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사회학 (양장)

이해사회학 (양장)

$35.00
Description
네 편의 글은 각각 1908년, 1909년, 1913년 그리고 1921년에 발표되었다. 시기적으로 보자면, 베버의 사회학이 형성되는 시기와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이 글들은 이해사회학 또는 행위론적 사회학이라는 새로운 사회학적 패러다임이 형성되는 과정을 기록하고 증언하는 것들이다.
원래 막스 베버는 사회학자가 아니라 법학자이자 경제학자였다. 그런 그가 사회학에 본격적으로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1908년 독일 사회학회의 창립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특히 1910년 10월 프랑크푸르트에서 개최된 제1회 독일 사회학대회의 한 토론에서 매우 의식적으로 “우리 사회학자들”이라는 표현을 쓰면서 사회학자로서의 자신의 정체성을 공식석상에서 천명했다.
그런데 베버가 1908년부터 사회학에 관심을 갖고 사회학자로서의 정체성을 갖게 되었다고 해서, 그가 이 시점에 그때까지 거부했던 사회학을 수용하고 그 틀 안에서 역사적-사회적 현상과 과정에 대한 사회학적 인식을 추구하게 되었다고 생각해서는 안 될 것이다. 왜냐하면 그는 여전히 기존의 사회학에 비판적이었기 때문이었다. 오히려 그가 사회학자가 된 이유는 새로운 사회학적 패러다임을 구축함으로써 기존의 사회학을 극복하고 사회학에 진정한 ‘경험과학적 지위’를 부여하기 위함이었다. 그것은 이해사회학 또는 행위론적 사회학의 구축이었다. 바로 이 점에 이 책에 번역되어 실린 네 편의 글이 갖는 역사적-체계적 의미가 있다. 이 글들은 반(反)사회학자이기까지 했던 베버가 사회학자로 ‘개종하는’ 과정을 기록하고 증언하는 있는 것이다.
저자

막스베버

MaxWeber,1864~1920
독일에르푸르트에서태어났으며,하이델베르크,슈트라스부르크,베를린,괴팅겐대학에서법학,경제학,역사학,철학등을공부했다.1889년베를린대학에서중세이탈리아상사(商社)에대한논문으로법학박사학위를취득했으며,1891년에는고대로마농업사에관한연구로‘하빌리타치온’(독일대학교수자격)을취득했다.1893년평생의지적반려자인마리안네슈니트거와결혼했다.1894년에프라이부르크대학의경제학및재정학정교수로초빙되었다.1897년에는하이델베르크대학의경제학및재정학정교수로초빙되었으나,얼마후심한정신적질환을앓게되어1903년10월대학에서물러나명예교수가되었다.1904년베르너좀바르트및에드가야페와『사회과학및사회정책저널』의공동편집인이되었다.독일사회학회가탄생하는데‘산파’역할을했으며,1909년이학회가창립되었을때회계담당이사가되었다.또한같은해에방대한사회과학총서『사회경제학개요』의조직과편집을담당했으며,사회정책학회총회에서벌어진가치판단논쟁에서가치판단중지의원칙을옹호했다.1919년뮌헨대학의사회과학,경제사및경제학정교수로초빙되었으나,1920년6월14일급작스런폐렴으로한창원숙한지적경지에이른56세에세상을떠나그의영원한정신적고향인하이델베르크에안장되었다.그는『경제와사회』및『종교사회학논총』(전3권)등을비롯해문화과학과사회과학담론의다양한차원-이론적논의,경험적연구,역사적접근,비교연구,방법론적고찰,그리고이론과실천의관계등-에걸쳐실로거대한지적유산을남겼다.총3부43권(실제로는54권)으로구성된『막스베버전집』(MaxWeber-Gesamtausgabe)은1984년부터출간되기시작해2020년완간되었다.

목차

제1장한계효용이론과“정신물리학적기본법칙”9

제2장“에너지론적”문화이론들39

제3장이해사회학의몇가지범주에대하여89
Ⅰ.“이해”사회학의의미93
Ⅱ.“심리학”과의관계99
Ⅲ.법교의학과의관계110
Ⅳ.“공동체적행위”113
Ⅴ.“이익사회화”와“이익사회적행위”115
Ⅵ.“양해”130
Ⅶ.“기관”과“단체”147

제4장사회학의기본개념들159
머리말161
§1.사회학의개념과사회적행위의“의미”의개념165
Ⅰ.방법론의기초166
Ⅱ.사회적행위의개념199
§2.사회적행위의규정요인203
§3.사회적관계207
§4.사회적행위의유형:관행과관례212
§5.정당한질서의개념217
§6.정당한질서의종류:관습과법223
§7.정당한질서의타당한근거:전통,믿음,규약229
§8.투쟁의개념233
§9.공동사회화와이익사회화238
§10.개방적관계와폐쇄적관계243
§11.행위의책임귀속.대표관계249
§12.단체의개념과종류252
§13.단체의질서256
§14.행정질서와조절질서259
§15.경영과경영단체,협회,기관261
§16.권력과지배263
§17.정치적단체,교권적단체265

해제:막스베버와이해사회학으로의여정271
참고문헌333
인용문헌338

옮긴이의말342
인명목록350
막스베버가인용한문헌370
그밖의인용문헌376
사항찾아보기390
인명찾아보기403

출판사 서평

사회학적패러다임의구축:(反)사회학자베버가진정한‘사회학자’로거듭나는과정!
이책에번역되어실려있는네편의글은각각1908년,1909년,1913년그리고1921년에발표되었다.시기적으로보자면,베버의사회학이형성되는시기와직간접적으로관련이있다.이글들은이해사회학또는행위론적사회학이라는새로운사회학적패러다임이형성되는과정을기록하고증언하는것들이다.
원래막스베버는사회학자가아니라법학자이자경제학자였다.그런그가사회학에본격적으로관심을갖기시작한것은1908년독일사회학회의창립과밀접한관계가있다.특히1910년10월프랑크푸르트에서개최된제1회독일사회학대회의한토론에서매우의식적으로“우리사회학자들”이라는표현을쓰면서사회학자로서의자신의정체성을공식석상에서천명했다.
그런데베버가1908년부터사회학에관심을갖고사회학자로서의정체성을갖게되었다고해서,그가이시점에그때까지거부했던사회학을수용하고그틀안에서역사적-사회적현상과과정에대한사회학적인식을추구하게되었다고생각해서는안될것이다.왜냐하면그는여전히기존의사회학에비판적이었기때문이었다.오히려그가사회학자가된이유는새로운사회학적패러다임을구축함으로써기존의사회학을극복하고사회학에진정한‘경험과학적지위’를부여하기위함이었다.그것은이해사회학또는행위론적사회학의구축이었다.바로이점에이책에번역되어실린네편의글이갖는역사적-체계적의미가있다.이글들은반(反)사회학자이기까지했던베버가사회학자로‘개종하는’과정을기록하고증언하는있는것이다.

연속적불연속성의관계에있는두글:「이해사회학의몇가지범주에대하여」와「사회학의기본개념들」
베버는「이해사회학의몇가지범주에대하여」(1913)에서본격적으로자신의사회학을구축하기시작해「사회학의기본개념들」(1919~20)에서그방법론적-개념적기초를완성된형태로제시했다.그런데우리는사회학과관련된이두글과경제학과관련되는글인「한계효용이론과“정신물리학적기본법칙”」사이에한가지유사점을발견할수있으니,그것은바로심리학과의관계,보다정확히말하자면경제학과심리학의관계,그리고사회학과심리학의관계이다.먼저베버는「이해사회학의몇가지범주에대하여」에서강조하기를,“이해사회학은‘심리학’의일부가아니다”라고강조한다.그리고「사회학의기본개념들」에서“‘심리학’-이것이어떤부류든간에상관없이-을이해사회학의궁극적‘기초’로간주하는것이얼마나그릇된일인가를”아울러강조한다.
더불어한계효용이론과모든주관적가치이론,아니더나아가경제학일반이인식대상으로하는목적-수단-행위,즉목적합리적행위는베버의이해사회학에서이념형으로기능한다.사회학은-이와관련해베버는주장하기를-“엄격하게목적합리적인행위를구성하는데,그이유는이행위가명증한이해가능성과명확성-이것은합리성에결부된다一을갖기때문이며,또한사회학은그행위를다음과같이유형(‘이념형’)으로사용한다:사회학은온갖종류의비합리성(감정,오류)에영향을받는실제적인행위를순수하게합리적인행동에서기대할수있는진행과정으로부터의‘일탈’로이해한다.”

사회학,그것은자신의고유한방법에따라인식과제를수행하는독립된개별과학이다
얼핏보기에「“에너지론적”문화이론들」은베버의사회학을구축하기위한글로보기어려울수도있다.단적으로말해그것은자신의사회학을정립하는데있는것이아니라빌헬름오스트발트(WilhelmOstwald)의저작을비판적으로고찰하는데있기때문이다.그럼에도이를통해베버는자신이이해하는사회학은“가치판단과경험과학이뒤섞이면서치명적인결과가초래되는모습을도처에서목도할”수있는오스트발트의에너지론적사회학과달리어디까지나가치판단으로부터자유로운,그러니까가치자유적인경험과학이다.이를통해우리가알수있는것은,그가이해하는사회학은역사학,경제학등과더불어문화과학및사회과학의영역을구성하는하나의독립된개별과학이며,따라서그어떤자연과학적또는문화과학적-사회과학적기본과학과도필요로하지않고전적으로자신의고유한관점과대상을갖고자신의고유한방법에따라자신의고유한인식과제를수행한다는것이다.

베버의이해사회학은‘사회’없는사회학,니클라스루만의사회학과극단적인대조!
베버가자신의이해사회학이방법론적-개념적으로정초된「사회학의기본개념들」에서제시한총17개의항은크게행위이론,관계이론,질서이론,단체이론으로범주화할수있다.이가운데단체이론은오늘날의사회학적용어로말하자면조직이론에해당한다.그런데베버가총17개의항에걸쳐제시한사회학의기본개념들그어디에도사회적행위와관계,사회적질서및단체(조직)를포괄하는‘사회’라는개념은존재하지않는다.그런점에서베버의이해사회학은‘사회없는사회학’이다.이점에서베버는모든사회적인것을포괄하는전체사회에대한이론,즉사회이론을추구한니클라스루만(NiklasLuhmann)과극단적인대조를이룬다.사회없는사회학과사회이론으로서의사회학-이두사회학적패러다임을비교하는작업은좁게는베버와루만의지적세계를보다광범위하고심층적으로이해하는데에,그리고넓게는사회학이론과그역사적흐름을보다광범위하고심층적으로이해하는데결정적으로기여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