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1513년 집필된 『군주론』은 단테의 신곡을 제치고 가장 많이 번역된 이탈리아의 고전이자, 국내에서도 여러 종이 번역/출판/판매되고 있다. 그럼에도 계속 새로운 번역본이 출간되고 있는 것은 고전이란 시간과 공간의 맥락에 따라 새롭게 조명되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면 박상훈 박사가 번역하고, 최장집 교수가 해제를 쓴 이 책의 새로운 점은 무엇인가. 두 사람의 공통된 관심은 당면한 한국 민주주의에서 제기되는 문제, 즉 현실에 고전이 어떤 유익함을 줄 수 있는가, 현대 민주주의의 실천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가를 탐구하는 것이다. 실패를 거듭해 온 ‘민주화 이후의 정치’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의 맥락에서 정치의 본질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해석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말이다.
해제를 통해 최장집 교수는 정치철학적 맥락에서 『군주론』에 대한 깊이 있는 해석을 보여 준다. 무엇보다 ① 마키아벨리의 현실주의를 단순하고 편협한 현실주의로 이해할 것이 아니라 왜 정치에서 현실주의가 심오한 가치를 갖는지를 말한다는 점, ② 민주주의자로서의 마키아벨리에 주목하고 그 사상의 민중적 기초를 강조하는 학계의 최신 주장을 적극적으로 소개한다는 점이 특별하다.
박상훈 박사가 번역한 『군주론』은 학문적 세계 밖에 있는 보통 사람들, 정치에 몸담고 있는 사람들도 쉽게 접근하고 읽을 수 있도록 노력했다. 가능한 한 분명하게 의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문장을 다듬었고, 역사적 맥락 속에서 두툼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대적 배경과 인물, 중요한 개념에 대한 설명을 달았다.
기존 해석들이 (행운/운명/기회/환경과 같은 객관적 상황 내지 제약을 의미하는) 포르투나와 (용기/대담성/결단력/위용/의지/리더십/교활함과 같은 지도자의 덕목 내지는 주체적 역량, 능력을 뜻하는) 비르투에 주목하고 있다면, 이 책에서는 그와 더불어, 그간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네체시타와 프루덴차라는 개념을 조명함으로써 마키아벨리의 정치관을 좀 더 넓고 풍부하게 볼 수 있게 했다(네체시타는 전환기에 필요한 특정 행위 또는 결단에 대한 요구 및 불가피성을 의미하며, 프루덴차는 실제의 정치에 실효적인 유익함을 줄 수 있는 실천적 인식능력 내지 이성과 지식을 포함해 경험에서 얻은 지혜와 현명함 등의 여러 요소를 행동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리킨다). 그 밖에도 『군주론』에서 ‘두려움’(temere, paura), ‘명성’(reputazione), ‘경건한 잔인함’(pietosa crudelta) 등의 개념들이 갖는 의미에 대해서도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어서 이 책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런 새로운 점 때문에, 마키아벨리를 이미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이 책의 해석은 낯설거나 신선하게 느껴질지도 모른다. 하지만 『군주론』이 당시 이탈리아의 상황에서 쓰였지만 이후 고전으로 읽히고 있듯이, 고전을 현재 한국 민주주의 맥락에서 해석해 보는 것이야말로 고전을 이해하는 중요한 방법이 아닐까.
그렇다면 박상훈 박사가 번역하고, 최장집 교수가 해제를 쓴 이 책의 새로운 점은 무엇인가. 두 사람의 공통된 관심은 당면한 한국 민주주의에서 제기되는 문제, 즉 현실에 고전이 어떤 유익함을 줄 수 있는가, 현대 민주주의의 실천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가를 탐구하는 것이다. 실패를 거듭해 온 ‘민주화 이후의 정치’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의 맥락에서 정치의 본질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해석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말이다.
해제를 통해 최장집 교수는 정치철학적 맥락에서 『군주론』에 대한 깊이 있는 해석을 보여 준다. 무엇보다 ① 마키아벨리의 현실주의를 단순하고 편협한 현실주의로 이해할 것이 아니라 왜 정치에서 현실주의가 심오한 가치를 갖는지를 말한다는 점, ② 민주주의자로서의 마키아벨리에 주목하고 그 사상의 민중적 기초를 강조하는 학계의 최신 주장을 적극적으로 소개한다는 점이 특별하다.
박상훈 박사가 번역한 『군주론』은 학문적 세계 밖에 있는 보통 사람들, 정치에 몸담고 있는 사람들도 쉽게 접근하고 읽을 수 있도록 노력했다. 가능한 한 분명하게 의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문장을 다듬었고, 역사적 맥락 속에서 두툼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대적 배경과 인물, 중요한 개념에 대한 설명을 달았다.
기존 해석들이 (행운/운명/기회/환경과 같은 객관적 상황 내지 제약을 의미하는) 포르투나와 (용기/대담성/결단력/위용/의지/리더십/교활함과 같은 지도자의 덕목 내지는 주체적 역량, 능력을 뜻하는) 비르투에 주목하고 있다면, 이 책에서는 그와 더불어, 그간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네체시타와 프루덴차라는 개념을 조명함으로써 마키아벨리의 정치관을 좀 더 넓고 풍부하게 볼 수 있게 했다(네체시타는 전환기에 필요한 특정 행위 또는 결단에 대한 요구 및 불가피성을 의미하며, 프루덴차는 실제의 정치에 실효적인 유익함을 줄 수 있는 실천적 인식능력 내지 이성과 지식을 포함해 경험에서 얻은 지혜와 현명함 등의 여러 요소를 행동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리킨다). 그 밖에도 『군주론』에서 ‘두려움’(temere, paura), ‘명성’(reputazione), ‘경건한 잔인함’(pietosa crudelta) 등의 개념들이 갖는 의미에 대해서도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어서 이 책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런 새로운 점 때문에, 마키아벨리를 이미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이 책의 해석은 낯설거나 신선하게 느껴질지도 모른다. 하지만 『군주론』이 당시 이탈리아의 상황에서 쓰였지만 이후 고전으로 읽히고 있듯이, 고전을 현재 한국 민주주의 맥락에서 해석해 보는 것이야말로 고전을 이해하는 중요한 방법이 아닐까.
군주론 : 정치+철학 5 (개정판)
$1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