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어린이가 바라는 세상은 어떤 것일까?
자연이 준 선물로 동심의 시를 빚다
자연이 준 선물로 동심의 시를 빚다
시인은 매일 자연에게 선물을 받는다. 선물은 예쁘게 포장되어 있다. 포장을 풀 때, 가슴이 마구 두근거린다. 마침내 선물을 보는 순간, 시인의 입에서 감탄사가 나온다. 그것은 바람에 “갸웃갸웃/ 생각을 모”으는 사시나무 (「사시나무」에서), 꽃밥으로 밥을 지어 냠냠냠 먹는 나비와 벌(「꽃밥」에서), “햇볕 쏟아져/ 바람이 뜨거워도/ 흔들리지” 않고 기도하는 배롱나무(「배롱나무」에서) 등등이다. 시인은 그저 가슴에만 선물을 담고 있을 수 없어서 시로 써서 자랑한다. 그것은 소중한 선물에 감사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아기 동박새
꽃밥 먹는다
반짝이는 잎사귀 식탁보 위에
차려진 밥상
놀다가
먹다가
먹다가
놀다가
-「동백나무 식탁」 전문
시에서 언어는 곧 이미지가 된다. 이미지는 우리의 감각에 호소하고, 사물에 대한 감각적 경험을 불러일으킨다. 아기 동박새가 나무에 앉아 무언가를 쪼는 모습은 누구에게나 익숙한 풍경이다. 그러나 시인은 매우 구체적으로 그 모습을 이미지화하였다. “아기 동박새 꽃밥 먹는다/ 반짝이는 잎사귀 식탁보 위에 차려진 밥상”에서 감각적 대상은 ‘동박새’이다. 시인의 상상 속에서 꽃밥은 자연이 선물한 생명의 양식이며, 나뭇잎은 "식탁보 위에 차려진 밥상"이다. 동박새가 꽃가루를 먹는 모습은 일상적으로 보아온 낯익은 풍경이건만, 이 시에서는 난생처음 본 것 같은 신선감이 느껴진다.
새는 꽃밥을 “놀다가 먹다가/ 먹다가 놀다가” 하고 있다. 자연은 동박새를 구속하지 않는다. 동박새는 놀다가 먹으러 오고, 먹다가 놀러 간다. 이는 어린이들에게도 현실화하여야 하는 당위적 세계를 모방한 것이다. 이 구절에서 시인이 추구하는 인생관이 한껏 드러난다.
이둘자 시인의 시집에는 자연에 대한 감탄, 일상에 대한 온정과 배려가 갈피마다 담겨 있다. 시는 마음에서 발한다. 시인은 상상력을 개방하고 감수성을 높여서 사물의 본질을 뚜렷하게 보여주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러니 시인은 자연이 보내준 선물에 대한 보답을 충실히 하고 있는 것이다.
아기 동박새
꽃밥 먹는다
반짝이는 잎사귀 식탁보 위에
차려진 밥상
놀다가
먹다가
먹다가
놀다가
-「동백나무 식탁」 전문
시에서 언어는 곧 이미지가 된다. 이미지는 우리의 감각에 호소하고, 사물에 대한 감각적 경험을 불러일으킨다. 아기 동박새가 나무에 앉아 무언가를 쪼는 모습은 누구에게나 익숙한 풍경이다. 그러나 시인은 매우 구체적으로 그 모습을 이미지화하였다. “아기 동박새 꽃밥 먹는다/ 반짝이는 잎사귀 식탁보 위에 차려진 밥상”에서 감각적 대상은 ‘동박새’이다. 시인의 상상 속에서 꽃밥은 자연이 선물한 생명의 양식이며, 나뭇잎은 "식탁보 위에 차려진 밥상"이다. 동박새가 꽃가루를 먹는 모습은 일상적으로 보아온 낯익은 풍경이건만, 이 시에서는 난생처음 본 것 같은 신선감이 느껴진다.
새는 꽃밥을 “놀다가 먹다가/ 먹다가 놀다가” 하고 있다. 자연은 동박새를 구속하지 않는다. 동박새는 놀다가 먹으러 오고, 먹다가 놀러 간다. 이는 어린이들에게도 현실화하여야 하는 당위적 세계를 모방한 것이다. 이 구절에서 시인이 추구하는 인생관이 한껏 드러난다.
이둘자 시인의 시집에는 자연에 대한 감탄, 일상에 대한 온정과 배려가 갈피마다 담겨 있다. 시는 마음에서 발한다. 시인은 상상력을 개방하고 감수성을 높여서 사물의 본질을 뚜렷하게 보여주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러니 시인은 자연이 보내준 선물에 대한 보답을 충실히 하고 있는 것이다.
꽃밥 - 즐거운 동시 여행 시리즈 40 (양장)
$12.08