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최치원의 〈격황소서〉를 비롯, 해방 후 변영만의 〈원사〉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역대 문장가 33인의 명문장 28편 수록한 한국 고전 명문선
우리나라 역대 문장가 33인의 명문장 28편 수록한 한국 고전 명문선
《한국 명문장》
이 책은 최치원, 일연, 김시습, 박지원, 박제가, 한용운 등 우리나라 역대 문장가 33인의 의 명문장을 발췌·번역한 것이다. 통일신라시대의 대문장가 최치원의 〈격황소서〉를 비롯해, 해방 후 변영만의 〈원사〉에 이르기까지 명문이라 칭할 수 있는 글 28편을 수록했다. 또한 40여 개의 문장을 발췌하며 가능하면 격문·제문·단상·소설·기행문·실용문 등 다양한 장르의 글을 소개하려고 했다.
옛말에 ‘글 속에 인품이 있다’는 말이 있다. 이 말은 글 속에 글쓴이의 사상, 감정뿐만 아니라 인품까지 녹아들어 있다는 뜻이다. 이런 까닭에 옛 선현들은 문장을 보고 그 사람의 인물 됨됨이를 알았으며 자구(字句) 하나를 보고도 인격을 감지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우리의 선조들이 쓴 문장과 언어가 단순히 의사소통의 수단이나 선진 문물의 수용 수단만이 아니라 자신의 내면을 반영하는 ‘인격의 표현 수단’이기도 했었다는 것을 알려준다. 이 같은 측면에서 명문을 감상하는 의미는 자못 크다. 문장에 담긴 의미를 알아내고 깨우쳐가는 과정 중에 선조들의 내밀한 인격을 살펴볼 수 있으며, 선현의 삶을 모범으로 삼아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이 책 속에서 한 구절이나마 가슴 속에 간직한 채 삶을 영위하고 배움을 넓히는 데 위안과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대체로 사람의 일이란, 자기 자신을 아는 것이 제일이다.” (최치원)
“아하! 그만두리라로다. 천지 사이에 차고 비는 것이 스스로 때가 있네.” (이인로)
“목수된 자가 진실로 단점을 버리고 장점을 따른다면, 나무의 큰 것은 대들보나 기둥이 되고, 가느다란 것은 서까래나 문설주가 되고, 어린 나무의 줄기 같은 것도 다 쓸 수 있는 것은 모두 좋은 재목이 될 것이다.” (김시습)
“비록 그러나 반드시 없는 일을 스스로 적게 하지 말고, 반드시 있는 것을 스스로 많은 체하지 말 것이니, 대개 장차 비태(否泰)의 심정을 버리고 자연(自然)에 맡기게 할 것이다.” (표연말)
“대체로 백성의 흩어지는 것을 근심하자면 모름지기 그들을 은덕으로써 어루만져야 할 것이오, 한갓 긁어오는 것으로 상책을 삼아서는 안 되며, 군병이 적은 것을 근심한다면 모름지기 의로운 용병을 가르쳐야지, 한갓 숲처럼 많이 세우는 것으로 상책을 삼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이지함)
이 책은 최치원, 일연, 김시습, 박지원, 박제가, 한용운 등 우리나라 역대 문장가 33인의 의 명문장을 발췌·번역한 것이다. 통일신라시대의 대문장가 최치원의 〈격황소서〉를 비롯해, 해방 후 변영만의 〈원사〉에 이르기까지 명문이라 칭할 수 있는 글 28편을 수록했다. 또한 40여 개의 문장을 발췌하며 가능하면 격문·제문·단상·소설·기행문·실용문 등 다양한 장르의 글을 소개하려고 했다.
옛말에 ‘글 속에 인품이 있다’는 말이 있다. 이 말은 글 속에 글쓴이의 사상, 감정뿐만 아니라 인품까지 녹아들어 있다는 뜻이다. 이런 까닭에 옛 선현들은 문장을 보고 그 사람의 인물 됨됨이를 알았으며 자구(字句) 하나를 보고도 인격을 감지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우리의 선조들이 쓴 문장과 언어가 단순히 의사소통의 수단이나 선진 문물의 수용 수단만이 아니라 자신의 내면을 반영하는 ‘인격의 표현 수단’이기도 했었다는 것을 알려준다. 이 같은 측면에서 명문을 감상하는 의미는 자못 크다. 문장에 담긴 의미를 알아내고 깨우쳐가는 과정 중에 선조들의 내밀한 인격을 살펴볼 수 있으며, 선현의 삶을 모범으로 삼아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이 책 속에서 한 구절이나마 가슴 속에 간직한 채 삶을 영위하고 배움을 넓히는 데 위안과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대체로 사람의 일이란, 자기 자신을 아는 것이 제일이다.” (최치원)
“아하! 그만두리라로다. 천지 사이에 차고 비는 것이 스스로 때가 있네.” (이인로)
“목수된 자가 진실로 단점을 버리고 장점을 따른다면, 나무의 큰 것은 대들보나 기둥이 되고, 가느다란 것은 서까래나 문설주가 되고, 어린 나무의 줄기 같은 것도 다 쓸 수 있는 것은 모두 좋은 재목이 될 것이다.” (김시습)
“비록 그러나 반드시 없는 일을 스스로 적게 하지 말고, 반드시 있는 것을 스스로 많은 체하지 말 것이니, 대개 장차 비태(否泰)의 심정을 버리고 자연(自然)에 맡기게 할 것이다.” (표연말)
“대체로 백성의 흩어지는 것을 근심하자면 모름지기 그들을 은덕으로써 어루만져야 할 것이오, 한갓 긁어오는 것으로 상책을 삼아서는 안 되며, 군병이 적은 것을 근심한다면 모름지기 의로운 용병을 가르쳐야지, 한갓 숲처럼 많이 세우는 것으로 상책을 삼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이지함)
한국 명문장
$1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