흄의 도덕원리 연구

흄의 도덕원리 연구

$19.00
Description
흄의 윤리학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원리
도덕은 보편적인 것이다. 만약 도덕이 사실에 관계된 것이라면, 보편성이 들어설 여지가 없다. 그러나 도덕은 감정에 관한 것이다. 특정한 사안에 대한 가치 평가는 지역과 역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도덕의 내용은 다양할 수 있지만, “인간의 본성”에 기초한 도덕의 보편적 원리들은 존재한다. [도]덕은 사회 구성원의 성격, 행동, 판단에 대해 모든 사람이 유쾌하게 느끼거나 시인하는 마음의 성질이다. 사회적 덕의 경우 그런 시인하는 성질은 효용성에 근거해 있다. 즉 사람들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효용성, 즉 공공의 이익에 대해 긍정적인 감정을 가진다. 그리고 흄이 분명히 적시하듯이 공감, 인간성, 자비심 등은 도덕의 궁극적 원리들이다. 흄의 인식 이론의 논리를 근거로 하여 흄의 윤리학을 회의론적 시각에서 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저자

데이비드흄

1711년,영국에든버러에서태어났다.영국의경험론철학자이자역사가이며저술가인흄은1711년스코틀랜드의수도에든버러에서태어났다.그의아버지는스코틀랜드국경에서얼마떨어지지않은나인웰스의소지주였고어머니는스코틀랜드고등민사법원장의딸이었다.흄은법학공부를원했던가족의기대와달리철학에심취하여대학시절다양한분야의서적을탐독하며보냈다.그러나신경쇠약으로학교를마치지못한채흄은1734년브리스틀의한상점에서서기로일하기도했다.그러나그는곧유산을상속받아프랑스유학길에오르게되었고데카르트가교육받았던라플레셰의예수회대학에서공부하며그곳에서그의첫저작인《인성론》을집필했다.고향으로돌아온흄은에든버러대학교의윤리학및정신철학교수직에지원했지만무신론자라는비난을받아뜻을이루지못했다.그는경제적자립을위해세인트클레어장군의비서가되어외교사절로서유럽각지를여행했다.이시기에번돈으로연구에몰두하게된흄은《인성론》개작에착수했다.《인간이해력탐구》는《인성론》의앞부분과<기적에관하여>라는논문을덧붙인것이고《도덕원리탐구》는《인성론》의뒷부분을개작한것이다.이두저서는흄의사상을포괄적으로나타내고있다.1752년흄은에든버러변호사도서관장에임명되어독서와집필에전념할수있었다.카이사르침략기부터1688년까지를서술한《영국사》가이시기에출판되었다.이책으로그는국내외에널리알려지게되었고1763년흄은파리주재영국대사비서관으로임명되었다.파리에서그는해박한지식,예리한사고,뛰어난유머등으로명성을얻었다.1769년흄은고향인에든버러에돌아와다양한연회와토론회에서여러친구들과즐겁게어울리고또이미출판된저서들을교정하거나개작하면서남은생을보냈다.그는1776년에지병인간종양으로사망했다.

목차


옮긴이머리말
A~R판의목록

1장도덕의일반원리에관하여
2장자비심에관하여
3장정의에관하여
4장정치적사회에관하여
5장효용성은왜기쁨을주는가?
6장우리자신에게유용한성질들에관하여
7장우리자신에게직접유쾌한성질들에관하여
8장다른사람에게직접유쾌한성질들에관하여
9장결론

부록1도덕적감정에관하여
부록2자기애에관하여
부록3정의에관한몇가지추가고찰
부록4몇가지언어상의논쟁에관하여

한편의대화
옮긴이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