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관계와 커뮤니케이션

노사관계와 커뮤니케이션

$13.21
Description
건전한 노사관계 형성을 위해 우리나라 노사관계의 과정과 특징, 노동조합 활동의 양태를 살펴보고, 어떻게 커뮤니케이션을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기술한 책
노동조합은 기본적으로 조직 근로자의 이익을 대변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창구가 되고 있다. 노동조합은 단순히 투쟁을 위한 대의기구가 아니라, 조직 내 정보 및 소통의 경로로서 근로자의 근속유도와 숙련 형성을 촉진시키는 등 기업 입장에서의 경제적 효율성을 제고하기도 한다. 또한, 기업 내 이익분배에 있어서 사용자의 자의적 경영활동을 막아 소득분배를 보다 공정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반면에 조직화된 독점력을 이용하여 적정임금 이상의 요구를 하거나, 직원의 이익이 아닌 노동조합 구성원의 이익을 대리함으로써 회사와 무조건적 갈등을 만들어 기업경영을 경직화하고 오히려 조직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역기능을 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노동조합은 상대적으로 시혜여력이 큰 대기업, 공공부문이 주도하고 있어, 노동조합운동이 정치화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시혜력이 큰 만큼 노동조합의 요구도 높고 이로 인해 사측과의 갈등이 일상화되어 있다. 이런 상황이다보니, 노동조합에 대한 노동조합과의 커뮤니케이션은 단순히 이익 분배에 대한 협상을 넘어서 사회의 주된 이슈를 함께 다루어지기도 한다.

저자

박영범

저자:박영범
미국코넬대학에서1986년경제학박사를취득후국책연구기관인산업연구원,한국노동연구원에서정책연구활동후1997년부터한성대학교경제학과교수로재직중이다.
200여편의논문과저서가있으며2권의저서(‘전환기,한국노동시장의길을묻다’등)가문화공보부우수학술도서로선정되었고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회장과학회지편집위원장을역임하였다.

저자:이보형
마콜컨설팅그룹CEO.2000년부터마콜컨설팅그룹에입사하여위기및이슈관리,퍼블릭어페어즈등핵심프랙티스와서비스를리드하고있다.특히2008년부터노사관계커뮤니케이션전략컨설팅을진행하고있으며,위기관리전문가로서기획재정부,산업자원부,보건복지부및고용노동부등에자문을제공해왔다.서울대학교지리학과를졸업하고연세대학교언론대학원에서노사관계커뮤니케이션으로석사학위를수여받았다.

목차

추천사3
책을내면서5

제1장들어가면서11
1.노동상품의특성13
2.집단적노사관계커뮤니케이션16

제2장노사분쟁의조정과중재절차19
1.분쟁의조정·중재23
2.쟁의행위의제한과보호26
3.쟁의과정에서의커뮤니케이션의주안점30

제3장노동과관련된주요이해관계자에대한이해33
1.노동조합35
2.사용자50
3.정부59

제4장단체교섭등노동조합의활동67
1.단체교섭의의의및성격및관리69
2.교섭구조와산별교섭79
3.산별교섭에서의커뮤니케이션85

제5장노사의주요갈등이슈87
1.통상임금등89
2.구조조정과커뮤니케이션94

제6장HR커뮤니케이션의이해105
1.커뮤니케이션프로세스111
2.조직문화형성과사내커뮤니케이션113
3.효율적인사내커뮤니케이션의이점115
4.전략적인사내커뮤니케이션을기획하기118
5.사내커뮤니케이션에서활용할수있는방법121
6.사내커뮤니케이션의수행절차123
7.전략수립전살펴볼것125
8.커뮤니케이션전략수립하기132
9.사내커뮤니케이션의한계와고려점136

제7장노사협력,비노조경영139
1.노사협력141
2.비노조경영145

Appendix.우리나라노사관계의이해151
1.1987년이후고용노동분야추이153
2.노동조합현황162
3.노동시장현황169
4.고용노동정책주요이슈176

출판사 서평

|책을내면서|

기업을비롯한조직의경영과운영에있어노사관계의중요성은늘강조되고있지만,실제노동조합과의관계를설정하고적정하게커뮤니케이션해나가기는쉽지않다.
노동조합은기본적으로조직근로자의이익을대변하는역할을할뿐만아니라,조직내커뮤니케이션의중요한창구가되고있다.노동조합은단순히투쟁을위한대의기구가아니라,조직내정보및소통의경로로서근로자의근속유도와숙련형성을촉진시키는등기업입장에서의경제적효율성을제고하기도한다.또한,기업내이익분배에있어서사용자의자의적경영활동을막아소득분배를보다공정하게하는역할을한다.
반면에조직화된독점력을이용하여적정임금이상의요구를하거나,직원의이익이아닌노동조합구성원의이익을대리함으로써회사와무조건적갈등을만들어기업경영을경직화하고오히려조직의효율성을떨어뜨리는역기능을하기도한다.
우리나라의노동조합은상대적으로시혜여력이큰대기업,공공부문이주도하고있어,노동조합운동이정치화되어있는특징이있다.또한,시혜력이큰만큼노동조합의요구도높고이로인해사측과의갈등이일상화되어있다.
이런상황이다보니,노동조합에대한노동조합과의커뮤니케이션은단순히이익분배에대한협상을넘어서사회의주된이슈를함께다루어지기도한다.
하지만,최근MZ세대들이회사에들어오면서기존의갈등적노사관계에대한피로도가높아지면서새로운노사관계에대한욕구가높아지고있다.또한,노사갈등이이익분배보다는구시대적조직문화에대한반발로인해발생하는경우가많아지고있으며,이익갈등보다는관계갈등이많아지는것이현실이다.
이책에서는건전한노사관계형성을위해우리나라노사관계의과정과특징,노동조합활동의양태를살펴보고,어떻게커뮤니케이션을해야할것인지에대해살펴보고자한다.
그리고변화하는기업경영활동안에서노사간갈등을예방하기위해어떻게건전한조직문화를형성해나갈것인지,그를위한사내커뮤니케이션기획의방식을살펴보았다.
이책이노사관계를담당하는부서의담당자뿐만아니라,기업경영을책임지고있는경영자가노사관계에대해이해하고,건전한관계형성을위한소통방안을찾는데도움이되길바란다.
끝으로연구비를지원해주신한성대학교,마콜컨설팅그룹과출간에도움을주신범우사에감사의인사를전한다.

―2020.10월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