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책을읽는분에게|
이상의문학은항거의문학이다.그것은한마디로반인간(反人間),반생활,반예술의문학이다.단,그와같은이상문학의반인간성,반생활성,반예술성(전례적창작수법을거부한실험성)은바로인간과생활과예술에대한그의한단계높은희구의결과였다.그의부정적방법은긍정적가치를모색하기위한것이었다.
이상은철저할만큼의식적인작가였다.<지주회시(會豕)>에보이는자동기술법(自動記述法)도정밀한자의식의메커니즘의소산이다.이런작가가자신의반역성의이면(裏面),가령그의너무나인간적인반인간성이라는자기모순을모를리는없다.그의창작활동은의식적인자기기만행위였다.그래서<봉별기(逢別記)>,<종생기(終生記)>에는문학을한데대한회오(悔悟)의말이나오곤한다.천재의식,범죄충동,과대망상증,삐뚤어진항거의자세에죄의식,회오,해학적인인정이번번이섞인다.
이상의소설은대충두종류로나누어볼수있다.작가의현재생활상과심상풍경(心象風景)을다룬<봉별기>,<지주회시>,<동해(童骸)>같은작품과그현재의생활에서해방되기를원하는방향으로쓰여진<날개>,<종생기>같은부류의작품이다.
이상의소설에나오는두개의중요한문제는가난속에서의돈과바람같은계집(아내)이며,그것을대하는태도는증오와반항심을감춘경멸,우롱,자조(自嘲)다.
먼저비인간적인돈의경우,가난으로인한수모와이것에대한복수가따르는데,이후자가돈의인간화혹은인정화로나타나며그럼으로써돈에대한풍자를한다.가령<지주회시>의주인공은아내가A취인소(取引所)전무한테받은모욕적인위자료의반을A취인소오(吳)의정부(情婦)인‘마유미’에게팁으로줌으로써,혹은<날개>의아내가장사(매춘)하는동안잠자코있으라고주는욕된돈을아내에게즐거운장난감으로되돌려줌으로써복수하려는따위다.
다음으로바람처럼(‘왕복엽서’처럼)가출하고돌아오고또나가는,아내에대한태도는복종과저항의이중성을보여준다.‘나’는아내에게무관심,무책임하다.‘나’의무관심은아내에게두들겨맞고도꼼짝못하는기생자(寄生者)의복종으로나타나기도하고,생활은아내에게맡겨버리고밤낮없이잠만자려고하는소극적인저항으로도표시된다.〔이불속에서뭘연구한다는<날개>의그연구는이불속의저항을은근히암시한말이다〕그리고그런저항의근본원인은아내가몸을판돈으로살망정‘나’는“정조는금제(禁制)가아니요,양심이다”(수필<19세기식>)라고생각할만큼엄격한도덕관념의소유자이기때문이며,<지주회시>에서아내가모욕을당하자분해하는것도아내에대한내밀(內密)한책임감과애정때문이다.
그러면서도,“불의는귀인답고참즐겁다”〈종생기>
고하여간음을찬양한다.왜이런모순현상이생기나?이상은생활무능력자다.생활비를벌려고아내가외출한다.그런일이반복되면이쪽은아내의소행에짐짓의심을품는다.그렇다고그걸표면에나타낼순없다.차라리아내를판남편,오쟁이를진남편으로한술더떠서위장해버릴뿐아니라,아내의외출을기화로이상적·원초적인순수한여성을꿈꾼다.바람같은계집은소녀로변한다.그래서이상의여자는거의공상적인관념이다.
나는가을.소녀는해동기(解凍期).어느제나이두사람이만나서즐거운소꿉장난을한번해보리까.<종생기>에서
이상은이처럼그의근본문제로서의돈과여자에대한이중적태도,그러니까잔인한금전에대한우롱과바람같은계집에대한자조적(自嘲的)인복종과저항을통하여비인간적인사물및인간관계에대하여소극적인항거를시도하였다.
지금까지말한이상소설의주제상의특질을기교적특질과아울러주요작품을통하여좀더구체적으로알아보기로하자.
예술은표현이라는근대적관념을<지주회시>는증명한다.예술작품이란단순한형식미본위가아니라내면감정의어쩔수없는표출이어야된다.이작품의공간은밀폐공간이다.그것은방이다.‘방밖에없는방’이다.A취인소의방안지(方眼紙)속이요,이해관계가뒤얽힌현실세계다.
작중사건은간단하다.어느날서울의R카페에서A취인소전무가여급‘나미코’에게말라깽이라고놀리자이쪽이전무에게당신은양돼지같다고응수해서골이난전무가그녀를층계아래로떠밀어버렸고,그사건으로인하여관련자들은경찰서에서조사를받았으나전무가‘나미코’에게위자료를주어사건은해결된다.그러자평소할일없이낮잠을자거나인천의A취인소조사부의오(吳)에게놀러다니는주인공은그위자료20원을들고R카페로달려가는데,그중10원으로술을먹고,나머지는오의‘마유미’에게양돼지라고부르면서팁으로주려는것이다.
이작품의거미는주인공과그의처‘나미코’다.돈은그부부의피를빠는거미다.거미부부가서로흡혈하면서사는방자체가또한거미다.그리고방은인간사회이므로세상사람은상호간에거미다.단,주인공부부의방은후툿한협조의세계로써하층사회에속하며,‘나미코’가A취인소전무에게떠밀려층계에서굴러떨어진것은상층사회인간에게당한모욕이다.A취인소는무명의자본금이기업자요,현물거래가아니라방안지등속의정보자료와서류로만거래가가능한고도의자본주의적영업방법을쓰던곳이다.그비인간성은A취인소전무의이름아닌‘전무’라는말로상징된다.
“R카페의쌀쌀한뚱뚱보주인도이름이없다.오와전무가참석하여곧열릴성탄절망년파티의장소는R카페의3층에있다.”
말라깽이암거미가양돼지(전무)를만나는세계는협조가아니라경투(競鬪)의세계다.‘나미코’의추락은A취인소방안지의하강선과같다.그것은말하자면주인공의나태한일상의방에침입한무서운생활과도같다.불공평하고잔인한인간관계의타격을아내의그추락이강조한다.주인공은화풀이를하려고하지만상층사회의인물에게는못하고겨우애매한하층의여자‘마유미’에게할수밖에없다.
지금까지말한내용속에이상의상징적으로표현된매서운사회의식을볼수있지만,역시상징적수법에의한이작가의치밀한조형감각도주목해야된다.<지주회시>의사건들은<봉별기>의허담(虛談)이아니라,숨통을조일듯내리닫이로밀집한단어들로구성된답답한작품공간에서의꽤심각한생존경쟁에서빚어진것들이다.그분위기도‘하루치씩만잔뜩산다’고할만큼절박하다.또한그밀폐된작품공간은각박하고꿍꿍이속이많은생활공간의밀폐성과일치되어있어주제와문체의긴밀한상관관계가유지된다.
이상은<날개>에서타처로의비상(飛翔)에의해서,<종생기>에서는죽음,혹은자신의생매장에의하여현재의궁지를벗어나고자한다.그비상의상징적·현실적목적지는이상이입버릇처럼가고싶다고한도쿄〔東京〕로일단간주할수있는데,<종생기>는편지에서말한‘구역질이날’도쿄에대한환멸까지가그의곤궁한생활에겹쳐서쓰여진절망적인작품이다.
<날개>의주인공은커다란아이다.삶의무의미성에대해쓰려고할때이상이취하는시점은세상물정을모르는아이의그것이다.물론위장이다.그결과<날개>의기묘한복합적정신태도가나온다.아이는아이니까장난을잘하며,장난감은아내의화장품과휴지,저금통,심지어돈이다.그러나이아이는그가장난하는것들이속해있는세계에대해염증(厭症)을느끼고있다.그러니까비판적으로세상을바라본것이며,그의권태와낮잠도현실에대한불만의결과이다.(모차르트,맬더스,마르크스를기억하는아이로서는당연한일이다)
그런데그아희적(兒戱的)인장난과염증의원인은아내와돈이다.그는아내에대해무관심이요,이야기도않지만그녀를무서워한다.아내는곧생활이기때문이다.또한돈으로말하면아내가주는용돈은상거래의돈과같지만,아이는돈의세속적인의미와용법을모르며,그가거리의행인에게돈을주려고하고당연한일로그게안되니까아내에게몰래그돈을주는것은인간에대한소박한그리움때문이다.아내는그돈을자그만횡재로여기고기뻐한다.그처럼돈의인간화를위한노력이결국세속적·상업적가치로떨어지고마는얄궂은사건을통하여비인간적인돈과인간적인돈의가치가우습게대조된다.
<날개>에는생활에대한공포와은근히비판적인염기(厭氣)를깊숙이감추고있다.그것을아희적인아이러니로은폐하려고하지만,생활은끝끝내쫓아온다.아달린사건이그것이다.아내는감기약이라고속이고그수면제를먹임으로써‘나’를서서히죽여장사의방해물을없애려고했을지모른다.그처럼손발이안맞는아내에대한공포증때문에일본인백화점옥상에서‘나’는이세상을훨훨벗어날수있는날개를원하는데,그런원망(願望)은어쩔수없이의식적으로퇴화된아이의원망이어서매우절실한느낌을준다.
이상의모든작품에는구차한변명이나집요한원한,증오,질투,시기같은감정적요소가없다.저선량성때문이리라.그럴바에는차라리아이가되어자신을우롱한다.그럼으로써잔혹한인간관계를우롱해준다.단,자조적인우롱도대담하게멀쩡하고감쪽같은말로표현되면본격적인풍자소설의방법이될수있지만,이상의그우롱은유약해서그렇지못하다.
<날개>의아이에는늘한구석서글플만큼섬세한자의식이라는허점이따른다.우리는그허점에동정하고,그허점을메우기위한포즈〔<종생기〉의말로는‘비신술’〕에동정의웃음을보낸다.
<종생기〉는이상적인포즈문학의마지막본보기다.그러나그포즈는<날개>의조심스러운자기방어를위한포즈와는달리주로부질없는대언장어(大言壯語)의포즈여서불쾌감을준다.<종생기>는기발하되너절한태작(太作)이다.
여기에는이상의가출한아내와정희(貞姬)라는애인이나오지만그들의불의의방법이같으므로그두여자를동일시해도된다.나로서주로관심이쏠린것은이상의소설에잘나오는정희같은여자를중심으로한사건보다도그분량이훨씬많은작자의푸념의내용이다.
첫째‘빈민굴’,‘독화(毒花)’,‘허망한아궁이’에문학을비유하고,그런문학을한결과로치욕감과죄의식에고통스러워하면서도<종생기>를써놓는다는것,다음으로는근대적건물에서먼저철근철골과시멘트와세사(細砂)부터보이는숙명적인투시벽(透視癖)과그로인한여러가지기상(奇想),그리고도스토예프스키와고리키의문학에대한비난이나오는데,그작가들의사상적내용이아니라소설기교에만주목하여미문(美文)을쓸듯쓸듯하다가,알속을보여줄듯하다가마는그들의구렁이같은사기술을그비난의이유로든다(그런견해는물론피상적이다).이처럼치욕적인문학,투시벽,러시아의의뭉스러운작가등에대한푸념을하면서자기자랑으로그의‘박빙(薄氷)을밟는듯한포즈’와‘세기적인지혜의소유자’―천재의‘통생(通生)의대작’이<종생기>요,그작품을끝으로이상은파란만장한생애를마친다고한다.
이상의의도는결국종생(終生)에있다.세상을경영할줄몰랐던바보인자신의종생이다.러시아작가의사기술은투기벽때문에쓰지못한작가의종생이다.아내를팔고문학으로망신한스물여섯살의노옹(老翁)이상의종생이다.
단,이상은늘그래왔듯이<종생기>에서도한가지지킬것은지켰다.그것은자조다.타인을,세상을경멸하고우롱하기전에비록작가에게바람직한자아실현의비전은없었을망정자기부터경멸하고우롱했다.그는유한(遺恨)을싫어한다.구구한변명이없다.세상이싫으면자버린다.아내가무서우면이불속으로숨어버린다.끝판에는자신을생매장한다.이상은순결하다.
누구못지않게삶의질서와내면적조화를희구하여번번이실패한이상은자폐증(自閉症)이심해졌고,소극적인항거로써반인간,반생활,반예술의작품을써야만했다.
―이보영(李甫永,문학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