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오래된 것’의 귀환
오늘날 한국 시에서 새로운 사물 또는 새로운 사건에 대한 호명은 이제 낯설지 않은 현상이다. 하지만 이 새로운 것들은 사물이라기보다는 새로운 상품의 이름 즉 새로운 제품명에 가깝다. 그래서 시나 시집의 제목에서 구체적인 물성이 담긴 경우는 점점 희소해져 간다. 물론 작품 자체에서도 마찬가지다. 시인 자신인 것도 같고 아닌 것도 같은, 어떤 혼종의 화자가 등장해서 새로운 사물이나 사건에 대한 정동의 언어를 읊조린다. 이에 반해 김영서의 새 시집 『낯선 곳에 도착했다』에서는 ‘오래된 것’이 대세를 이룬다. 표제작인 「낯선 곳에 도착했다」에서도 “집 안으로 낙엽이 따라 들어”오는 순간에 발생하는 감각이 두드러진다. 낙엽이 집 안으로 들어온 사건은 화자에게서 통념적인 시간 의식마저 지워버리는데 화자의 감각은 그 이유를 묻지도 않고 무방비로 개방된다. 감각의 기억은 그렇게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고, 드디어 자신이 사실 “오랫동안” 그리 살아왔다는 고해를 이끌어 낸다. 물론 여기에는 구체적으로 후각을 자극하는 “오래된 와인”이 감각의 구체성을 담보하고 있는 특징이 있다.
시인이 ‘오래된 것’에 얼마나 집중하고 있는지 단순하게 열거해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것이다. “오래된 와인”, “오래된 레코드 음반”, “오래된 나무”, “오래된 집”, “오래된 소주병”, “오래된 농기구” 등. 그런데 왜 시인의 마음 안에는 이런 ‘오래된 것’으로 가득 차 있을까. 그것은 아무래도 시인이 처한 삶의 조건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 혹은 시인 자신이 점점 ‘오래된 것’이 되어 가고 있어서일지도 모른다.
어르신이 한자리를 계속 쓸어 내고 있다
쓰레받기에 들어가지 않은 것을
희미해진 노안으로 자세히 살펴보니 그림자다
그림자도 턱이 있고 굴곡이 있다
_「당신의 그림자」 부분
이사 온 지 20년 넘었다
철제 현관문은 삐그덕거리고
화장실은 스위치를 두 번 눌러야 불이 들어온다
_「오래된 집」 부분
일차적으로 화자가 만나는 사람들이나 화자 자신이 ‘오래된’ 존재이기도 하고, 화자가 살고 있는 집, 화자 주위의 사물이 ‘오래된’ 것 때문이기도 하다. 이것은 확실히 ‘오래된 것’의 귀환이지만 그것은 생성이지 복고라고 부를 수는 없다.
시인이 ‘오래된 것’에 얼마나 집중하고 있는지 단순하게 열거해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것이다. “오래된 와인”, “오래된 레코드 음반”, “오래된 나무”, “오래된 집”, “오래된 소주병”, “오래된 농기구” 등. 그런데 왜 시인의 마음 안에는 이런 ‘오래된 것’으로 가득 차 있을까. 그것은 아무래도 시인이 처한 삶의 조건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 혹은 시인 자신이 점점 ‘오래된 것’이 되어 가고 있어서일지도 모른다.
어르신이 한자리를 계속 쓸어 내고 있다
쓰레받기에 들어가지 않은 것을
희미해진 노안으로 자세히 살펴보니 그림자다
그림자도 턱이 있고 굴곡이 있다
_「당신의 그림자」 부분
이사 온 지 20년 넘었다
철제 현관문은 삐그덕거리고
화장실은 스위치를 두 번 눌러야 불이 들어온다
_「오래된 집」 부분
일차적으로 화자가 만나는 사람들이나 화자 자신이 ‘오래된’ 존재이기도 하고, 화자가 살고 있는 집, 화자 주위의 사물이 ‘오래된’ 것 때문이기도 하다. 이것은 확실히 ‘오래된 것’의 귀환이지만 그것은 생성이지 복고라고 부를 수는 없다.
낯선 곳에 도착했다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