전뿐 아니라 개인의 삶을 위해서도 더없이 소중하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역사는 반복하고 과거는 미래의 거울이 아니던가. 저명한 독일 사회학자이자 활동가로 2023년 5월 92세를 일기로 타계한 마리아 미즈는 2008년 집필한 이 책에서 독일 및 세계 여성 운동의 역사를 증언한다. 그녀는 서문에서 ‘망각에 저항해’ 이 책을 썼다고 밝혔다.
에코페미니즘은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자연과 여성을 함께 해방하자는 사상이자 운동으로, 가부장제 자본주의 사회에서 둘에 대한 착취의 본질이 같다는 통찰에서 비롯했다. 미즈는 1970년대 가내 수공업으로 레이스를 만드는 인도 여성들을 연구하며 이런 노동이 레이스를 서구 시장에 판매하는 자본가에게는 최대 이윤이 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들은 집에서 각자 일하며 최저 임금을 받고, 집단행동을 못 하고, 집안일도 병행했다. 가부장제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여성을 타고난 주부로 정의해 이런 가사 노동을 임금 없이 전유(專有)한다(이는 생존을 위한 자급자족의 노동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미즈는 이를 자본주의의 동력이자 정수로 보고 ‘노동의 가정주부화’로 명명했다. 자연도 가사·자급자족 노동처럼 무한정 사용 가능한 자유재로 간주해 남용한다. 에코페미니즘은 여성과 자연에 대한 이런 착취에 반대하는 이념이다.
미즈는 가부장제 자본주의의 대안으로 소규모 공동체의 자급과 풀뿌리 민주주의에 기반한 세계 경제를 제안한다. 그녀가 말하는 ‘자급’은 이윤이 아닌 생존을 목표로 하는 노동으로, 사회 구조를 돈보다 삶 중심으로 재편하자는 철학이라 할 수 있다. 산업 사회의 근간인 자본주의와 가부장제에 내재한 모순을 지적하고 삶의 방향을 재설정하자고 주장하는 것이다. 미즈가 생각하는 ‘좋은 삶’은 그동안 간과한 무급 노동과 ‘살림’의 가치를 재평가해 경제적 가치에 밀려난 인간의 존엄을 되찾는 삶이다. 그녀는 사람·노동·자연을 이윤의 원천으로 보는 신자유주의 세계화를 비판하고 사회가 변화하는 와중에 희생당하는 약자들, 특히 남반구(제3세계) 시민들과 연대해 저항했다. 그녀의 통찰과 행동은 기후 위기를 겪으며 산업 사회의 허점을 목도하고 있는 우리에게 시사점이 있다.
사회에서 규정한 성 역할을 강요하는 가부장제에서 여성과 남성을 함께 해방하자는 것이 페미니즘의 기치이지만, 성별 사이에 오해와 불신이 커지면서 혐오로 번져 왜곡된 측면이 있다. 그러나 페미니즘이 추구하는 가치는 여전하고 그 뜻을 제대로 이해하고 실천할 때에라야 여성도 남성도 자유로울 수 있음은 분명하다. 따라서 페미니즘의 역사를 되돌아보며 현재를 비춰보는 것은 인간 해방을 위한 사회 운동의 발전뿐 아니라 개인의 삶을 위해서도 더없이 소중하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역사는 반복하고 과거는 미래의 거울이 아니던가. 저명한 독일 사회학자이자 활동가로 2023년 5월 92세를 일기로 타계한 마리아 미즈는 2008년 집필한 이 책에서 독일 및 세계 여성 운동의 역사를 증언한다. 그녀는 서문에서 ‘망각에 저항해’ 이 책을 썼다고 밝혔다.
에코페미니즘은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자연과 여성을 함께 해방하자는 사상이자 운동으로, 가부장제 자본주의 사회에서 둘에 대한 착취의 본질이 같다는 통찰에서 비롯했다. 미즈는 1970년대 가내 수공업으로 레이스를 만드는 인도 여성들을 연구하며 이런 노동이 레이스를 서구 시장에 판매하는 자본가에게는 최대 이윤이 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들은 집에서 각자 일하며 최저 임금을 받고, 집단행동을 못 하고, 집안일도 병행했다. 가부장제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여성을 타고난 주부로 정의해 이런 가사 노동을 임금 없이 전유(專有)한다(이는 생존을 위한 자급자족의 노동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미즈는 이를 자본주의의 동력이자 정수로 보고 ‘노동의 가정주부화’로 명명했다. 자연도 가사·자급자족 노동처럼 무한정 사용 가능한 자유재로 간주해 남용한다. 에코페미니즘은 여성과 자연에 대한 이런 착취에 반대하는 이념이다.
미즈는 가부장제 자본주의의 대안으로 소규모 공동체의 자급과 풀뿌리 민주주의에 기반한 세계 경제를 제안한다. 그녀가 말하는 ‘자급’은 이윤이 아닌 생존을 목표로 하는 노동으로, 사회 구조를 돈보다 삶 중심으로 재편하자는 철학이라 할 수 있다. 산업 사회의 근간인 자본주의와 가부장제에 내재한 모순을 지적하고 삶의 방향을 재설정하자고 주장하는 것이다. 미즈가 생각하는 ‘좋은 삶’은 그동안 간과한 무급 노동과 ‘살림’의 가치를 재평가해 경제적 가치에 밀려난 인간의 존엄을 되찾는 삶이다. 그녀는 사람·노동·자연을 이윤의 원천으로 보는 신자유주의 세계화를 비판하고 사회가 변화하는 와중에 희생당하는 약자들, 특히 남반구(제3세계) 시민들과 연대해 저항했다. 그녀의 통찰과 행동은 기후 위기를 겪으며 산업 사회의 허점을 목도하고 있는 우리에게 시사점이 있다.
마을과 세계 - 에코페미니스트 마리아 미즈의 삶과 시대 |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전환의 시대와 젠더 번역총서 1
$23.00
- Choosing a selection results in a full page refre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