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교리 인사이트 : 군사교리의 정체성과 군사작전의 근본원리에 대한 통찰

군사교리 인사이트 : 군사교리의 정체성과 군사작전의 근본원리에 대한 통찰

$19.00
Description
군사교리의 정체성과 군사작전의 근본원리에 대한 통찰
군사교리는 군사학의 다른 분야, 예컨대 전쟁론이나 군사전략 혹은 군비통제와는 다르게 많은 연구가 축적되어 있지 않은 분야다. 군사교리가 연구주제로서 합당한지조차 종종 의심되기도 한다. 하지만 군사교리는 엄연히 독립된 주제로서의 연구 분야이며, 오히려 지금껏 연구가 많이 없었던 점으로 인해 앞으로의 발전이 더 기대된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현재 한국에서의 군사교리 연구 실태를 어떻게 진단할 수 있을까? 말하자면 학술적 차원에서 지식체(body of knowledge)로서의 군사교리 자체에 대한 평가와 군사교리의 목적 측면인 작전태세확립 차원에서 그 실효성에 대한 평가를 어떻게 할 수 있는가를 묻는 것이다. 이것이 연구의 기저를 이루는 의문이다.
학술적 차원에서 군사교리라는 지식체의 위상과 군사교리 연구에의 접근성 그리고 작전태세확립 차원에서 군사교리의 수준에 대한 신뢰 등 세 가지 문제 인식이 연구의 배경이 되었다. 이러한 연구배경의 현상들을 재구성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떻게 싸울 것인가?”에 대한 논의는 군사학의 핵심이자 출발점인데, 왜 이러한 군사교리의 실종 현상이 발생하는가?
둘째, 군사교리의 발전을 위한 자유로운 학문 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의 원인은 무엇이며 또 이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
셋째, 군사교리 자체의 난맥과 혼동의 원인은 무엇이며 또 이를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이러한 문제 인식은 결국 “군사교리가 무엇인가?” 그리고 “군사교리가 어떠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으로 귀결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질문의 이면에는 우리가 군사교리 - 더 구체적으로는 군사교리 자체와 군사교리에서 다루는 내용 - 에 대해 명확히 알지 못하고 있음을 고백하게 한다. 이때 “군사교리가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는 군사교리 자체의 정체성에 관한 것이고, “군사교리가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는 군사교리가 다루는 내용인 군사작전을 우리가 어떻게 정립하고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은 연구 질문의 핵심인 군사교리의 정체성과 군사작전의 근본원리를 한국군이 제대로 이해하고, 이를 통해 한국군 군사교리의 논리와 체계를 보강하며 나아가 군사교리를 군사학의 핵심 지식체로 정립하는 데 필요한 성찰을 고취한다.
저자

천민권

저자:천민권
1990년육군사관학교를졸업하고보병장교로임관하였다.복무간에는작전직능직책에서주로근무하였고,2013년에육군대학교관이되었다.2021년군을떠날때육군대학과의인연이소명이되어지금도군사교리를연구하고후학의교육에매진하고있다.학위및연구논문으로“한국군군사교리의정체성정립에관한연구”,“군사작전의분류에관한연구”,“육군지휘및지원관계연구”등이있다.

목차


추천의글
개정판을내면서
저자서문
책을시작하며

제1부미국육군교리분석
제1장군사교리의정체성
1.군사교리의정의
1)미국의정의
2)구(舊)소련과일본의정의
2.군사교리의위상
1)교리의출처와교리의적용을교리와구분
2)다른지식체와의구분
3.군사교리의토대
4.군사교리의유형과계층구조
1)군사교리의일반유형(Generaltypesofdoctrine)
2)육군교리의유형과계층구조(TypesofArmydoctrineandtheirhierarchy)
5.군사교리가제공하는정보
1)원리(Principles)
2)전술(Tactics)
3)전기(Techniques)
4)절차(Procedures)
5)용어와부호(TermsandSymbols)
6.군사교리의역할

제2장군사작전의개념
1.군사작전의정의
2.전쟁,전쟁방식,군사작전
3.군사작전의분류
1)변천과정
2)변천의의의

제3장지상작전논리구조
1.통합지상작전논리구조와의의
2.논리구조구성요소의이해
1)작전환경(OperationalEnvironment)
2)통합행동(UnifiedAction)
3)육군의작전적개념(TheArmy’sOperationalConcept)
4)결정적행동(DecisiveAction)
5)임무형지휘(MissionCommand)
6)작전의교의(TenetsofOperations)
7)작전의준수사항(Imperativesofoperations)
8)작전술(OperationalArt)
9)작전의구조(OperationsStructure)
10)작전수행과정(OperationsProcess)
11)작전의틀(OperationalFramework)
12)전투수행기능(Warfightingfunctions)

제4장시사점
1.군사교리를군사작전에집중하는근본원리들의지식체로정립
2.교리의출처,교리,교리의적용을구분하고논리적으로연계
3.교리가제공하는정보를기준,교리간행물유형과계층구조정립
4.교리의역할을구체적이고실질적으로제시
5.군사작전의패러다임변화
6.합동작전의일부로서지상작전정립

제2부한국군교리에의합리적수용
제1장합리적수용의논의
1.합리적수용시고려사항
1)작전환경의차이
2)전략문화의차이
3)언어문화의차이
2.합리적수용의전제,목적,기준

제2장합리적수용을검토할내용
1.군사교리의정의와위상
2.교리의출처,교리,교리적용간의관계
3.교리가제공하는정보에따른교리간행물유형과계층구조
4.교리의역할
5.군사작전의패러다임
1)비정상적인지와패러다임왜곡의원인:인지편향과인지부조화
2)한국군에게변화가요구되는패러다임
6.합동작전과지상작전의관계
7.군사교리토대의토대-전략문화
1)전략문화의이해
2)한국의전략문화

책을마무리하며
참고문헌

출판사 서평

군사교리의정체성과군사작전의근본원리에대한통찰
군사교리는군사학의다른분야,예컨대전쟁론이나군사전략혹은군비통제와는다르게많은연구가축적되어있지않은분야다.군사교리가연구주제로서합당한지조차종종의심되기도한다.하지만군사교리는엄연히독립된주제로서의연구분야이며,오히려지금껏연구가많이없었던점으로인해앞으로의발전이더기대된다고할수있다.그렇다면현재한국에서의군사교리연구실태를어떻게진단할수있을까?말하자면학술적차원에서지식체(bodyofknowledge)로서의군사교리자체에대한평가와군사교리의목적측면인작전태세확립차원에서그실효성에대한평가를어떻게할수있는가를묻는것이다.이것이연구의기저를이루는의문이다.
학술적차원에서군사교리라는지식체의위상과군사교리연구에의접근성그리고작전태세확립차원에서군사교리의수준에대한신뢰등세가지문제인식이연구의배경이되었다.이러한연구배경의현상들을재구성하면다음과같다.

첫째,“어떻게싸울것인가?”에대한논의는군사학의핵심이자출발점인데,왜이러한군사교리의실종현상이발생하는가?
둘째,군사교리의발전을위한자유로운학문활동이이루어지지못하는문제의원인은무엇이며또이를어떻게해야하는가?
셋째,군사교리자체의난맥과혼동의원인은무엇이며또이를해결하려면어떻게해야하는가?

이러한문제인식은결국“군사교리가무엇인가?”그리고“군사교리가어떠해야하는가?”라는질문으로귀결될수있을것이다.하지만그러한질문의이면에는우리가군사교리―더구체적으로는군사교리자체와군사교리에서다루는내용―에대해명확히알지못하고있음을고백하게한다.이때“군사교리가무엇인가?”에대한논의는군사교리자체의정체성에관한것이고,“군사교리가어떠해야하는가?”에대한논의는군사교리가다루는내용인군사작전을우리가어떻게정립하고있는가에관한것이다.따라서이책은연구질문의핵심인군사교리의정체성과군사작전의근본원리를한국군이제대로이해하고,이를통해한국군군사교리의논리와체계를보강하며나아가군사교리를군사학의핵심지식체로정립하는데필요한성찰을고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