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한국학의 현황과 발전 방향 : 정체성의 정치와 공공외교의 한국학 - K학술확산연구센터 총서 (양장)

글로벌 한국학의 현황과 발전 방향 : 정체성의 정치와 공공외교의 한국학 - K학술확산연구센터 총서 (양장)

$29.56
저자

이진영외

저자:이진영
인하대학교

저자:고상두
연세대학교

저자:김성진
덕성여자대학교

저자:송석원
경희대학교

저자:이윤경
토론토대학교

저자:이은정
베를린자유대학교

저자:김영미
에딘버러대학교

저자:김희연
프랑스국립동양학대학교

저자:신성철
뉴사우스웨일즈대학교

저자:최경희
서울대학교

저자:김금현
말라야대학교

저자:류승완
쿠알라룸푸르대학교

저자:박룡
상하이교통대학교

저자:성동기
인하대학교

저자:나동규
경희대학교

목차


간행사

1부한국학과사회과학

한국학의발전과정과글로벌한국학:현황과방향_이진영
1.서론
2.한국학의전개과정
3.한류와한국학의변화
4.글로벌한국학의필요성과인하대학교K학술확산연구센터
5.요약과결론

지역학,한국학,정치외교학_고상두
1.지역학의개념적특징
2.지역연구의방법
3.한국학의실태
4.한국학발전을위한과제

‘한국학’발전과사회과학적접근:정치학을중심으로_김성진
1.서론
2.사회정체성이론과한국학
3.해외한국학교육과정현황
4.한국정치학의정체성논의
5.결론

2부일본,유럽및영미권에서의한국학의동향

일본의한국학연구_송석원
1.서론
2.1945년이전일본의한국학연구
3.1945년이후일본의한국학연구
4.일본의한국학현황
5.맺음말

러시아의한국학_고상두
1.서론
2.러시아의한반도전문가
3.한국연구싱크탱크현황
4.러시아대학의한국학현황
5.러시아국민의한국에대한인식
6.러시아의한국학발전을위한과제

북미사회과학내한국학의발전과동향_이윤경
1.서론
2.북미지역학·한국학의태동과지식생산의문제점
3.최근북미한국학의변화와현황
4.북미사회과학과의관계속에서한국학발전을위한제언

독일의한국학현황_이은정
1.서론
2.한국을보는독일인의시선에담긴오리엔탈리즘
3.한국학의제도화과정
4.독일한국학의연구성과
5.결론:지역학으로서한국학방법론모색

영국의한국학연구동향_김영미
1.한국학프로그램속의연구
2.개인별한국학연구
3.학문분야별한국학그리고한국학전망과발전방향
4.마무리하며:국내외한국학연구지원의과제

프랑스한국학의발전과연구동향:지역학에서인문사회과학방법론으로_김희연
1.서론
2.시대별프랑스한국학의발전
3.한국학연구기관과주제별연구동향
4.결론

3부아시아및대양주와유라시아한국학의발전

대양주한국관련연구동향조사분석연구_신성철
1.서론
2.연구방법
3.호주와뉴질랜드대학의한국학발전과정
4.호주및뉴질랜드대학들의연구주제와동향
5.토론및결론

인도네시아의한국학:‘사회과학’으로서한국학관점의재조명_최경희
1.서론
2.글로벌한국학의지역적맥락과사회과학으로서의한국학
3.인도네시아한국학과한국학증진의유발요인
4.인도네시아에서한국학연구자들의조직과연구
5.결론

말레이시아의한국학_김금현·류승완
1.서론
2.한국학발전과정:전환기를중심으로
3.한국학연구기관:연구활동및국외협력
4.결론:말레이시아한국학의전망과도전

중국의한국학교육과연구_박룡
1.서론
2.중국의한국학교육현황
3.중국의한국학연구현황
4.중국의한국학향후전망

한국에거주하는고려인을위한한글교육개선방향분석_성동기
1.서론
2.한국에거주하는고려인실태분석
3.고려인의한국어습득과정및수준분석
4.고려인의한국어습득문제점과해결방법
5.결론

부록:전세계사회과학분야한국학의현황과사례_나동규
1.서론
2.자료수집과분석
3.사회과학관련강좌제공대학,학과,강좌명
4.사회과학으로서한국학의제도화
5.사회과학관련강좌제공주체
6.사회과학과인문학강좌비교
7.정치외교학으로서의한국학강좌
8.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