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 이강은 이강이다

이강, 이강은 이강이다

$20.00
Description
빈손과 빈 붓의 시적 조우
몇 년 전, 백양사에서 시대의 언저리를 쓰다듬던 전라도 출신 몇 사람이 모인 적이 있는데, 옅은 미소만 머금고 쓸쓸한 표정으로 자리가 파하기만을 기다리는 듯한 한 사람이 있었다. 이강 선생이었다. 형제들을 죄다 끌고 혁명의 격랑을 헤쳐왔다는 말을 들었다. 형제 가운데 누구도 혁명의 과실을 얻지 못했다고 한다. 혁명이라는 바구니에는 야만과 새로움이라는 두 주제가 함께 담겨 있다. 낡은 질서가 쓸모없는 것으로 여겨지면 일거에 무너뜨리고 야만에 빠진다. 소위 혁명이다. 야만의 정당성은 새로움을 향한 깃발이 보장한다. 자신을 혁명하지 않은 채 일어난 자칭 혁명가들은 야만에만 머물고, 새로움의 길을 열 덕성이 없다. 마침내 혁명의 깃발을 찢어 완장을 만들어 차는 것이다. 혁명의 과실들은 완장들의 손아귀에 잡혔다. 혁명가와 고작 반항아의 차이는 깃발을 품고 계속 흔들리느냐, 아니면 깃발을 찢어 완장을 만들어 찼느냐의 차이다. 또 하나는 과실을 움켜쥐었느냐, 아니면 빈손이냐의 차이다.

이강은 빈손이다.
눈이 밝지 않은 사람에게 김호석의 그림은 덜 그린 것 같이 보일 수도 있다. 붓놀림에 절제와 겸손이 가득하다. 『주역』은 음과 양의 두 효를 이리저리 놀리면서 인생사 대부분을 설명하는데, 여섯 효로 되어 있는 모든 괘에는 길과 흉이 다 들어있다. 겸(謙)괘 하나만 예외여서, 길(吉)한 점사로만 가득하다. 겸괘는 땅 안에 큰 산이 숨겨져 있는 형상이다. 마음속에 큰 산하나 품고 하는 절제라야 비로소 겸손이다. 그림으로 짐작하건대, 김호석의 마음속에는 큰 산하나가 자라고 있을 것이다. 운동할 때 힘을 빼는 것은 정확하고 강한 타격을 위함이다. 절제와 겸손이 큰 산을 더 크게 하는 것 같은 이치다. 김호석은 어느 초상화에 이르러 눈 그리는 동작을 아예 절제하였다. 그리하여 이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진짜 눈! 눈의 진실이 현현하였다. 누군가의 가장 밝은 눈이 되었고, 더 나아가 이 세상의 눈동자가 모두 그 자리에 가득 들어앉았다.

김호석은 빈 붓이다.
남길 말만 겨우 남겨서, 문자가 차라리 사라지기 일보 직전의 벼랑에 걸려 있는 상태라야 인위적 표현은 비로소 자연스럽게 완성된다. 문자가 차라리 사라져버리려고 몸부림치면서 벌려놓은 틈새에는 신의 세계에 살던 소리가 찾아들어 큰 산처럼 박힌다. 시는 이렇게 태어난다. 빈손과 빈 붓의 시적 조우는 천둥처럼, 번개처럼, 비처럼, 바람처럼 빈틈없이 세상을 가득 채운다. -최진석교수 글에서
저자

김호석

김호석은전북정읍에서태어나홍익대학교동양화과와동대학원동양화과를졸업하고,동국대학교대학원미술사학과에서“한국암각화의도상과조형성연구”로박사학위를받았다.대학시절중앙미술대전에서〈아파트〉로장려상을수상(1979)한이래오늘에이르기까지역사화,농촌풍경화,역사인물화,서민인물화,가족화,성철스님화,선화,군중화,동물화등의작품을통해우리시대의정신과삶의모습을형상화하는데몰두해왔다.
특히조선시대초상화기법으로현대서민들의얼굴을그려동시대의표정을생생히살려낸점은잊혀진전통을창조적으로계승한모범이라하여국제적으로크게호평을받았다.국립현대미술관‘올해의작가-김호석전’,고려대학교박물관김호석초대전‘틈’,제주돌문화공원오백장군갤러리‘보다’,수피아미술관‘석재문화상수상작가전’을비롯27회의개인전을가졌으며,뉴욕퀸즈미술관,아시아소사이어티,인도역사박물관등에서개최한300여차례의단체전및기획초대전에참가했다.2000년제3회광주비엔날레한국대표작가로선정,미술기자상을수상했으며,대표작으로〈역사의행렬〉〈황희정승〉〈그날의화엄〉〈도약〉등이있다.특히그의그림중가족화시리즈는가족의소소한일상을섬세한붓질과과감한생략이라는상반된기법으로생동감있게표현해잔잔한감동과함께삶의작은행복을느끼게한다.
저서로는『문명에활을겨누다』등10권의화집과『모든벽은문이다』『한국의바위그림』등을펴냈으며,엮은책으로는『수녀님서툰그림읽기』『수녀님화백의안경을빌려쓰다』『사유의경련』등이있다.

목차

추천사_빈손과빈붓의시적조우_최진석_5
광주정신의모델,이강선생을수묵화로담아내다_홍인화_11
이강,세상을품다<김호석전시회>_정희석_15
이강에게진빚_장요세파_105
큰형이강의초상화를감상하다_이윤_127
화해-김호석의살풀이_청원스님_139
김호석선생의이강초상화를보고_김정희_153
김호석의초상화를보며_박두규_159
나는‘청송녹죽’이라쓰고‘이강’이라고읽는다_김형수_167
김호석화백의예술세계-통찰력_장요세파_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