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속의 죽음 공간을 통해 만나다 (양장)

시간속의 죽음 공간을 통해 만나다 (양장)

$23.00
Description
이 책은 죽음의 공간인 묘지와 삶의 공간인 도시와의 연관을 기술 하고 있다. 제1장에서 저자들은 먼저 인간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밝히고자 했다. 이 장에서 기술하고 있는 ‘죽음 처리 방식’은 문화적 차원에서 죽음을 이해하는 방식에 대한 논의를 포함한다. 제2장에서는 멕시코 ‘만성절(All Saint’s Day)’ 전통과 필리핀 공동묘지 속에서의 삶, 인도네시아 토라자(Toraja) 부족의 장례 풍속과 조선 시대의 상중 제례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제3장에서는 근대화의 과정을 통해서 드러난 우리나라 묘지 공간에 대한 변화를 기술하고 있다. 우리나라 묘지 공간은 일제시기 공동묘지제도 등이 도입됨으로써 급격한 변화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장에서는 죽음의 공간적 변화가 삶의 공간인 도시와의 상호 연계적 변화과정을 거쳐 왔는지를 기술하고 있다.
묘지 공간의 변화는 근현대 서울(도시)의 죽음의 경관 형성에 있어서 결정적 요인이 되었다. 이 점에 착안해서 제4장에서는 ‘망우묘지(망우리 역사문화공원)’, ‘효창공원’, ‘외국인 선교사 묘원’, ‘절두산 순교성지’, ‘현충원’ 등과 같은 도시의 대표적인 죽음 공간이 도시의 죽음 경관의 핵심 축으로 서의 역할을 해오는 과정을 기술하고 있다. 제5장에서는 ‘공원묘지’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공원묘지는 18세기 프랑스에서 등장하여 근대식 묘지 공간의 효시가 되었다. 서양의 공원묘지는 일제시기 일본을 거쳐 우리나라에 도입되었다. 이 점에서 서양과 일본, 한국의 공원묘지의 역사적 도입 과정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제6장에서는 앞 장에서 언급된 추모공원에 대한 논의에 근거하여 현대적 죽음 공간의 특징을 기술하고 있다. 이 장에서는 오늘날 묘지와 같은 죽음의 공간은 단순히 죽은 자의 공간만이 아니라, 다양한 삶의 공간적 기능을 수행하면서 삶의 공간인 도시와 긴밀한 연관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제7장에서는 사회적 추모공간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사회적 추모공간은 사회적 죽음을 전제로 한 공간이다. 사회적 죽음은 사회 제도적 문제점 때문에 희생된 죽음을 의미한다. 사회적 죽음 공간은 사회적 희생을 기억하는 특별한 장소적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이 점에서 사회적 추모 공간은 일종의 사회적 희생자들을 위한 ‘기억의 영토’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의 마지막 장인 8장에서는 ‘DMZ 묘지’ 공간과 ‘적군 묘지(북한군 묘지)’ 공간 ‘김재규 묘지’ 공간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그리고 해외의 묘지 공간인 ‘카타콩브(catacombes)’와 ‘팡테옹(Panteon)’을 기술하고, ‘데스 까페(Death Cafe)’, 일본의 ‘묘우 제도’를 소개하고 있다. 이외에도 이 책에서는‘어린이 묘지’, 재한 일본인들의 묘지 공간을 의미하는 ‘낯설음의 묘지’와 최근 관심을 끌고 있는 ‘애완동물 묘지’를 기술하고 있다.

저자

서지석,고진호

저자:서지석
동국대불교대학원생사의례학과졸업.동국대대학원교육학박사학위취득.파리유학추모공원과묘지공간연구.장지전문회사㈜르씨엘(LeCiel)과분당추모공원휴(休)대표이사.동국대불교대학원겸임교수.2023년전통앤딩플랜명장선정.

저자:고진호
동국대명예교수.한국종교교육학회회장역임.「교육과정학의이론과실천(2017)」외에다수의논문과저서가있다.

목차

머리말
책의구성

제1장죽음의공간과시간의기억

죽음의망각
죽음에대한태도
죽음의시간과공간
죽음과묘지공간
죽음의이미지
죽음의기억
죽음의가치
죽음을기억하라!(MementoMori!)
죽음의공간,시간을만나다
나의죽음을슬퍼한다
묘지공간과장소성

제2장죽음처리와그대응방식

죽음처리
죽음의소비
과거의죽음
죽음의역설적대응:죽음을즐기자!
공동묘지에서의삶
죽음에삶을걸다
혼백의흩어짐:한국의상중제례
현대적죽음처리:화장후봉안(납골)
자연장
산골(散骨)
해양장
빙장
제3장근-현대묘지공간의변화

묘지공간
죽음공간의규제
묘지규칙
공동묘지제도
화장장경관
묘지공간의변화
묘지공간이전
묘지공간의재편

제4장도시죽음경관의형성

죽음경관의형성
망우묘지(망우역사문화공원)경관
근대를추모하다
뮤즈는그의죽음을허락하지않는다(DignumlaudevirumMusavetatmori).
효창공원경관
공간의역사가경관을만나다
공간의감동
절두산순교성지
묘지!충성을드러내다
은폐된도시의죽음경관
모순된죽음의경관:병원장례식장

제5장공원묘지의역사

묘지공간의변화
정원묘지의등장(로마)
중세의묘지
지하묘지카타콩브
근대공원묘지의등장
묘지개혁
도시묘지(프랑스)
공원묘지(미국)
자연공원묘지(독일)
영원묘지(일본)
추모공원(한국)

제6장죽음공간의새로운탄생

추모공원의등장
공간전이
복합장묘공간
추모의례
묘지와도시
묘지의공간특성
예술·문화적공간
생태·자연공간
교육·학습공간
추모와송덕
사별과애도
기억과재현
기억과공존의경험
초월과치유

제7장사회적추모경관

사회적죽음
도심속추모공간(1)
도심속추모공간(2)
사회적추모공간의메시지
추모메모리얼
찬반의공간
기억과치유
애도와치유

제8장죽음공간과이야기

전쟁의죽음공간
정치적죽음공간
잊혀진기억의공간
죽음의깊이
그리운사람끼리
아이와죽음공간
낯설음의묘지공간
추모공간을꾸미다
동물의죽음공간
참고문헌

출판사 서평

책속에서

머리말

나는하루에도수많은주검과마주하면서,그들의안식처를마련하는일을하고있다.나의일터인추모공원은현대적장지공간이며,이점에서나는현대판묘지기이다.내가이일을하게된계기는해외체류와밀접한연관이있다.나는2006년5월어느날프랑스로떠났다.프랑스체류는지난나의삶을돌아보고미래의삶을고민하는계기가되었다.그러나당시결행된일들이이후내인생에결정적영향을끼치리라고는전혀예상하지못했다.

프랑스에서나는여행가이드로일했다.낯선타지프랑스에서이일을기적적으로해냈다.그당시여행객들과함께파리시내투어를하면서프랑스의대표적묘지인‘페르라셰즈(Pere-Lachaise)’와‘몽파르나스(Montparnass)’,‘몽마르트르(Montmartre)’를방문한적이있다.이묘지들과파리의지하묘지‘카타콩브(Catacombes)’를보면서,죽음과삶의공존의현장을체험할수있었다.나는이곳에서묘지가단순한죽음의공간만이아니라예술,역사와문화적장소로인식되고있다는사실을알고는놀라움을금치못했다.삶과죽음의공간이혼재하고있는곳…그곳이묘지일수있다니!

이책에서나는묘지공간이오늘을사는사람들에게제시하는의미가무엇인지를기술하고자하였다.이러한맥락에서나는이책에서묘지공간이죽은사람과산사람의관계적공간이라는점을부각하고자했다.그리고이를통해묘지공간이일반적으로생각하는것처럼허무한운명의공간이아니라,죽음과삶의만남이이루어지는장소라는점을밝히고자하였다.

내가일하면서접해왔던국내외추모의공간에서획득했던영감과경험들이이책을통해독자들에게잘전달되었으면한다.묘지공간을주제로한연구는한국의경우신생연구라고할수있다.척박한연구상황에서진행된국내외여러선행연구들이저자들에게도많은도움이되었다.관련연구자들에게감사를표하며이책도죽음공간연구분야의작은밑거름이되기를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