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한계 짓는 ‘진짜’가 아니다.
무한한 가능성을 제공하는 ‘유사’의 영역,
그곳에서 전위적 부정성을 남김없이 먹어 치우다
무한한 가능성을 제공하는 ‘유사’의 영역,
그곳에서 전위적 부정성을 남김없이 먹어 치우다
『미친, 사랑의 노래』는 기존의 비평 언어로는 온전히 포착할 수 없었던 시인 김언희의 세계를 여성, 작가, 퀴어의 눈을 통해 재해석하고 전유하는 이른바 ‘유사 비평’의 실험을 담고 있다. ‘유사 비평’은 김언희의 시가 개방하는 전위적 부정성을 텍스트 분석만이 아닌 시각적, 감각적 언어로 접근하기 위해 고안된 용어다.
한국 시의 계보에서 김언희의 위상은 정확히 단독자의 그것이다. 한때 그는 그가 구현하는 시적 이미지의 과도한 그로테스크함 때문에 “안티 페미니스트”(김정란)라 불리기도 했고, 또 같은 이유로 남성 중심의 상징체계를 전복할 힘을 가진 “시단의 메두사”(남진우)로 불리기도 했다. 이처럼 ‘중간’이 없는 극단적 평가, 알고 보면 같은 뿌리를 공유하는 상반된 반응을 동시에 받아낸 여성 시인이 이전에 존재했던가? 여성 시인으로서 전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비평적 스캔들에 연루된 그는 변명도 설명도 하지 않은 채 예사로 그의 시에 따라 붙는 ‘문제적’, ‘도발적’, ‘엽기적’과 같은 자극적 수식을 “참아 주었다”(「나는 참아 주었네」). 심지어 제 손으로 “어머니의 목을 자르고”(「스타바트 마테르」) “아버지를 뿌리채 파내는”(「가족극장, 이리와요 아버지」) 그는 어머니-딸 관계에서의 동일시적 유대도, 아버지-딸 관계에서의 상징적 유산도 거부한다.
『미친, 사랑의 노래』에 참여한 필자들은 시인 김언희를 둘러싼 비평에서 누락되거나 혹은 불충분하게 다뤄진 것들을 유사-비평하려는 목적에서 기획되었다. 필자들은 김언희 시인이라는 유일무이한 여성 시인의 계보를 잇거나 시인과 어머니-딸이라는 모성적인 관계를 맺는 것을 적극적으로 거부한다. 이런 관계에서 기대되는 고정된 각자의 역할과 무조건적인 존경과 애정이 ‘시’라는 진실과는 다른 사실들을 생산하도록 부추긴다고 믿기 때문이다.
『미친, 사랑의 노래』는 세대를 뛰어넘는 여성/퀴어/작가 사이의 우정과 소통의 도구로서 유사 비평이라는 개념을 가져온다. 필자들은 ‘유사’ 비평이라는 이 실험에 매진하기 위해 ‘트렁크’라는 연구 모임을 결성해 2년에 걸쳐 공동으로 연구하고 글을 쓰고 합평회를 가지면서 서로의 글에 응답해왔다. 이들은 유사 비평이 기존의 문학/시 비평의 계보와 개념을 사용하지 않는, 보다 피부에 가까운 즉시적인 정동을 불러일으키는 이미지와 언어 사이에 있는 무엇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따라서 『미친, 사랑의 노래』가 생산하는 텍스트는 기존 비평 연구와 달리, 이미지와 텍스트가 콜라주 된 형식을 통해 문학적/시각적 감수성을 촉진하는 새로운 형태의 결과물을 상상해낸다.
‘유사 비평’의 과정 덕택에 이 책은 비교적 비평 형식에 철저한 텍스트(진송, 성훈, 박수연, 영이)부터 김언희 시인 및 시와의 관계에서 쓰인 에세이(한초원, 이미래), 그리고 시로부터 분유받은 정서적, 후각적, 촉각적 이미지를 전유하는 희곡, 소설, 사진(밀사, 홍지영, 변다원), 마지막으로 시인의 ‘입말’을 고스란히 실어 나르는 대담(양효실, 김언희)까지 다룰 수 있게 되었다.
육체성과 물질성의 담론이 그 어느 때보다 주목받고 있는 비평 및 인문학에서 『미친, 사랑의 노래』는 틀에 얽매이지 않으면서 육체가 가진 물질성의 한계까지 과감하게 접근하는 전복적인 문제의식과 실험적인 글쓰기로 독자들에게 풍성한 읽을거리를 선사한다.
한국 시의 계보에서 김언희의 위상은 정확히 단독자의 그것이다. 한때 그는 그가 구현하는 시적 이미지의 과도한 그로테스크함 때문에 “안티 페미니스트”(김정란)라 불리기도 했고, 또 같은 이유로 남성 중심의 상징체계를 전복할 힘을 가진 “시단의 메두사”(남진우)로 불리기도 했다. 이처럼 ‘중간’이 없는 극단적 평가, 알고 보면 같은 뿌리를 공유하는 상반된 반응을 동시에 받아낸 여성 시인이 이전에 존재했던가? 여성 시인으로서 전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비평적 스캔들에 연루된 그는 변명도 설명도 하지 않은 채 예사로 그의 시에 따라 붙는 ‘문제적’, ‘도발적’, ‘엽기적’과 같은 자극적 수식을 “참아 주었다”(「나는 참아 주었네」). 심지어 제 손으로 “어머니의 목을 자르고”(「스타바트 마테르」) “아버지를 뿌리채 파내는”(「가족극장, 이리와요 아버지」) 그는 어머니-딸 관계에서의 동일시적 유대도, 아버지-딸 관계에서의 상징적 유산도 거부한다.
『미친, 사랑의 노래』에 참여한 필자들은 시인 김언희를 둘러싼 비평에서 누락되거나 혹은 불충분하게 다뤄진 것들을 유사-비평하려는 목적에서 기획되었다. 필자들은 김언희 시인이라는 유일무이한 여성 시인의 계보를 잇거나 시인과 어머니-딸이라는 모성적인 관계를 맺는 것을 적극적으로 거부한다. 이런 관계에서 기대되는 고정된 각자의 역할과 무조건적인 존경과 애정이 ‘시’라는 진실과는 다른 사실들을 생산하도록 부추긴다고 믿기 때문이다.
『미친, 사랑의 노래』는 세대를 뛰어넘는 여성/퀴어/작가 사이의 우정과 소통의 도구로서 유사 비평이라는 개념을 가져온다. 필자들은 ‘유사’ 비평이라는 이 실험에 매진하기 위해 ‘트렁크’라는 연구 모임을 결성해 2년에 걸쳐 공동으로 연구하고 글을 쓰고 합평회를 가지면서 서로의 글에 응답해왔다. 이들은 유사 비평이 기존의 문학/시 비평의 계보와 개념을 사용하지 않는, 보다 피부에 가까운 즉시적인 정동을 불러일으키는 이미지와 언어 사이에 있는 무엇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따라서 『미친, 사랑의 노래』가 생산하는 텍스트는 기존 비평 연구와 달리, 이미지와 텍스트가 콜라주 된 형식을 통해 문학적/시각적 감수성을 촉진하는 새로운 형태의 결과물을 상상해낸다.
‘유사 비평’의 과정 덕택에 이 책은 비교적 비평 형식에 철저한 텍스트(진송, 성훈, 박수연, 영이)부터 김언희 시인 및 시와의 관계에서 쓰인 에세이(한초원, 이미래), 그리고 시로부터 분유받은 정서적, 후각적, 촉각적 이미지를 전유하는 희곡, 소설, 사진(밀사, 홍지영, 변다원), 마지막으로 시인의 ‘입말’을 고스란히 실어 나르는 대담(양효실, 김언희)까지 다룰 수 있게 되었다.
육체성과 물질성의 담론이 그 어느 때보다 주목받고 있는 비평 및 인문학에서 『미친, 사랑의 노래』는 틀에 얽매이지 않으면서 육체가 가진 물질성의 한계까지 과감하게 접근하는 전복적인 문제의식과 실험적인 글쓰기로 독자들에게 풍성한 읽을거리를 선사한다.
미친, 사랑의 노래 : 김언희의 시를 둘러싼 (유사) 비평들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